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백합과127

무더운 여름날의 대표 야생화~ 참나리 참나리 Lilium lancifolium Thunb.>-백합과- "나리"를 검색해 보면,1)저보다 신분이나 지위가 높은 사람을 불러 이르는 말2)백합과에 속한 여러해살이풀 로 나와 있습니다.지난주에 만난 참나리를 포스팅해 봅니다. 참나리라는 이름의 유래가 재미있습니다.물론 정설은 아닙니다.조선시대 고관대작을 이르는 '나으리'의 줄임말인 '나리'에서 왔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또한 참나리를 영어명으로 tiger lily(호랑나리)라 합니다.꽃잎에 흩어져 있는 까만 점들이 호랑이의 털무늬를 닮아서 그렇게 불렸다고 합니다. 나리를 백합(百合)이라고도 하는데 성경에서는 순결의 상징으로 자주 언급됨으로백합은 당연히 하얀 꽃인 것으로 오해하는 경우가 많은데,백합의 백은 흰색을 의미하는 ‘白’(백)이 아.. 2025. 7. 9.
무더운 여름날의 대표 야생화~ 땅나리 땅나리 Lilium callosum S. et Z.>-백합과- 무더위가계속되는 요즘, 제주도의 바닷가나 산지에는여러가지 꽃들의 향연이 계속되고 있습니다.오늘 소개해 드릴 땅나리는 백합과 식물로 나리 종류 가운데가장 먼저 꽃을 피우는 식물입니다. 바닷가에 잠시 들렀더니 부끄러운 듯 수줍게 피어있는 땅나리를 마주하였습니다. 나리 종류의 꽃들이 많이 있는데 나리 종류들은 꽃이 필 때꽃잎의 방향에 따라 이름을 붙여 놓았습니다. 땅나리가 땅을 향해 꽃을 피우는 반면 하늘나리나하늘말나리는 하늘을 향해 꽃을 피웁니다.또 꽃잎이 옆으로 향하는 중나리도 있고 털이 있다는 털중나리도 있습니다.이렇게 각각 꽃잎을 여는 방향이 다른 것은 자기에 맞는꽃가루받이를 하려는 것과 관련이 있다고 합니다. 나리꽃 중에 .. 2025. 7. 3.
여름이 오는 길목에 피어난~ 노랑땅나리 노랑땅나리 Lilium callosum var. flavum Y.N.Lee >-백합과- 이제 본격적인 여름이 시작되나 봅니다. 연일 더워지는 날씨가 말해주듯낮기온이 30도 근처에 가까워지고 있는 요즘인데요.오늘은 여름을 알리는 야생화 중에 나리꽃 종류가 피어나면 본격적인 여름을 알린다고 하는데요.오늘은 노란색을 가진 노랑땅나리로 하루를 열겠습니다. 이 노랑땅나리는 국생종이나,국가식물표준목록에도 정식으로 등재되어 있는 식물로보통의 주황색 땅나리와는 다르게 노란색꽃을 피우는 식물입니다. 올해는 개체수가 몇 개 있었는데 1개체는 이미 잘려나간 상태이고두 개체만이 꽃을 피우고 있었습니다. 나리꽃 종류도 상당히 많은데 이렇게 노란색꽃을 피우는 나리꽃 종류도 상당히 많습니다.참나리 중에서도 노랑참나.. 2025. 6. 24.
백합과의 유독성 식물~ 박새 박새 Veratrum oxysepalum Turcz.>-백합과- 제주의 깊은 숲 속이나 해발이 있는 오름을 올라가다 보면6월의 눈부신 꽃을 마주하게 되는데 오늘 소개해 드릴 박새라는 식물입니다.한방에서 종려초, 백여로, 동운초라 불리는 백합과의 유독성 식물입니다. 웹상에서 박새를 검색하면 새 이름인 박새가 검색이 됩니다.아주 오래 전에 수목원에서 담은 박새 사진입니다.배에 검은 줄무늬가 있는 이 박새는 우리 주위에서 흔히 관찰되는 조류입니다. 식물인 박새는 백합과 여로속의 식물로 독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도감에서는 6~8월에 꽃이 핀다고 나와 있으나 제주에서는 5월 중순~6월 초가박새의 꽃이 절정인 것 같습니다. 깊은 숲길을 걷다 보면 흔히 만날 수 있는 이 박새는 꽃이 .. 2025. 6. 11.
죽대가 있는 풍경 백합과 둥글레속의 죽대를 한라산 깊은 곳에서 만났습니다.햇살을 받은 죽대가 너무 고왔던 기억을 한 장의 사진으로 남겨 드립니다. 오늘도 고운 하루 되세요. 2025. 5. 31.
고목에 피어있는~ 풀솜대 풀솜대 Smilacina japonica A.Gray var.japonica>-백합과- 세상에서 모든 중생의 행복을 책임지는 보살인 지장보살이라는 별칭을 가진 꽃이 있는데 바로 풀솜대라는 우리의 야생화입니다. 특히 전라도와 경상도 지방에서는 이 풀솜대를 지장보살로 불리고 있는데 기근이들었을 때 배고픔에 도움을 준데서 비롯된 이름이라고 알려져 있는데실제로 이 풀솜대의 어린 순을 나물로 먹는다고 합니다. 벼과에 속하는 식물인 '솜대'에 접두어인 '풀'이 들어가 있습니다.솜대와 구별하기 위하여 '벼과의 솜대를 닮은 풀' 정도로 해석을 하고 있습니다.들이나 산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5월이 되면 하얗게 핀 풀솜대를 자주 만날 수 있습니다. 제주에서는 4월에도 장소에 따라 풀솜대의 꽃을 볼 .. 2025. 5.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