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야생화1474 <제주에서 만날 수 없는 야생화> 깽깽이풀~ 깽깽이풀 <Jeffersonia dubia Benth. & Hook. f. ex Baker & S. Moore > -매자나무과- 제주에서 만날 수 없는 야생화를 포스팅하고 있습니다.오늘은 깽깽이풀로 아침을 열어 봅니다. 잎보다 먼저 나온 꽃줄기에서 연보라빛꽃이 진 다음에 꽃밥이 마치 해금의 다른말인 일명 '깽깽이'를 닮았다고 하여 .. 2017. 4. 21. <제주에서 만날 수 없는 야생화> 매화마름~ 매화마름 < Ranunculus kazusensis Makino > -미나리아재비과- 제주에서 만날 수 없는 야생화 이야기로 포스팅을 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모내기를 하기 전 논이나 저수지에 잘 자라는 귀여운 식물인 매화마름을 만나 보겠습니다. 꽃이 물매화를 닮아 있고 잎이 붕어마름을 닮아 매화마름이라.. 2017. 4. 20. <제주에서 만날 수 없는 야생화> 금오족도리풀(녹화)~ 금오족오리풀 <Asarum patens (K.Yamaki) B.U.Oh > -쥐방울덩굴과- 오늘부터는 제주에서 만날 수 없는 야생화로 포스팅을 해 보겠습니다. 지난 주말에 뭍나들이를 하여 제주에서 볼 수 없는 야생화를 담아 왔는데,강원도,충남 지역을 돌아 보고 왔습니다. 먼저 오늘 보실 야생화는 족도리풀 중.. 2017. 4. 19. 한국 특산식물인 모데미풀~ 모데미풀 <Megaleranthis saniculifolia Ohwi> -미나리아재비과- 오늘은 모데미풀이란 식물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1935년 지리산 운봉 쪽 모데미라는 곳에서 일본인 학자 오이 지사부로[大井次三郞]가 발견한 식물로 모데미풀속 가운데 유일한 종이며 세계에서는 우리나라에서만 자라는 .. 2017. 4. 18. 선괭이눈 이야기~ 선괭이눈 <Chrysosplenium trachyspermum Maxim.> -범의귀과- 고양이를 옛날에는 '괭이'라 불렀다고 하는데,오늘은 선괭이눈을 소개하면서 하루를 열어 봅니다. 괭이눈은 꽃이 지고 열매가 익어갈 때는 씨앗을 감싸던 씨방이 벌어지는데 그 모습이 고양이 눈을 닮았다고 합니다. 이런 이유로 괭.. 2017. 4. 17. '홀아비'가 붙은 야생화 홀아비꽃대~ 홀아비꽃대 <Chloranthus japonicus Siebold > -홀아비꽃대과- 홀아비꽃대과에 속하는 이 홀아비꽃대는 꽃잎이 없이 꽃술만 핀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랍니다. 다른 해석으로는 하얗게 피는 흰색꽃이 마치 할아버지가 수염을 깍지 않는 모습을 닮았다 하여 홀아비꽃대란 이름이 붙여졌다는 .. 2017. 4. 15. 이전 1 ··· 180 181 182 183 184 185 186 ··· 2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