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제주의 야생화1493

'외로운 사람' 의 꽃말을 가진 옥녀꽃대 옥녀꽃대 Chloranthus glaber (THUNB.) MAKINO>-홀아비꽃대과- 오늘은 어제의 홀아비꽃대에 이어 옥녀꽃대라는 식물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옥녀꽃대는 제주도와 남부지방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입니다.옥녀꽃대라는 이름은 거제도의 옥녀봉에서 처음 발견되어 명명되었다고 하는데채집지의 이름을 따서 붙여진 식물입니다. 어제의 홀아비꽃대나 이 옥녀꽃대는 화피는 없지만 하얀 수술이 마치 꽃처럼 보이는데화려하지는 않지만 나름의 생존전략을 펼치며 살아가고 있습니다.꽃잎은 없고 수술이 길게 뻗어 나와 있으며 안쪽에는 꽃밥이 숨어 있습니다. 우리나라 중부 이북에서는 주로 홀아비꽃대가 많이 서식하고 있다고도감 설명에는 나와 있으나 제주도 일부 지역에서도 홀아비꽃대가발견되고 남부지방에서는 옥녀꽃대.. 2025. 5. 6.
사철쑥에 기생하여 살아가는~ 초종용 초종용 Orobanche coerulescens Steph.>-열당과- 오늘은 우리나라 전역에 걸쳐 분포하는 것으로알려진 열당과의 초종용으로 하루를 열겠습니다.이 초종용은 사철쑥의 뿌리에만 기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백양더부살이와 아주 흡사한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초종용의 유래에 관해 찾아 보았으나,이명만 나와 있더군요.쑥더부사리,사철쑥더부살이,갯더부사리,갯더부살이,개더부사리, 등등 보통의 초종용은 푸른색을 띠고 있으나곳에 따라서는 흰색의 초종용도 가끔 만날 수 있습니다. 이 초종용은 열당과의 초종용속에 속하는데 백양더부살이이라는 식물과 아주 비슷합니다.쑥에 기생하는 백양더부살이와는 달리 사철쑥에 기생하는 초종용도 열당과의 식물로 비교표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백양더부살이 :.. 2025. 5. 4.
'꼬마' 가 들어간 냉이~ 꼬마냉이 꼬마냉이 Cardamine tanakae Franch. & Sav.>-십자화과- 오늘은 작고 앙증맞은 십자화과의 꼬마냉이라는 식물로 하루를 열어 드립니다.벌깨냉이를 닮은 미기록 식물로 아주 작은 냉이입니다.2006년 한국식물분류학회지에 발표된 미기록 식물로전체에 털이 많은 아주 작은 식물입니다. 한국식물분류학회지에 따르면,'꼬마냉이는 경생엽의 소엽 수 및 정소엽의 크기, 한 화서에 붙는 꽃의 수,자방 및 열매의 백색 연모의 유무의 특징에 의해 국내 고유종인 벌깨냉이 (C. glechomifolia)와 명백히 구분되었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피는 시기도 벌깨냉이가 거의 다 지고 씨방이 맺혀 가는 시기에 피어 나는이 꼬마냉이는 줄기와 잎에 샘털이 상당히 많은 것도 특징인 것 같습니다. .. 2025. 5. 3.
쑥에 기생하여 살아가는~ 백양더부살이 백양더부살이 Orobanche filicicola Nakai >-열당과- 오늘은 쑥의 뿌리에서 기생하는 백양더부살이라는 식물을 소개해 드립니다.혼자 살아가는 식물이 있는 반면 우리네 삶이 혼자 살아갈 수 없듯 다른 식물의 도움으로 살아가는 식물들이 있습니다.다른 식물들이 살아가는 곳에 더부살이를 하는 식물들이 있는데 바로 그런 식물이 백양더부살이가 그 중 하나입니다. 2023년에 만났던 백양더부살이의 모습이 그리워 찾아갔지만작년보다 늦게 피고 있고 아직 개화하지 않은 개체들이 많이 보였습니다.2023년에 담은 백양더부살이의 모습입니다. 백양더부살이는 일제강점기 때 일본인 학자가 처음으로 백양사에서 발견되어 학계에 알려졌지만 이후멸종되었다가 2003년에 다시 생존이 확인되어 세계 식물학계.. 2025. 4. 29.
귀엽고 앙증맞은~ 각시족도리풀 각시족도리풀 Asarum misandrum B.U.Oh & J.G.Kim >-쥐방울덩굴과- 지난 주말에 출사를 하면서 각시족도리풀을 눈맞춤하였습니다.보통 제주에서는 고사리철에 이 각시족도리풀이 피어납니다.야생화 이름 앞에 접두어인 '각시' 가 들어가면 작고 귀엽다는 의미를 내포합니다. 족도리풀이라는 이름은 꽃이 마치 여인네 머리를 치장할때 사용하는 족두리를 닮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에 각시가 등장을 합니다.즉, 각시처럼 작고 예쁜 족도리풀이라는 뜻입니다. 각시족도리풀의 꽃을 조금 더 자세히 보기 위해접사렌즈로 가까이하고 담아 보았습니다.안쪽 가운데 방사상으로 암술이 6개 위치하고 있으며 바깥쪽으로 수술들이 도열해 있습니다. 우리가 자주 만나는 족도리풀이나 개족도리풀과는 다르게잎의 줄.. 2025. 4. 22.
큰개별꽃의 이명으로 발표된 탐라큰개별꽃 큰개별꽃 Pseudostellaria palibiniana var (Takeda) Ohwi>-석죽과- 2019년 한국산 개별꽃속의 분류학적 연구라는 논문에서 큰개별꽃의 품종으로 발표된 큰개별꽃의 변이종입니다.전체적으로 큰개별꽃과 다르지 않지만 겹꽃인 것이 특징입니다. 큰개별꽃 꽃이 별 모양을 하고 있고 다른 개별꽃 종류에 비해 잎이 크기 때문에 큰개별꽃이라는 이름을 얻었습니다.다른 이름으로는 동삼,해아삼이라고도 불리는데,개별꽃과의 구별은1)개별꽃은 잎겨드랑이에서 꽃대가 여러개 올라와 꽃을 피우는데 꽃잎이 보통 5장입니다.2)큰개별꽃은 하나의 꽃대에서 1개의 꽃을 피우고 꽃잎이 보통 6~8장입니다. 탐라큰개별꽃 꽃잎은 마치 겹꽃을 연상하게 하고 윗줄기의 잎은 아주 넓은 형태로 되어 있습니다... 2025. 4.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