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난초과 식물137

숲속의 으름난초 으름난초 Galeola septentrionalis sp. (Rchb.f.) Garay>-난초과-   6월 말에 포스팅을 했던 으름난초를 다른 숲 속에서 만났습니다.종소명 'septentrionalis'는 라틴어 '북방의'의 뜻으로 '으름난초속' 가운데가장 북쪽 지방에 자생하는 데서 유래하며,국명은 성숙한 열매의 형상이 으름과 비슷한 데서 붙여졌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으름덩굴의 열매의 속에 있는 알찬 열매의 모습을 닮아 있는 모습에서으름난초라는 이름을 얻어 으름덩굴의 열매와 으름난초의 열매를 편집해 보았습니다.    으름난초의 꽃 하나를 접사해 본 사진입니다.황갈색의 꽃이 6월~7월경에 피어 나고꽃받침조각은 긴 타원형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작년에 으름난초의 열매가 떨어져 그 열매를 반으로 갈.. 2024. 7. 12.
죽백란이 있는 풍경 더욱 기승을 부리고 있는 무더운 여름날의 아침~오늘은 여름에 꽃을 피우는 죽백란 풍경으로 하루를 열어 봅니다. 오늘도 고운 하루 되세요. 2024. 7. 7.
작고 앙증맞은~ 방울새란 방울새란  Pogonia minor (Makino) Makino >-난초과-  오늘은 방울새를 차용하여 이름이 붙여진 방울새란(방울새난초)을 소개해 드립니다.6월 초가 되면 방울새란이 하나 둘 피어나는데 방울새란을찾아 담았던 기억을 내려 놓습니다.     새의 이름인 방울새는 부리가 아주 단단한 새로 알려져 있는데 그 부리 모양에서 이름을 얻은다고 하는 이야기와가운데 설판이 둥근 통으로 생겨 방울새의 맑은 소리가 날 것 같다는데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하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이와 비슷한 난초로 큰방울새란이 있는데, 이 방울새란은 큰방울새란보다작고 순판이 꽃 밖으로 나오지 않는 것이 특징입니다.    제주에서는 방울새란이 6월에 먼저 피고큰방울새란이 조금 늦은 6월 말에서 7월 초에 피어 납니다. 마침.. 2024. 6. 10.
갈매기가 날아가 듯~ 갈매기난초 갈매기난초 Platanthera japonica (thunb).Lindl>-난초과-   여름이 오는 길목에 백색의 다수꽃이 피어 갈매기가 떼지어 날아가듯 빽빽이 핀다고 하여갈매기난,또는 갈매기난초라 붙여진 갈매기난초로 하루를 열어 드립니다.순판(脣瓣)이 길게 밑으로 뻗고 밑으로 처진 거(距)는 특히 길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난초과 식물중에는 새들이나 곤충이름에서 유래한 식물들이 많이 있습니다.이 갈매기난초를 비롯하여,제비난,산제비난,잠자리난 등이 있습니다.꽃은 흰색으로 피며 꽃줄기에 많은 꽃이 달리는데 이 꽃들이 갈매기떼를 연상하게 했나 봅니다.   갈매기난초의 꽃을 접사해 보았습니다.밑으로 쳐진 거의 모습이 독특하게 생겼습니다.    5월 중순 이후부터 꽃이 피는 갈매기난초의 입술모양꽃부리는 넓은.. 2024. 5. 23.
깊은 숲 속의~ 나리난초 나리난초 -난초과- 며칠 전에 포스팅을 했던 나리난초를 다른 곳에서 담아 보았습니다. 나리난초의 속명인 Liparis는 희랍어인 'Liparos'에서 유래한 것으로 '윤기가 있고 꽃에 비하여 넓은 잎을 가진' 것에서 유래가 되었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나리난초속 식물로는, 옥잠난초,나나벌이난초,키다리난초,나리난초,참나리난초의 5종을 기본종으로 국가식물표준목록에서는 8종을 기술하고 있습니다. 그 중 이 나리난초는 꽃이 특이하여 쉽게 구별이 가는 난초입니다. 우리나라 전국 각처에서 자라는 난초로 제주에서는 깊은 숲속에서 살아가고 있는데,옥잠난초와 시기를 같이 하여 피는 경우가 많습니다. 나리난초는 옥잠난초보다 개화하여 꽃이 피어 있는 시간이 긴 것도 특징입니다. 어떤 이들은 이 나리난초의 꽃을 보고.. 2023. 5. 24.
고목에 터를 잡은~ 나리난초 나리난초 -난초과- 나리난초의 속명인 Liparis는 희랍어인 'Liparos'에서 유래한 것으로 '윤기가 있고 꽃에 비하여 넓은 잎을 가진' 것에서 유래가 되었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나리난초속 식물로는, 옥잠난초,나나벌이난초,키다리난초,나리난초,참나리난초의 5종을 기본종으로 국가식물표준목록에서는 8종을 기술하고 있습니다. 그 중 이 나리난초는 꽃이 특이하여 쉽게 구별이 가는 난초입니다. 우리나라 전국 각처에서 자라는 난초로 제주에서는 깊은 숲속에서 살아가고 있는데,옥잠난초와 시기를 같이 하여 피는 경우가 많습니다. 나리난초는 옥잠난초보다 개화하여 꽃이 피어 있는 시간이 긴 것도 특징입니다. 어떤 이들은 이 나리난초의 꽃을 보고 깃발을 연상하기도 하고 범선의 모습을 연상하기도 하며 박쥐의 날개.. 2023. 5.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