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의 야생화1474

노란별을 달고 있는 노란별수선~ 노란별수선 <Hypoxis aurea Lour > -노란별수선과- 오늘은 난초같아 보이는 노란별수선이라는 야생화로 하루를 열겠습니다. 이 아이는 1935년 일본의 식물학자인 오이 지사부로에 의해 제주에서 채집한 기록이 있는데, 그 이후,1985년 12월 국내 식물학자인 이우철 박사가 한국식물분류학회.. 2017. 5. 24.
제주의 특산 홍노도라지~ 홍노도라지 <Peracarpa carnosa var. circaeoides (Fr. Schm.) Makino> -초롱꽃과- 오늘 보실 야생화는 도라지는 도라지인데,크기도 아주 작고,습한 지역과 나무그늘을 좋아하는 '홍노도라지'입니다. 이 아이는 서귀포시 동홍동 홍노리에서 발견되었다고 쓰고 있으나, 제주지역명에 '홍노리'라는 지.. 2017. 5. 23.
'슬픈 정열'의 피뿌리풀~ 피뿌리풀 <Stellera chamaejasme L.> -팥꽃나무과- 오늘은 도금양목 팥꽃나무과의 피뿌리풀로 하루를 열어 봅니다. 몽골의 침략과 예속화에 반발하여 삼별초군이 난을 일으키고 진도와 제주도를 근거지로 대항하자 고려조정과 몽골에서는 많은 군사를 동원하여 삼별초군을 토벌하였습니다.. 2017. 5. 22.
사철쑥에 기생하여 살아가는 초종용~ 초종용 <Orobanche coerulescens Steph.> -열당과- 오늘은 어제의 백양더부살이에 이어 우리나라 전역에 걸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진 열당과의 초종용으로 하루를 열겠습니다. 이 초종용은 사철쑥의 뿌리에만 기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백양더부살이와 아주 흡사한 모습을 하고 있.. 2017. 5. 21.
쑥의 양분을 먹고 자라는 백양더부살이~ 백양더부살이 <Orobanche filicicola Nakai > -열당과- 오늘은 쑥뿌리에서 기생하는 식물인 백양더부살이라는 식물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혼자 살아가는 식물이 있는 반면 우리네 삶이 혼자 살아갈 수 없듯 다른 식물의 도움으로 살아가는 식물들이 있습니다. 다른 식물들이 살아가는 .. 2017. 5. 20.
꿀주머니가 없다는 민은난초~ 민은난초 < Cephalanthera erecta var. oblanceolata N. Pearce & P.J.Cribb> -난초과- 오늘은 민은난초를 소개해 드리며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은난초와 아주 흡사한 이 민은난초는 2009년에 순판(난초과의 꽃잎)(距- spur)에 볼록한 꿀샘:꿀주머니(거)가 없다는 의미에서 은난초와 구별하여 민은난초.. 2017. 5.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