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난초85

봄을 알리는 난초~ 보춘화 보춘화 Cymbidium goeringii (Rchb.F)>-난초과-   보춘화 報春花>이름에서 알 수 있 듯 봄을 알리는 난초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햇살이 들어와 마치 십자가를 연상케 하는 모습으로연한 연두색의 꽃이 곱게 피어 있습니다.   난초는 영어로 `Orchid'인데 그리스의 `Orchis', 즉 `고환(睾丸)'이란 뜻이라고 합니다.유럽 자생란의 구근 형태가 고환과 비슷해 붙여진 이름이라고 하는데,봄을 알리는 야생화가 많지만,난초중에서도 가장 먼저 꽃피우는 난초과의 식물입니다.   사군자와 함께 등장하는 꽃으로 봄에 핀다하여 '춘란'이라 부르기도 하는데,좀 더 난초 애호가들이 세분하는 것으로 잎 가운데 무늬가 들어가면 '중투'잎 가장자리로 무늬가 들어가면 '복륜' 꽃이 하얗게 피면'소심'이.. 2025. 3. 24.
보춘화가 있는 풍경 오늘은 한 장의 사진으로 하루를 열어 봅니다.이번주에는 이 보춘화를 만나러 가 보겠습니다. 오늘도 고운 하루 되세요. 2025. 3. 20.
몇 년만에 꽃을 피운 난초 퇴근하고 집에 돌아와 현관문을 열자상큼한 향기가 코를 찌릅니다.거실에 있는 난초가 몇 년만에 꽃을 피웠습니다.그 기록을 남겨 놓고자 합니다.   언제 받았는지도 모르는 난 화분이 저희 집에 온 지 10년은 족히 넘었을 듯 합니다.처음에 올 때 꽃이 핀 상태로 왔다가 그 이후 한 번도 꽃을 피우지 않더니 어제 꽃을 피웠는데 무더운 여름날의 기후 때문인 것은 아닌지 궁금합니다.    동양란과 서양란의 기준은 근대 개방 이후에 수입된 난초의 여부로 판단한다고 합니다.몇 년만에 꽃을 피운 난초가 대견하기도 하고 드 향기가 참 그만입니다.작년 겨울에 담았던 한란의 향기를 그대로 닮아 있습니다.      그윽한 난초의 향기로 열어보는 수요일 아침입니다.오늘도 고운 하루 되세요. 2024. 10. 2.
늦여름의 상록성 난초~ 사철란 사철란 Goodyera schlechtendaliana Rchb.f.>-난초과-  붉은사철란을 선두로 지금 시기에 피어나는 사철란은 이 사철란을 비롯하여,털사철란,그리고 가장 늦게 피어난다는 섬사철란으로 이어집니다.잎에 백색무늬가 있어 '알록난초'라고도 부르며 8~9월에 꽃이 한쪽으로 치우쳐 달리는 난초과 식물입니다.    우리나라의 사철란 종류를 보통 6종으로 구별하는데(국가식물표준목록 기준) 사철란을 비롯하여 이 붉은사철란,털사철란,섬사철란,청사철란,애기사철란 등으로 구별하고 있습니다.    제주도에는 한라산의 고지대에서부터 해안가 저지대까지 다양한 식생환경이 조성되어 있어 난초자원이 풍부한 곳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데 키가 1미터 이상의 으름난초를 비롯하여 10센테도 되지 않은 영아리난초까지크기도 다.. 2024. 8. 26.
숲속 초지의~ 잠자리난초 잠자리난초 Habenaria linearifolia Maxim.>-난초과-  오늘은 꽃이 잠자리를 닮았다 해서 ‘잠자리난초’라고  부르는 식물을 만나 보겠습니다.야생란중에서 특히 곤충이나 동식물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난초들이 많이 있습니다.   해오라비를 닮아서 해오라비난초,갈매기를 닮아서 갈매기난초,제비 모양을 닮아서 제비난초,귀여운 병아리를 따서 병아리난초 등등그 종류도 상당히 많이 있습니다.   이 잠자리난초는 잠자리난초속으로 분류되는 것이 아니라 방울난초속에 포함을 하고잠자리난초속에는 2종으로 분류를 하고 있습니다. **방울난초속 : 잠자리난초,민잠자리난초,개잠자리난초,방울난초,제주방울난초,애기방울난초,해오라비난초**잠자리난초속 :  나도잠자리난초,넓은잎잠자리난초     잠자리난초의 꽃을 접사해 .. 2024. 8. 16.
<70-1>무더운 여름날 피어나는~ 손바닥난초 손바닥난초 Gymnadenia conopsea (L.) R. Br>-난초과-  7월이 되면 한라산 해발이 높은 지역에 자생하고 있는 손바닥난초가 꽃을 피웁니다. 손바닥난초라는 이름은 뿌리가 어린 아이의 손바닥을 닮았다 해서 붙여졌습니다.다른 이름으로는 손바닥란, 손뿌리난초, 부리난초라 부르기도 합니다.    학명은 Gymnadenia conopsea인데 종소명 conopsea는 하루살이를뜻하는 그리스어의 conopos에서 왔다고 합니다. 조그마한 꽃이 하루살이를 닮은 데서 유래한 것이라고 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백두산과 한라산 높은 곳의 약간 습한 초지대에서만자라기 때문에 잘 만나지 못하는 귀한 식물군에 들어갑니다. 백두산에서 자라는 것은 키가 1m 가까이 되는 것도 있고 꽃도 비교적 큰 편입니다... 2024. 8.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