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식물,풍경/식물나라1364 '봄맞이' 꽃말을 가진 광대나물 광대나물 Lamium amplexicaule.L>-꿀풀과- 오늘은 봄맞이라는 꽃말을 가진 광대나물을 만나 봅니다.집 근처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아주 작은 야생화지만 너무 흔해서 눈길조차주지 않곤 하는데 제주의 들판이나 밭둑, 아파트의 외진 모퉁이에서도 만날 수 있는 풀꽃입니다. 예부터 길쭉한 꽃모양이 코를 후벼 나오는 코딱지와비슷하다고 하여 '코딱지나물'이라고도 불렸다고 합니다,이런 꼬딱지나물 이름 외에도 광주리나물,광주리나물꽃,목걸레나물 등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고 있는데 봄이 되면 가장 흔하게 만날 수 있는 아주 작은 야생화입니다.어제 오랫만에 밭에 나가 작업을 하였는데 온통 이 광대나물밭이 되어 있었습니다. 학명 Lamium amplexicaule의 속명 Lamium은 '목구멍'이라는 뜻으.. 2025. 2. 22. 깊은 숲 속의 산괭이눈 산괭이눈 Chrysosplenium japonicum (Maxim.) Makino >-범의귀과- 찬바람이 아직도 겨울을 붙들고 있지만 제주의 곶자왈에서는 제주백서향이 피어나고 오름 자락에서는 세복수초와 변산바람꽃이 피어나고 있습니다.이번주에는 괭이눈속 아이들은 꽃이지고 열매가 익어갈때는 씨앗을 감싸던 씨방이 벌어지는데 그모습이 고양이 눈을 너무나 닮아 있다고 하여 이름 붙여진 산괭이눈을 소개해 드립니다. 봄이 익어가기 전에 이 산괭이눈이 꽃을 피우는데 전략이 아주 특이합니다.꽃 주변의 포엽을 노랗게 물들여 마치 꽃처럼 보이게 하고꽃가루받이가 끝나면 다시 녹색으로 변하게 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씨앗이 생기면 네모난 그릇같은 꽃받침에 갇혀 있어 씨앗을 퍼뜨리기가 쉽지 않습니다... 2025. 2. 21. 다시 담아 본~ 솔잎미나리 솔잎미나리 Cyclospermum leptophyllum (Pers.) Sprague ex Britton & P.Wilson >- 산형과- 며칠 전 솔잎미나리를 포스팅한 적이 있습니다.밭에 나가 김을 매다 다시 한 번 도전을 해야겠다고 다짐을 하고 카메라를 꺼내어 땀을 뻘뻘 흘리며 솔잎미나리를 다시 담아 보았습니다. 열대 아메리카가 원산인 솔잎미나리는 잎이 솔잎을 닮아 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입니다.거미줄이 있는 것은 눈으로는 보이지 않았는데 촬영을 하고 나서나중에 확인해 보니 꽃들 사이로 거미줄이 엄청 엉켜 있었습니다. 이 솔잎미나리는 꽃잎이 5장이며 수술이 5개입니다.손톱보다도 더 작은 꽃을 담으려니 흔들리고 촛점이 맞지 않아땀만 흘린 기억을 여기에 내려 놓습니다. 솔잎미나리의 꽃잎에.. 2024. 5. 22. 숲 속의 야생화 꽃밭~ 앵초<櫻草> 앵초 Primula sieboldi E. Morr.>-앵초과- 오늘은 정말 작고 귀여운 앵초 이야기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이름도 귀여운 앵초는 한자의 '櫻草'를 보면 알 수 있 듯 벚꽃과 앵두나무꽃을 닮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입니다.꽃모양이 마치 풍차와 비슷하여 풍륜초,풍차초,취란화,연앵초,앵채 등 다양하게 불리는 우리의 야생화입니다. 제주에서는 한라산의 설앵초와 큰앵초가 자생을 하고 있는데 육지에서는 5월이 되면 앵초가 환하게 피어납니다. 작은 바람개비를 연상하게 하는 이 앵초는 보라색감의 꽃색깔 때문에 유독 눈에 잘 띠기도 하지만아름다운 꽃 때문에 지금은 원예종으로 다양하게 개발이 되어 있는 식물입니다.우리가 '프리뮬러'라고 하는 원예종의 꽃도 바로 이 앵초를 개량한 것이라고 합니다.. 2024. 5. 5. 돌틈에 피어난~ 돌단풍 돌단풍 -범의귀과- 오늘은 돌단풍으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냇가의 바위 겉이나 바위틈에서 자라며, 바위 겉에 단풍나뭇잎처럼 생긴 잎이 달린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입니다. 자생이 아닌 경우에는 집안의 화분이나 온실이나 화단에서도 관상용으로 많이 키우는 식물이기도 합니다. 자생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수분이 많은 바위틈에서 잘 자라며 손바닥 모양으로 갈라진 잎이 단풍나무잎과 비슷하다고 하여 돌단풍이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습니다. 돌단풍의 다름 이름으로는 본초명으로 불리는 '축엽초','척엽초'라 불리고 '장장풍'라는 이명으로도 불리고 있습니다. 새봄을 맞이하는 양 하얀꽃을 바위틈에서 피우고 있습니다. 돌단풍의 영어명은 Aceriphyllum rossii 라고 하는데 이 'Aceriphyllum'가 Acer+phyl.. 2024. 4. 1. 송이송이~ 큰꽃송이이끼 큰꽃송이이끼 -참이끼과- 며칠 전 장미님의 글에서 큰꽃송이이끼를 보고 어제 야생화 탐사를 갔다가 그 큰꽃송이이끼를 만났습니다. 선태식물로 참이끼과에 속하는 이끼식물입니다. 우리가 만나는 이끼 종류들은 아주 작은 개체가 많지만 이름에서 알 수 있듯 큰 꽃송이 모양을 하고 있어 붙여진 이름으로 '큰우산이끼'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다만 이끼류에 관한 정보들이 없어 자세한 내용을 다루기가 어렵습니다. 줄기는 1~2cm이며 상부에 잎이 로제트 형태로 달리는데 땅바닥에 아주 붙어 있다시피하여 사진을 담으려고 바닥에 엎드려야 했습니다. 큰꽃송이이끼로 열어보는 목요일 아침입니다. 오늘도 고운 하루 되세요. 2024. 3. 14. 이전 1 2 3 4 ··· 2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