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초85 여름 사철란의 선두주자~ 붉은사철란 붉은사철란 Goodyera macrantha Maxim.>-난초과- 우리나라의 사철란 종류들 중에 가장 먼저 꽃을 피우는붉은사철란으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우리나라 제주도와 완도 등 남도 다도해 도서 지방에서 자생하는난초과에 속하는 상록성 여러해살이 난초로 알려져 있습니다. 붉은사철란의 종소명인 'macrantha'는 그리스어로 '큰 꽃의'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아마 사철란 중에서 가장 꽃이 크다는 표현일 것 같습니다. 이 붉은사철란은 이름에서 알 수 있듯 꽃에 붉은 빛이 돌아 붙여진 이름입니다.꽃은 7월 말부터 8월까지 잎과 비슷한 크기로 1~3정도가 달리는데 통으로 피어나마치 새가 노래를 부르는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붉은사철란의 꽃대와 꽃받침에 꼬불한 털이 있으며,꽃부리는 가.. 2024. 7. 30. 잠자리난초보다 작은~ 나도잠자리란 나도잠자리란 Tulotis ussuriensis (Regel & Maack) Hara >-난초과- 오늘은 나도잠자리란으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우리나라 제주와 경기 이북,강원도에 자생한다는 나도잠자리란은 잠자리난초에 비해 꽃의 크기가 작고 습하고,그늘진 깊은 숲속에 자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잠자리난초의 꽃은 흰색이나 이 나도잠자리란의 꽃색은 연녹색을 띠고 있습니다.전체 크기는 30센티의 자 정도 생각하면 될 것 같은데 꽃의 크기가 작아서 접사하기도 쉽지가 않았습니다. 접두어인 '나도'가 붙은 것은 원래는 완전히 다른 분류군이지만 비슷하게 생긴 데서 유래합니다. 예를 들어 나도바람꽃, 나도송이풀, 나도양지꽃, 나도옥잠화등이 있습니다. 잠자리난초와 나도잠자리란의 비교.. 2024. 7. 25. 바람과 함께 피어나다~ 나도풍란 나도풍란 Aerides japonicum Rchb.f.>-난초과- 오늘은 난초과의 다년생 초본식물인 나도풍란을 소개해 드립니다.이 나도풍란은 멸종위기동식물 1급으로 지정된 식물로 주로 상록수림의 나무나 바위에 착생해 살아갑니다.잎이 넓어서 일명 '대엽풍란'이라고 하며 여러 송이의 연녹색의 꽃이 화려하게 피어납니다. 풍란은 말 그대로 바람을 좋아하고 공기 중에서 수분과양분을 흡수하여 살아가는 난이라는 뜻입니다.우리나라 남부의 바위나 나무에 붙어 사는 상록 여러해살이풀입니다. 일본에서는 이 나도풍란을 '나고랑' (명호란)이라 불린다고 하는데,이 풍란의 재배역사를 보면 일본에서는 부호나 권력이 있는 사람들이 많이 찾는다고 하여 일명 '부귀란'이라 불린다고 합니다.우리나라에서는 남도의 지방에서 이.. 2024. 7. 15. 숲속의 으름난초 으름난초 Galeola septentrionalis sp. (Rchb.f.) Garay>-난초과- 6월 말에 포스팅을 했던 으름난초를 다른 숲 속에서 만났습니다.종소명 'septentrionalis'는 라틴어 '북방의'의 뜻으로 '으름난초속' 가운데가장 북쪽 지방에 자생하는 데서 유래하며,국명은 성숙한 열매의 형상이 으름과 비슷한 데서 붙여졌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으름덩굴의 열매의 속에 있는 알찬 열매의 모습을 닮아 있는 모습에서으름난초라는 이름을 얻어 으름덩굴의 열매와 으름난초의 열매를 편집해 보았습니다. 으름난초의 꽃 하나를 접사해 본 사진입니다.황갈색의 꽃이 6월~7월경에 피어 나고꽃받침조각은 긴 타원형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작년에 으름난초의 열매가 떨어져 그 열매를 반으로 갈.. 2024. 7. 12. 여름날의 난초~ 대흥란 대흥란 Cymbidium macrorrhizum Lindl>-난초과- 난초과의 부생식물인 대흥란은 전남 해남의 대흥사 일원에서 처음 확인되었다고 하여“대흥란, 두륜난”이라고 부르며 현재는 전남,강원도 등 우리나라 전역,제주도와 남부지방 해안에 주로 자란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는 이 대흥란은 제주에서는 곶자왈이나 저지대의 숲 속에서 살아가고 있는 난초입니다.특히 이 대흥란은 소나무의 숲속에서 많이 발견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보통 7월 초부터 피어나는 난초인데 올해는 작년보다 개체수가 줄어든 것 같습니다.잎은 없고 꽃이 피면 중앙에 짙은 자색선이 뚜렷하게 나타납니다. 그럼 여기서 멸종위기 야생생물에 대해 알아 볼까요? 멸종위기 야생생물 목록은 지난 2017년 12월 29일.. 2024. 7. 8. 죽백란이 있는 풍경 더욱 기승을 부리고 있는 무더운 여름날의 아침~오늘은 여름에 꽃을 피우는 죽백란 풍경으로 하루를 열어 봅니다. 오늘도 고운 하루 되세요. 2024. 7. 7. 이전 1 2 3 4 5 ··· 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