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식물,풍경/식물나라1395 무더운 여름날의 대표 야생화~ 참나리 참나리 Lilium lancifolium Thunb.>-백합과- "나리"를 검색해 보면,1)저보다 신분이나 지위가 높은 사람을 불러 이르는 말2)백합과에 속한 여러해살이풀 로 나와 있습니다.지난주에 만난 참나리를 포스팅해 봅니다. 참나리라는 이름의 유래가 재미있습니다.물론 정설은 아닙니다.조선시대 고관대작을 이르는 '나으리'의 줄임말인 '나리'에서 왔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또한 참나리를 영어명으로 tiger lily(호랑나리)라 합니다.꽃잎에 흩어져 있는 까만 점들이 호랑이의 털무늬를 닮아서 그렇게 불렸다고 합니다. 나리를 백합(百合)이라고도 하는데 성경에서는 순결의 상징으로 자주 언급됨으로백합은 당연히 하얀 꽃인 것으로 오해하는 경우가 많은데,백합의 백은 흰색을 의미하는 ‘白’(백)이 아.. 2025. 7. 9. 무더운 여름날의 대표 야생화~ 땅나리 땅나리 Lilium callosum S. et Z.>-백합과- 무더위가계속되는 요즘, 제주도의 바닷가나 산지에는여러가지 꽃들의 향연이 계속되고 있습니다.오늘 소개해 드릴 땅나리는 백합과 식물로 나리 종류 가운데가장 먼저 꽃을 피우는 식물입니다. 바닷가에 잠시 들렀더니 부끄러운 듯 수줍게 피어있는 땅나리를 마주하였습니다. 나리 종류의 꽃들이 많이 있는데 나리 종류들은 꽃이 필 때꽃잎의 방향에 따라 이름을 붙여 놓았습니다. 땅나리가 땅을 향해 꽃을 피우는 반면 하늘나리나하늘말나리는 하늘을 향해 꽃을 피웁니다.또 꽃잎이 옆으로 향하는 중나리도 있고 털이 있다는 털중나리도 있습니다.이렇게 각각 꽃잎을 여는 방향이 다른 것은 자기에 맞는꽃가루받이를 하려는 것과 관련이 있다고 합니다. 나리꽃 중에 .. 2025. 7. 3. '어성초'라 불리는 약모밀 약모밀 Houttuynia cordata Thunb. >-삼백초과- 여름에 하얀 꽃을 피우는 약모밀은 식물 전체에서 비린내가 난다고 하여어성초라는 이름으로 많이 알려진 식물입니다.지난주에 만난 약모밀을 소개해 드립니다. 6~7월에 줄기 끝의 이삭꽃차례에 많은 꽃들이 빽빽하게 붙어 자랍니다.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식물이 아니라 약초로 사용하기 위해 들여온 식물이라고 합니다. 지금은 자생처럼 번져 자라는 경우가 많습니다.일부는 이 약모밀을 심어 놓으면 모기가 없다고 하여 식재하는 경우도 많이 보았습니다.꽃잎처럼 보이는 것은 포엽이고 진짜 꽃은 꽃술처럼 보이는 것이 진짜 꽃입니다. 이 약모밀은 마디에서 뿌리가 내려 자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약모밀의 마디마다 뿌리를 내리는 모습을 담아 보았습.. 2025. 7. 1. 패랭이를 닮은 야생화~ 갯패랭이꽃 갯패랭이꽃 Dianthus japonicus Thunb>-석죽과- 오늘은 석죽과의 갯패랭이꽃을 만나 보겠습니다.바다를 그리워한 갯패랭이꽃~석죽과의 갯패랭이꽃이 제주 바닷가의 돌틈에서 고운 꽃망울을 내밀고 있습니다.진한 분홍색을 가진 이 갯패랭이꽃은 늦봄부터 피어나기 시작하여 여름이 될때까지바닷가 근처에서 많이 볼 수 있습니다. 패랭이는 꽃 모양이 조선시대에 장돌뱅이들이 쓰고 다니던 모자(패랭이)를 닮은 것에서 유래한 것이라고 합니다.바닷가 근처에서 잘 자라 앞에 "갯"자가 붙어 갯패랭이꽃이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패랭이 종류는 12가지 정도 된다고 하는데,세계적으로는 300여종이 분포한다고 하며,그 색깔도 각양각색입니다. 패랭이꽃도 종류가 상당히 많은데요.우리나라.. 2025. 6. 25. 초여름 숲 속의 매화노루발 매화노루발 Chimaphila japonica Miq.>-노루발과- 매화노루발은 노루발과는 달리 짧은 꽃줄기에 꽃이 1~2개씩 달려 피어납니다.초여름의 길목에서 피어나는 이 매화노루발은 꽃이 매화를 닮아 있고잎맥이 노루발을 닮아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뿌리는 흰색의 줄기가 길게 뻗고 잎은 어긋나기로 피침형이며,가장자리에 낮은 톱니가 있습니다.줄기 끝에 1~2개의 꽃이 아래를 향해 피어납니다. 매화노루발이나 노루발의 꽃은 고개를 쳐들고 피지 않아 수술을 보기가 힘들답니다.카메라를 땅바닥에 바짝 대고 있어야만 겨우 볼 수 있는 아이들이지요.자신을 낮추어야만 꽃을 볼 수 있는 식물입니다. 매화노루발과 노루발의 비교표를 만들어 보았습니다.꽃이 달리는 꽃차례와 잎을 보시면 구별 포인.. 2025. 6. 23. 백합과의 유독성 식물~ 박새 박새 Veratrum oxysepalum Turcz.>-백합과- 제주의 깊은 숲 속이나 해발이 있는 오름을 올라가다 보면6월의 눈부신 꽃을 마주하게 되는데 오늘 소개해 드릴 박새라는 식물입니다.한방에서 종려초, 백여로, 동운초라 불리는 백합과의 유독성 식물입니다. 웹상에서 박새를 검색하면 새 이름인 박새가 검색이 됩니다.아주 오래 전에 수목원에서 담은 박새 사진입니다.배에 검은 줄무늬가 있는 이 박새는 우리 주위에서 흔히 관찰되는 조류입니다. 식물인 박새는 백합과 여로속의 식물로 독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도감에서는 6~8월에 꽃이 핀다고 나와 있으나 제주에서는 5월 중순~6월 초가박새의 꽃이 절정인 것 같습니다. 깊은 숲길을 걷다 보면 흔히 만날 수 있는 이 박새는 꽃이 .. 2025. 6. 11. 이전 1 2 3 4 ··· 2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