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의 야생화1474

외계인처럼 생긴 나도수정초~ 나도수정초 < Monotropastrum humile (D.Don) Hara > -노루발과- 오늘은 특이하게 생긴 나도수정초에 대해 알아 봅니다. 아직 이른 시기이기는 하나 5월초부터 피어나기 시작하는 나도수정초는 마치 외계인 모양을 한 듯이 서 있는 노루발과의 식물로 부엽토 위에서 살아가는 부생식물이랍니다... 2017. 5. 11.
<제주에서 만날 수 없는 야생화 2-3> 개느삼~ 개느삼 &lt;Echinosophora koreensis (Nakai)&gt; -콩과- 오늘은 제주에서 만날 수 없는 나무로 개느삼이란 식물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우리나라에만 분포하는 1속1종의 토종나무인 이 개느삼은 1919년 식물 분류학의 시조인 정태현 박사가 처음 발견하여 세상에 알려졌는데 그 당시에는 북한 지.. 2017. 5. 10.
<제주에서 만날 수 없는 야생화 2-2> 삼지구엽초~ 삼지구엽초 &lt;Epimedium koreanum Nakai &gt; -매자자무과- 대통령선거일 새벽 아침입니다. 이번주에는 지난주에 육지 출사로 다녀온 이야기로 제주에서 만날 수 없는 야생화를 포스팅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두번째 이야기로 음양곽이라고도 하는 삼지구엽초를 소개해 드립니다. 한방에서 더욱 .. 2017. 5. 9.
<제주에서 만날 수 없는 야생화 2-1> 복주머니란~ 복주머니란 &lt;Cypripedium macranthos Sw.&gt; -난초과- 어버이날 아침입니다. 지난 징검자리 연휴 기간동안 뭍나들이를 하였습니다. 멀리 여행을 떠나는 대신에 육지에 있는 야생화를 만나고 돌아 왔습니다. 오늘부터는 예전에 포스팅한 바 있는 제주에서 만날 수 없는 야생화를 포스팅해 보겠.. 2017. 5. 8.
큰개별꽃과 변이종에 관한 소고~ 큰개별꽃 &lt;Pseudostellaria palibiniana (Takeda) Ohwi&gt; -석죽과- 일요일 아침입니다.오늘은 큰개별꽃으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별을 닮아 있다고 하여 붙여진 별꽃류들은 종류도 상당히 많이 있습니다. 4월 봄이 되면 이 큰개별꽃이 봄을 먼저 알려 주는데,줄기 끝에서 위를 향해 1개의 꽃이 .. 2017. 5. 7.
이끼류의 풍경이끼~ 풍경이끼 &lt;Encyclopaedia Britannica &gt; -표주박이끼과- 오늘은 어제의 구슬이끼에 이어 풍경이끼로 하루를 열어 봅니다. 4월 뭍나들이 갔을때 담아 온 아이로 개체수가 적어 사진이 몇 장 되질 않네요. 그리고 풍경이끼와 비슷한 큰잎풍경이끼,아기풍경이끼가 있는데 정확한 동정은 숙제로 .. 2017. 5.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