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행,식물,풍경/목본1630

까마귀 이름이 들어간~ 까마귀밥나무 까마귀밥(여름)나무 Ribes fasciculatum var. chinense >-까치밥나무과-   나무의 이름 중에 까마귀가 들어간 나무들이 꽤 있습니다.까마귀밥(여름)나무를 비롯하여 까마귀베게,까마귀쪽나무, 등이 있는데 이 까마귀의 밥이 열린다는 의미의 까마귀밥(여름)나무가 연녹색의 작은 꽃을 피웠는데  나무의 크기는 허리 정도 까지 오는 작은 나무입니다.    까마귀밥(여름)나무는 콩알 굵기에 꼭지가 조금 볼록한 빨간 열매가 특징인 작은 나무입니다. “까마귀의 밥이 열리는 나무”란 뜻인데, 구체적으로 까마귀밥이 되는 여름(열매의 옛말)이 열린다는 말인데일설에는 이 열매를 먹을 수 없어 까마귀안테나 주라고 한데서 붙여준 이름이라고 해석을 하기도 합니다.    이 까마귀밥(여름)나무는 까치밥나무속에 속.. 2025. 4. 12.
붉은 꽃망울을 활짝 핀~ 새덕이 새덕이 Neolitsea aciculata (Blume) Koidz.>-녹나무과- 4월이 되면서 봄을 알리는 축제들이 한창이고곶자왈이나 숲 속에는 이미 봄의 향연이 시작되었습니다.이미 포스팅을 한 바 있는 새덕이도 붉은 꽃망울을 가득 달고 있습니다.      녹나무과에는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녹나무를 비롯하여,생강나무,후박나무,육계나무,월계수,비목나무 등이 있습니다.    새덕이란 이름은 어디서 왔을까요?"새덕이"란 이름은 물고기의 종류인 가자미와 비슷한 가자미목 참서대과의"서대기"와 이 새덕이의 잎 모양이 닮아서 그렇게 불렸다고 하는데 글쎄요? 새덕이는 봄을 알리는 나무로 알려져 있습니다.봄을 알리는 나무로 목련,개나리,제주백서향 등이 있지만이 새덕이도 빠른 지역은 2월경부터 꽃이 피는 나무입니다.  .. 2025. 4. 9.
장미과 딸기나무의 선두주자~ 장딸기 장딸기 Rubus hirsutus Thunb>-장미과-   봄이 오는 소리가 여기저기 많이 들립니다. 가까운 수목원이나 공원을 산책하다 보면큼지막한 하얀 꽃을 발견하게 되는데 바로 이 장딸기입니다.     장미과 산딸기속의 이 장딸기는 해발이 낮은 곳에서 잘 자라는반관목인데 제주에서는 '감티탈낭'이라 부르고 완도에서는 '청딸기'라고 부른다고 합니다.제주에서 자라는 딸기나무 중에서는 꽃이 큰 편에 속합니다.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딸기의 종류만도 상당한데요.보통 산이나 들에서 자생하는 딸기 종류만도 20여가지가 넘는다고 합니다.산딸기를 비롯하여 분홍색꽃을 피우는 줄딸기, 흰닷딸기, 닷딸기 등이 있고,비슷한 종류로는 뱀딸기, 겨울딸기, 좀딸기, 수리딸기, 맥도딸기, 멍석딸기, 곰딸기, 함경딸기, 검은딸기,.. 2025. 4. 8.
'명자씨' 라고 불리는~ 명자꽃(흰색) 명자꽃 Chaenomeles speciosa (Sweet) Nakai >-장미과-  오늘은 흰색의 명자꽃으로 하루를 열어 봅니다.국가식물표준목록에 따르면 명자꽃이 정명인데 보통 명자나무라는 이름으로 알려진 목본입니다.     중국 원산의 장미과의 낙엽활엽관목으로 산당화라고 불리기도 합니다.보통은 붉은색이 주종이나 몇 년 전 육지에 출사를 갔다가 만난 명자꽃 흰색의자료를 찾아 올려 드리고 있습니다.     이 명자꽃의 꽃말이 ' 성실 ', '용기', '애정' 이라고 합니다.오늘은 성실한 하루가 되겠다고 용기를 내어 봅니다. 오늘도 고운 하루 되세요. 2025. 3. 22.
가지가 셋으로 갈라지는~ 삼지닥나무 삼지닥나무 Edgeworthia papyrifera S. et Z.>-팥꽃나무과-  오늘 만나볼 나무는 가지가 셋으로 갈라져 명명되어진 삼지닥나무를소개하며 하루를 열어볼까 합니다.중국이 원산지로 한지의 원료로도 쓰인다고 합니다. 이 삼지닥나무도 봄을 알려주는 대표적인 나무로 잎보다꽃이 먼저 피며 꽃줄기 끝에 둥글게 모여 납니다.   종명 ‘papyrifera’에는 종이란 뜻이 들어 있어서 종이 만들기에 쓰이는 나무임을 나타내고 있는데 일본에서는 닥나무보다 이 삼지닥나무를 이용한 종이가 고급으로 쓰였다고 합니다.보통의 삼지닥나무의 꽃은 노란색을 띠지만 이렇게 진한 주황색의 꽃을 피우는 삼지닥나무도 있습니다.    종명 ‘papyrifera’에는 종이란 뜻이 들어 있어서 종이 만들기에 쓰이는 나무임을 나타내.. 2025. 3. 21.
저지마을의 백서향 축제~ 제주백서향 제주백서향 Daphne jejudoensis M.Kim.>-팥꽃나무과-   지난 주말에는 저지리 곶자왈에서 백서향 축제가 이틀그 근처를 지나다가 제주백서향을 다시 담아 보았습니다.    2013에 실린 식물분류학회지의 논문에 따르면 제주에서 자라는 백서향을'제주백서향'Daphne jejudoensis M.Kim>이라는 별도의 종으로 구분하고 있습니다.이 논문에 따르면 제주백서향은 꽃받침통과 열편(꽃잎이 펼쳐진 부분)에 털이 없고긴 타원형 잎을 가진 것으로 백서향과 구별하고 있습니다. 백서향 학명 : Daphne kiusiana Miq제주백서향 학명 : Daphne jejudoensis M.Kim    백서향의 속명 `Daphne'는 희랍의 여신 이름에서 유래했고, 종소명(種小名)인`kiusian'는 일본.. 2025. 3.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