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행,식물,풍경/초본1105

실같이 가느다란~ 실별꽃 실별꽃 -석죽과- 2020년에 북방계 식물인 이 실별꽃과 왕별꽃이 발견되었다는 소식이 있었습니다. '한반도 북부 지역에서 확인된 북방계 식물 '실별꽃'과 왕별꽃'이 최근 경기도 일대에서 발견됐다.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은 한반도식물연구회와 함께 석죽과 식물 조사 중 최근 '실별꽃'과 '왕별꽃'을 경기도 일대에서 발견했다고 10일 밝혔다.' 실제 찾아가서 만난 실별꽃은 정말 실같이 가느다란 줄기에 잎도 아주 작은 실같은 모습이었습니다. 석죽과 별꽃속인 실별꽃은 한국, 일본, 중국, 러시아 등지에서 분포한다고 알려져 있는데 특히 한반도 내 서식지는 함경도 이북 습지로만 한정돼 있다가 경기도 일대의 하천가에서 발견되었다고 하는데 육지 출사를 가서 직접 찾아.. 2022. 6. 24.
꽃 피는 시간이 특이한~ 산해박 산해박 -박주가리과- 오랫만에 산해박을 만났는데 이미 열매를 맺고 있었습니다. 한방에서는 이 산해박을 '약의 왕'이라 부르기도 하고 '영웅초'란 이름도 있습니다. 한방에서는 이 산해박을 아주 귀한 약재로 사용하였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특이하게도 이 산해박이 꽃피는 시간을 보면 참 특이하답니다. 대부분의 식물들은 햇볕을 좋아하지만 이 산해박은 해가 있으면 꽃이 피지 않고 흐린날이나 비가 오면 꽃을 피우는 특이한 습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여뀌'라는 식물을 해박이라고 한다는데, 이 식물이 여뀌의 가늘고 길쭉한 모습을 닮고 산에서 자란다고 하여 산해박이란 이름을 얻었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잎이 대나무와 비슷하다고 하여 '죽엽세신','토세신'이라 불리기도 하며, 독특한 향으로 '일지향','선향초' 라는 이름으.. 2022. 6. 23.
초롱을 닮은 꽃~ 초롱꽃 초롱꽃 -초롱꽃과- '초롱'을 국어사전에서 찾아보면 - 등불이나 촛불이 바람에 꺼지지 않도록 외피를 씌운 옥외용 제등 이라고 나와 있는데 이 초롱을 닮은 초롱꽃을 만나 보겠습니다. 꽃은 6∼7월에 피고 흰색 또는 황백색으로 밑을 향해 종 또는 초롱 모양으로 달립니다. 초롱(호롱)같이 생겨 초롱꽃이라고 명명되었는데 화관이 상당히 큰 편입니다. 줄기에 털이 거의 없이 매끈하고 가지를 많이 치는 울릉도에서 자라는 섬초롱꽃도 있습니다. 반면, 초롱꽃과의 금강초롱꽃(Hanabusaya asiatca)은 중부 이북의 높은 산에서 자라며 8~9월에 꽃피는 한국특산식물로 보호종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초롱꽃과 관련하여 전해지는 전설 하나 소개해 드립니다. '전설로는 ‘먼 .. 2022. 6. 21.
잎이 둥근 콩팥 모양을 한~ 콩팥노루발 콩팥노루발 -노루발과- 노루발과의 식물도 참 많이 있는데 요즘 산속에서 만나는 노루발과 식물들은 매화노루발, 노루발이 많이 보이는데 강원도에서 만난 이 콩팥노루발은 잎이 둥근 콩팥의 모양을 닮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입니다. 우리나라 북방계 식물로 잎이 둥근 모습을 하고 있는데 이 둥근 모습과 잎맥이 마치 콩팥을 연상케 하여 이름 붙여진 것으로 해석하고 있습니다. 제주도에 내려와 숲속을 거닐다 보니 매화노루발과 노루발이 지금 한창이었는데 이 콩팥노루발도 같은 시기인 6~7월에 꽃이 피어납니다. 근연종인 노루발과 매화노루발의 비교표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가장 큰 특징은 잎이 다르고 꽃차례가 다른 점입니다. 콩팥노루발은 개체수가 많았지만 꽃대를 밀어 올려 꽃을 피운 개체는 많지 않고 드문드문 꽃이 핀 콩팥노루.. 2022. 6. 16.
바닷가의 주름전동싸리 주름전동싸리 -콩과- 바닷가를 산책하다 노란 꽃을 피우고 있는 식물을 만났습니다. 전동싸리를 닮아 있는데 자세히 살펴보니 주름전동싸리라는 귀화식물이었습니다. 싸리 종류도 너무 많은데 주름전동싸리와 근연종으로 전동싸리, 좀전동싸리, 흰전동싸리가 있습니다. 산지도 아니고 어떻게 이 바닷가에 와서 살게 되었는지 궁금하기만 합니다. 노란 꽃망울을 가지마다 달고 피어 있습니다. 전동싸리속 식물로 전동싸리, 좀전동싸리, 흰전동싸리, 주름전동싸리가 있는데 전동이 들어간 식물 이름 유래에 대하여 '전동'의 유래를 찾아 보니, 1) 만주를 중심으로 유라시안 대륙의 동쪽 모든 지역에서 관찰된다는 뜻으로 ‘全東(전동)’이라는 설 2) 분포지가 온 동네의 자라나서 .. 2022. 6. 9.
덩굴성 식물인~ 큰닭의덩굴 큰닭의덩굴 -마디풀과- 쓰러져 있는 폐가를 만나 무슨 식물이 있나 살펴 보던 중 닭의덩굴 종류를 만나 도감을 보고 찾아 확인하였더니 큰닭의덩굴이라는 식물이었는데 꽃이 아주 작아 담기가 어려웠던 기억을 내려 놓습니다. 이 마디풀과의 닭의덩굴 종류들은 꽃이 피면서 열매를 같이 맺는 경우가 많습니다. 큰닭의덩굴 열매의 특징은 열매 주위의 날개에 거치가 발달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큰닭의덩굴의 이삭꽃차례는 가지 끝과 잎겨드랑이에서 나오거나 잎겨드랑이에 모여 달리며 잎 모양의 포가 있고 아래로 처진다고 설명됩니다. 닭의덩굴의 꽃밥은 홍색을 띠고 있는데 반하여 큰닭의덩굴의 꽃밥은 흰색을 띠고 있습니다. 큰닭의덩굴의 잎은 마치 하수오나 박주가리의 잎을 닮아 있고 줄기는 덩굴성으로 다른 물체를 감고 올라가 있습니다. .. 2022. 6.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