꿀풀과83 봄바람 타고 피어난~ 자주광대나물 자주광대나물 Lamium purpureum L.>-꿀풀과- 오늘은 광대나물과 비슷하나 잎과 줄기가 자주색을 띠어 자주광대나물을 만나 봅니다.1996년 제주 목초지에서 처음 발견되었다고 하는 기록이 있는데요. 유럽이 원산인 귀화식물입니다.한국잡초학회에 등록되어 있는 잡초이기도 한 자주광대나물을어제 돌담 근처에서 만나 담아 보았습니다. 보통 귀화식물은 번식력이 아주 강한데 이 자주광대나물도 토양과 환경에 맞으면 어디에서나 잘 자라는 식물입니다. 특히 제주에서는 목초지 주변에서 많이 발견되는 식물입니다.광대나물의 꽃과 아주 흡사하게 닮아 있으나 전체적인 전초의 모습은 조금 다르지요.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광대나물의 꽃을 접사해 본 사진입니다.전체적으로 광대나물과 자주광대나물의 꽃도 조금 다.. 2025. 3. 15. 봄은 우리 곁에~ 광대나물(흰색) 광대나물 Lamium amplexicaule.L>-꿀풀과- 오늘은 봄맞이라는 꽃말을 가진 광대나물을 만나 봅니다.집 근처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아주 작은 야생화지만 너무 흔해서눈길조차 주지 않곤 하는데 제주의 들판이나 밭둑,아파트의 외진 모퉁이에서도 만날 수 있는 풀꽃입니다.보통의 광대나물의 꽃은 보라색이지만 이렇게 흰색을 가진 개체도 있습니다. 예부터 길쭉한 꽃모양이 코를 후벼 나오는 코딱지와 비슷하다고하여 '코딱지나물'이라고도 불렸다고 합니다. 이런 꼬딱지나물 이름 외에도 광주리나물,광주리나물꽃,목걸레나물 등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고 있는데 봄이 되면가장 흔하게 만날 수 있는 아주 작은 야생화입니다. 학명 Lamium amplexicaule의 속명 Lamium은 '목구멍'이라는 뜻으로꿀풀.. 2025. 3. 8. '봄맞이' 꽃말을 가진 광대나물 광대나물 Lamium amplexicaule.L>-꿀풀과- 오늘은 봄맞이라는 꽃말을 가진 광대나물을 만나 봅니다.집 근처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아주 작은 야생화지만 너무 흔해서 눈길조차주지 않곤 하는데 제주의 들판이나 밭둑, 아파트의 외진 모퉁이에서도 만날 수 있는 풀꽃입니다. 예부터 길쭉한 꽃모양이 코를 후벼 나오는 코딱지와비슷하다고 하여 '코딱지나물'이라고도 불렸다고 합니다,이런 꼬딱지나물 이름 외에도 광주리나물,광주리나물꽃,목걸레나물 등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고 있는데 봄이 되면 가장 흔하게 만날 수 있는 아주 작은 야생화입니다.어제 오랫만에 밭에 나가 작업을 하였는데 온통 이 광대나물밭이 되어 있었습니다. 학명 Lamium amplexicaule의 속명 Lamium은 '목구멍'이라는 뜻으.. 2025. 2. 22. 여름날 습지의 전주물꼬리풀 전주물꼬리풀 Dysophylla yatabeana Makino>-꿀풀과- 무더운 여름날 꽃을 피우는 전주물꼬리풀이라는 식물을 소개해 드립니다.1912년에 전주에서 채집되어 1969년 전주의 지명을 따라 명명된 이 식물은전주에서는 사라졌다가 2013년 국립생물자원관에서 인공증식을 한 후 전주시 송천동 오송제로이식하여 분포지를 형성하였고 제주에서는 많지는 않지만 여러 습지에서 만날 수 있는 식물입니다. 환경부가 멸종위기식물 2급으로 지정한 이 식물은 밑부분이 옆으로 뻗으면서 지하뿌리가 발달되어 있습니다.보통 8월 초부터 피기 시작하여 여름의 더위가 가실때까지 원기둥 모양의 꽃차례에 이삭처럼 꽃을 피우는 식물입니다. 꼬리풀이란 이름을 가진 야생화가 20여종이나 된다고 알려 있습니다.꼬리풀을 .. 2024. 9. 24. 풀밭의 작은 야생화~ 조개나물 조개나물 Ajuga multiflora Bunge >-꿀풀과- 오늘은 이름도 특이한 조개나물을 만나 보겠습니다.조개나물이라는 이름은 흰털이 수북한 잎 사이에서 꽃이 올라오는 모습이조개가 집 사이로 입을 쭉 내민 것을 닮았다고 해서 붙여졌습니다. 다른 이름으로는 조갑지나물, 조개풀이라 부르기도 합니다.털이 많은 야생화가 많은데 이 조개나물은 정말 많은 털을 가지고 있습니다.보통의 조개나물은 청자색의 꽃을 가지고 있지만 분홍색의 조개나물도 있습니다. 조개나물은 좋은 향기를 가지고 있어 방향제의 재료로 쓰이기도 합니다.일반적으로 식용이 가능했던 식물의 이름에 ''나물''이라고 붙이는 것을 보면조개나물도 어린순은 식용했던 모양입니다. 최근에는 꽃이 피어 있는 모습이 아름답고 그 기간도 길기 때문에.. 2024. 5. 4. 번식력이 강한~ 자주광대나물 자주광대나물 -꿀풀과- 오늘은 광대나물과 비슷하나 잎과 줄기가 자주색을 띠어 자주광대나물을 만나 봅니다. 1996년 제주 목초지에서 처음 발견되었다고 하는 기록이 있는데요. 유럽이 원산인 귀화식물입니다. 한국잡초학회에 등록되어 있는 잡초이기도 한 자주광대나물을 만나 보겠습니다. 보통 귀화식물은 번식력이 아주 강한데 이 자주광대나물도 토양과 환경에 맞으면 어디에서나 잘 자라는 식물입니다.특히 제주에서는 목초지 주변에서 많이 발견되는 식물입니다. 광대나물의 꽃과 아주 흡사하게 닮아 있으나 전체적인 전초의 모습은 조금 다르지요.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광대나물의 꽃을 접사해 본 사진입니다. 전체적으로 광대나물과 자주광대나물의 꽃도 조금 다르고 잎도 다르게 생겼습니다. 줄기는 자주색으로 네모지며 봄이 완연해지.. 2024. 4. 16. 이전 1 2 3 4 ··· 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