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제주의 나무966

한라산의 작은 관목~ 섬매발톱나무 섬매발톱나무 Berberis amurensis var. quelpaertensis Nak.>-매자나무과-  오늘은 한라산의 작은 관목인 섬매발톱나무를 만나 보겠습니다.가을이 익어가는 요즘 빨간 열매가 가득 피어 있습니다.매자나무과에는 이 섬매발톱나무를 비록하여 남천, 매발톱나무,매자나무,당매자가 있습니다. 한라산의 고지대에 분포하는 수종으로 구상나무림과 털진달래밭 사이사이에 피어 나는 작은 관목입니다.    매발톱나무와의 구별은 잎이 작고 털 모양의 톱니가 많은 것이 특징이라고 하는데,6개의 꽃받침 조각안에는 수술 6개, 암술 하나가 들어있습니다.그러나 이 섬매발톱나무의 특징은 잎에 거치가 많이 나 있고 줄기와 잎에나 있는 날카로운 무시무시한 가시에 있습니다.실제로 여러 번 찔린 기억이 있는 나무인데 상.. 2024. 10. 24.
청람색 열매를 가진~ 노린재나무 노린재나무  Symplocos chinensis for. pilosa>-노린재나무과-   오늘은 한라산의 노린재나무과의 노린재나무를 소개해 드립니다.한라산 성판악 또는 어리목 코스나 영실 코스를 통해 산행을 하다 보면 9월 말부터 파란 열매를 가진 나무를 만날 수 있는데 바로 노린재나무입니다.지금 노린재나무에 열매가 맺혀 있는 시기이기도 합니다.   한라산을 산행하다 보면 이렇게 청람색을 가진 열매를 달고 있는노린재나무를 많이 만날 수 있습니다.보통 빨갛게 익거나 검게 익는 나무들과는 확연히 다른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노린재나무는 전통 염색의 매염제로 널리 쓰인 황회를 만들던 나무로 알려져 있습니다.잿물이 약간 누런빛을 띠어서 노린재나무란 이름이 붙여진 것으로 보이는데,다른 이름으로 황회목(黃灰木)이라.. 2024. 10. 21.
상록성의 나무에 기생하는~ 참나무겨우살이 참나무겨우살이 Taxillus yadoriki (Siebold ex Maxim.) Danser >-겨우살이과-   오늘은 참나무겨우살이를 소개해 드입니다.겨우살이의 유래에 대해서는 '겨우겨우'살아간다는 데서 온 설과,'겨울살이'가 겨우살이로 되었다는 설이 있습니다.겨우살이는 세계적으로 1400여 종류로 알려져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참나무겨우살이, 꼬리겨우살이, 겨우살이, 붉은겨우살이, 동백나무겨우살이 등 5종류 정도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이 참나무겨우살이는 참나무과의 나무에만 기생하는 것은 아니고제주에서는 구실잣밤나무,동백나무,후박나무,육박나무,생달나무 등에도 번식을 합니다.    제주에서는 주로 서귀포 지역에서 많이 관찰되는데 일부 보도에 따르면,지구 온난화로 인하여 제주에서는 해발 100여미터에서.. 2024. 10. 15.
졸갱이가 익어가는 계절~ 으름덩굴 으름덩굴 Akebia quinata (Thunb.) Decne >-으름덩굴과-  요즘 산이나 들에 많이 보이는 식물인 으름덩굴이 열매를 달고 있습니다. 곶자왈이나 오름 둘레길, 수목원 근처의 빌레 등 어디에서나 만날수 있는덩굴성 목본인 으름덩굴 열매로 하루를 시작해 봅니다.   종자를 따로 떼어내어 모눈용지에올려놓고 사진을 촬영해 보았습니다.    가을에 열매가 익으면 많이 따 먹었다는 으름덩굴,이 으름덩굴의 씨앗으로는 기름을 짜거나,호롱불을 켜는데 사용했다고도 합니다. 제주에서는 이 으름덩굴을 "유름",또는 "졸갱이" 라고 합니다.다른 나무나 돌담을 휘감고 자라는 덩굴성 나무입니다.     도감에서는 4~5월에 꽃이 핀다고 나와 있으나제주에서는 3월에도 이미 꽃이 핀 으름덩굴을 많이 만날 수 있습니다... 2024. 10. 4.
참회나무가 있는 풍경 그토록 무더웠던 여름이 지나가는지참회나무도 단풍이 들며 열매가 달리고 있습니다.참회나무가 있는 풍경으로 하루를 시작해 봅니다. 2024. 9. 29.
'헤이즐넛' ~ 개암나무의 열매 개암나무  heterophylla Fisch. ex Trautv.>-자작나무과-   웹상에서 '헤이즐넛'을 검색해 보면 '개암'또는 '개암나무의 열매'로 검색되시는 걸 볼 수가 있습니다.열매인 개암에는 지방과 단백질이 많이 들어 있으며 날것으로 먹으면 밤맛이 나고,개암의 즙에 쌀을 갈아 넣어서 죽으로 먹기도 하는데 이 죽을 '개암죽 '또는 '진자죽'이라고 합니다.    제주에는 이 개암나무는 자생하지 않고 참개암나무가 많이 자라고 있습니다.일전에 육지 출사를 가면서 개암나무에 열매가 달려 있어 담아 본 사진입니다.   그런데 제주에서 자라는 참개암나무의 열매는 개암나무와는형태가 조금 다르게 생겼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개암나무를 비롯하여 참개암나무, 난티잎개암나무, 병개암나무, 물개암나무 등이서식하는.. 2024. 9.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