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행,식물,풍경/초본1105

종 모양의 꽃을 피운~ 더덕 더덕 -초롱꽃과- 오늘은 밥상 위의 반찬,도라지와 더불어 우리에게 친숙한 식물인 더덕으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그리고 소경불알꽃과도 비교해 보겠습니다. 먼저 이 더덕의 이름이 참 재미 있습니다. 뿌리 전체에 혹이 많아 마치 두꺼비 잔등처럼 더덕더덕하다고 해서 '더덕'이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하는 설명이 있습니다. 더덕의 이름 유래와 관련하여 다음백과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습니다. 더덕의 어원에 대해서는 알 수 없으나 1431년에 간행된 ≪향약채취월령 鄕藥採取月令≫이나 ≪향약집성방 鄕藥集成方≫에는 가덕(加德)이라 표기되어 있다. 가는 ‘더할 가’이니 ‘더’라 읽어야 하고 덕은 ‘덕’이라 읽어야 하니 더덕이 이두식 표기라 할 수 있다. ≪명물기략≫에서는 더덕을 사삼이라 하고, 양유(羊乳)·문희(文希)· .. 2022. 8. 24.
한여름 초지의~ 덩굴박주가리 덩굴박주가리 -박주가리과- 무더운 한여름에 습지를 찾아 덩굴박주가리를 만나 보았습니다. 근처에 사촌격인 흑박주가리와 사이좋게 자리를 잡고 살아가고 있었습니다. 덩굴박주가리와 흑박주가리를 어떻게 구별을 할까? 덩굴박주가리는 다름 식물체를 감아 올라가는데 밑에서부터 작은 벼과 식물이나 사초과 식물들을 감고 올라가는데 반하여 흑박주가리는 위로 곧추서 있고 윗부분에서 덩굴성으로 자라는 특성을 보입니다. 위 사진의 덩굴박주가리와 비교하여 아래의 흑박주가리는 형태가 다른 모습입니다. 육안으로 볼때 꽃으로는 구별하기가 어렵습니다. 흑박주가리의 줄기에는 보시는 바와 같이 줄기에는 털이 밀생하고 있으며 밑부분은 곧추서 있으나 윗부분은 덩굴성으로 자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덩굴박주가리와 흑박주가리의 비교표를 만들어 .. 2022. 8. 23.
송장풀로 속단하지 마세요~ 속단 속단 -꿀풀과- 조금 늦은감이 있는데 오래 전부터 속단이라는 식물을 포스팅하려고 하였는데 늦은감이 있습니다. 송장풀은 지금 한창이지만 지금 고지대의 속단은 아직 꽃이 남아 있지만 해발이 낮은 지역의 속단은 이미 씨방을 만들고 있었습니다. '속단' 이라는 단어를 검색해 보면, 식물인 속단이 검색이 되고 어학사전에서는 '신중히 생각하지 않고 서둘러 판단을 내림' 이라고 검색이 됩니다. 속단을 보고 송장풀이라고 여겼던 속단함을 반성하며 속단임을 상기시켜 주신 산이랑 바다랑님께 이 지면을 빌어 감사를 드립니다. 아래에 보시는 송장풀은 지금 한창 꽃이 피어 있는데 다름 이름으로 개속단이나 산익모초라고 불립니다. 1949년에 '조선식물명집'에 송장풀이란 이름이 처음으로 나오는데,그 이전에는 정명을 개속단,개방앗잎을.. 2022. 8. 22.
깊은 숲속의 나도은조롱 나도은조롱 -박주가리과- 오늘은 박주가리과의 나도은조롱을 만나 보겠습니다. 7~8월에 황백색으로 꽃이 자잘하게 피어 나는데,덩굴성이라 삼나무숲에서 살아가고 있었습니다. 은조롱은 큰조롱의 다른 이름으로 은조롱과 비슷하여 '나도'가 붙었다고 합니다. 덩굴성이라 숲속에서 살아가는 방식이 나름대로의 방법이 있는 것 같습니다. 바위나 돌이 없는 숲 속에서 삼나무의 매끈한 수피를 따라 줄기를 감아 올려 꽃을 피워내고 있었습니다. 나도은조롱의 꽃을 접사한 모습입니다. 자생지에 이 나도은조롱이 너무 많아 정리를 한 것인지 올해는 나도은조롱의 꽃을 보기가 쉽지 않았습니다. 나도은조롱의 설명을 찾아보면 줄기의 아랫부분은 단단한 나무질로 되어 있다고 하는데, 잎만 보면 거의 동그란 원형을 이루고 윤이 나고 상당히 큰 편에 .. 2022. 8. 15.
병아리처럼 작은 식물~ 병아리다리 병아리다리 -원지과- 오늘은 '병아리'이름이 들어간 식물 하나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병아리가 들어간 식물 이름은 이 병아리다리뿐만 아니라 병아리꽃나무,병아리풀,병아리난초,구름병아리난초 정도가 되는데,병아리방동사니도 있는 것을 보면 작은 꽃들에 대한 관심이 병아리로 향하는 것인지도 모를 일입니다. 이 병아리다리는 7~8월에 꽃이 마치 아주 작은 버선 모양으로 피어 납니다. 병아리다리의 속명인 는 성경에 나오는 솔로몬에서 왔다고 하며, 종명인 는 '장타원형의 잎을 가진'이라는 뜻이라고 합니다. 꽃이 얼마나 작은지 이 병아리다리의 전초를 담아 보았습니다. 위쪽에 꽃이 핀 부분을 접사해 본 것이니 그 크기를 가늠할 수 있을지 상상에 맡기겠습니다. 그런데 병아리가 들어간 야생화들을 살펴 보면 그 크기가 작거나 .. 2022. 8. 11.
너무나도 작은~ 영주풀 영주풀 -영주풀과- 오늘은 한라의 옛이름인 "영주"를 따 이름이 붙으면서 알려진 영주풀을 소개해 드리면서 하루를 열어 봅니다. 2007년에 발견된 식물로 엽록소가 없는 부생식물이나 엄연히 암,수꽃을 가지고 있는 식물입니다. 제주를 뜻하는 영주의 이름을 가진 식물들이 몇 있습니다. 이 영주풀을 비롯하여 영주제비란,영주갈고리 등이 있고 지금 소개해 드리는 영주풀이 있습니다. 일본 등 아열대 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아이로 일본에서는 절멸위기종으로 지정 보호하고 있는 식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 크기가 너무나 작아 사진으로 담기에도 어려운 식물입니다. 솔잎 하나보다 더 작은 이 아이를 담으려면 눈이 아파서 한참을 들여다 보고 사진을 담아야 하는 식물입니다. 아주아주 작은 꽃이지만 이렇게 암술과 수술을 가지고 있습.. 2022. 8.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