한국의 나무1033 봄을 알리는~ 길마가지나무 길마가지나무 -인동과- 오늘은 봄을 알려주는 나무인 길마가지나무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제주의 허파라고 하는 곶자왈에는 많은 나무와 풀들이 봄을 알려주고 있는데,나무로는 제주백서향이 제일 먼저 꽃을 피우고 비슷한 시기에 이 길마가지나무에도 꽃이 피어 납니다. 옛날 소나 말에 걸쳐놓는 운반기구인 '길마'라는 물건이 있습니다. 이 길마는 물건의 균형을 맞추기 위하여 반원형의 양갈래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길마가지꽃이나 열매가 바로 이 길마의 모습에서 유래했다는 것이지요. 2008년 개봉한 '워낭소리'에 마흔살의 소의 등에 얹혀 있는 것이 '길마'라는 도구입니다. 팔순 농부와 마흔살의 소의 이야기를 그린 영화가 아직도 생생하게 기억됩니다. 잎 앞면은 거친 털이 많고, 뒷면은 털이 조금 있으며 잎자루는 짧고.. 2022. 3. 8. 봄은 제주백서향의 향기에서 ~ 제주백서향 -팥꽃나무과- 봄은 멀지 않은지 제주의 허파 곶자왈에서는 백서향 꽃이 피어나고 있습니다. 제주의 봄은 이 백서향의 향기에서 출발한다고 하는데 주말을 맞아 제주백서향의 향기를 맡고 왔습니다. 2013에 실린 식물분류학회지의 논문에 따르면 제주에서 자라는 백서향을 '제주백서향'이라는 별도의 종으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이 논문에 따르면 제주백서향은 꽃받침통과 열편(꽃잎이 펼쳐진 부분)에 털이 없고 긴 타원형 잎을 가진 것으로 백서향과 구별하고 있습니다. 백서향 학명 : Daphne kiusiana Miq 제주백서향 학명 : Daphne jejudoensis M.Kim 백서향의 속명 `Daphne'는 희랍의 여신 이름에서 유래했고, 종소명(種小名)인 `kiusian'는 일본 규슈지역에서 처음 관찰됐다.. 2022. 3. 7. 수피와 겨울눈으로 보는 나무~ 개다래 개다래 -다래나무과- 수피와 겨울눈으로 보는 나무 이야기 오늘은 개다래와 다래를 살펴 보겠습니다. 수피로 보면 노박덩굴이나 오래된 으름덩굴 등과 비슷하여 혼동을 주곤 합니다. 이 개다래는 다른 다래나무과와는 특징적으로 잎이 밀가루를 뒤집어 쓴 것처럼 흰색을 띠다가 나중에 없어집니다. 아래에 다래나무의 수피를 비교하여 소개한 사진이 있는데 다래나무의 수피는 지저분하게 벗겨지는 특징이 있는 반면, 이 개다래는 조각조각 두텁게 벗겨진 것처럼 보입니다. 제주에서는 5월부터 개다래의 꽃이 피어나는데 다래나무과의 나무들은 암수딴그루입니다. 개다래나무의 수꽃의 모습입니다. 노란 꽃밥이 인상적인데 다래나무과의 나무들의 꽃은 조금씩 다릅니다. 개다래의 암꽃의 모습입니다. 암술머리가 드러나 보입니다. 개다래의 과실 속에 .. 2022. 3. 5. 수피와 겨울눈으로 보는 나무~ 서어나무/개서어나무 서어나무 개서어나무 -자작나무과- 수피와 겨울눈으로 보는 나무 이야기 ~ 오늘은 아주 비슷한 서어나무와 개서어나무를 비교해 보겠습니다. 서어나무나 개서어나무의 별명이 머슬 트리(Muscle tree)라고 하여 근육나무라는 별칭이 있습니다. 1. 서어나무 서어나무의 어원은 알 수 없지만, ‘서목(西木)’을 우리말로 ‘서나무’라고 했다가 발음이 자연스러운 ‘서어나무’가 된 것으로 해석을 하고 있습니다. 서어나무와 개서어나무의 수피만 보고 구별을 하려고 자꾸 들여다 보았지만 오래된 나무와 어린 나무들의 수피는 너무나 비슷하여 구별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서어나무는 나이테의 어느 한 부분에 집중적으로 더 많이 양분을 준다고 하는데, 양분을 많이 받은 부위의 나이테는 넓어지고 적게 받은 부위는 좁아진다고 알려져 있.. 2022. 3. 4. 종자로 보는 나무~ 백량금, 자금우 우리가 겨울에 흔히 보는 빨간 열매~ 제주의 곶자왈이나 저지대의 오름 등에서 많이 만나는 백량금과 자금우~ 겨울에는 이 두 나무의 열매를 만날 수 있는데 그 종자가 어떻게 다른지 종자를 살펴 보았습니다. 백량금의 열매는 자금우보다 더 많이 달리는데 모습은 거의 같고 크기나 형태도 동일해서 하나만 따로 놓으면 구별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백량금과 자금우의 잎 비교표입니다. 전초를 보면 쉽게 구분이 가고 잎 형태는 달라서 구분이 됩니다. 열매의 종피를 제거하여 종자를 살펴보니 백량금의 열매가 아주 연한 노란색을 띠고 있고 자금우는 백색에 가까운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종자로 보는 나무 이야기 오늘도 고운 하루 되세요. 2022. 2. 28. 수피와 겨울눈으로 보는 나무~ 산뽕나무 산뽕나무 -뽕나무과- 수피와 겨울눈으로 보는 나무 이야기, 오늘은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오디'를 달고 있는 산뽕나무를 포스팅해 보겠습니다. 산뽕나무는 뽕나무과에 속하는 나무로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하며 산기슭, 제주의 곶자왈, 밭둑의 양지에서 잘 자라는 수종입니다. 겨울이라 낙엽성인 나무들의 수피와 겨울눈을 살펴보고 있는데 수피만 가지고 판단하기가 쉽지 않은 것이 오래된 나무와 어린 나무, 성숙한 나무들의 수피가 다르게 보이기 때문입니다. 아래 사진에서 만나는 수피도 산뽕나무의 수피입니다. 따라서 겨울눈이나 가지의 자람 형태 등을 살펴야 구별이 가능한 것 같습니다. 산뽕나무의 겨울눈은 아린이 5~7개로 덮여 있습니다. 꽃은 4∼5월에 암수딴그루에 피는데, 간혹 암수한그루인 경우도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2022. 2. 26. 이전 1 ··· 62 63 64 65 66 67 68 ··· 17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