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야생화1474 숲속의 은난초~ 은난초 < Cephalanthera erecta (Thunb.) Bl.> -난초과- 오늘은 난초과의 식물로 은난초를 소개해 드리며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요즘은 날씨가 더워 반팔에 자외선 차단크림도 준비하고 진드기도 조심해야 하는 날들이 계속되고 있네요. 깊은 숲속의 응달진 곳에서 피어나는 이 은난초는 5월.. 2017. 5. 18. 고목에 자라는 차걸이란~ 차걸이란 <Oberonia japonica (Maxim.) Makino > -난초과- 오늘은 난초과의 식물인 차걸이란으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이름도 참 특이하지요. 차걸이라? 차걸이란을 검색해 보면 제주도 남부에서 자라는 착생난초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지금이 꽃 피는 시기라서 망원을 가지고 담아 보았.. 2017. 5. 16. 고목에 피어난 석곡~ 석곡 <Moniliforme Dendro-bium> -난초과- 난을 분류하는 기준은 잎의 모양이나,꽃의 화색,피는 모양에 따라 달라지지만, 이 석곡은 화색이 하얀바탕에 살짝 분홍색이 있어서 더더욱 아름다운 것 같습니다. 속명인 덴드로비움 Dendrobium(덴드로비움)은 그리스어의 "나무"라는 뜻과 '산다' 라는 .. 2017. 5. 16. <제주에서 만날 수 없는 야생화 2-6> 김의난초~ 김의난초 <Cephalanthera longifolia (Hudson) Fritsch > -난초과- 오늘은 제주에서 만날 수 없는 야생화 시리즈로 난초과의 식물을 소개해 드립니다. 우리나라 강원도 해안가에서 자라는 이 김의난초는 아직까지 국가표준목록에 등재되어 있지 않은 난초과 식물로 강원도 모처의 김씨문중 산소 .. 2017. 5. 14. <제주에서 만날 수 없는 야생화 2-5> 석죽과의 개벼룩~ 개벼룩 <Moehringia lateriflora (L.) Fenzl > -석죽과- 제주에서 만날 수 없는 야생화를 포스팅해 보고 있습니다. 오늘은 하얀꽃을 피운 석죽과의 개벼룩을 소개해 드리며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개벼룩이라는 곤충도 있지만 우리 식물에는 '벼룩'이 들어간 이름이 많이 있답니다. 이 개벼룩.. 2017. 5. 13. <제주에서 만날 수 없는 야생화 2-4> 각시둥굴레~ 각시둥굴레 <Polygonatum humile Fisch. ex Maxim> -백합과- 갈수록 더워지고 있는 날씨에 봄이 아닌 여름이 성큼 다가온 듯한 느낌의 5월 아침입니다. 오늘은 또다시 제주에서는 만날 수 없는 야생화 시리즈로 각시둥굴레라는 식물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보통 식물명 앞에 '각시'라고 붙는.. 2017. 5. 12. 이전 1 ··· 176 177 178 179 180 181 182 ··· 2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