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매발톱나무 <Berberis amurensis var. quelpaertensis Nak.>
-매자나무과-
오늘은 한라산의 작은 관목인 섬매발톱나무를 만나 보겠습니다.
가을이 익어가는 요즘 빨간 열매가 가득 피어 있습니다.
매자나무과에는 이 섬매발톱나무를 비록하여
남천, 매발톱나무,매자나무,당매자가 있습니다.
한라산의 고지대에 분포하는 수종으로 구상나무림과
털진달래밭 사이사이에 피어 나는 작은 관목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pfK2K/btsKf6HYzDO/SD7Pm4mLHdtkJ0hzadGLmk/img.jpg)
매발톱나무와의 구별은 잎이 작고 털 모양의 톱니가 많은 것이 특징이라고 하는데,
6개의 꽃받침 조각안에는 수술 6개, 암술 하나가 들어있습니다.
그러나 이 섬매발톱나무의 특징은 잎에 거치가 많이 나 있고 줄기와 잎에
나 있는 날카로운 무시무시한 가시에 있습니다.
실제로 여러 번 찔린 기억이 있는 나무인데 상당히 아파서 고생했던 추억 아닌 추억이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vlVNN/btsKeGDNMXd/SfB7YmLeSkDn6qUbbpT2q1/img.jpg)
이 섬매발톱나무의 가장 큰 특징은 줄기에 1~2센티 정도의 가시가 3개씩 짝을 이루어 나는데,
매발톱나무의 이름은 바로 이 가시의 모양이 매의 발톱을 닮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yOOK9/btsKeUhtHJH/JB2tzmkjnDwKkjph0hk760/img.jpg)
매자나무과의 나무들을 살펴 보면,
매자나무를 비롯하여 당매자나무, 울릉도와 강원도에서 자라는 왕매발톱나무, 남천 등이 있습니다.
매자나무는 우리나라가 원산이며 경기도, 강원도 지역에서 자라는 관목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nfOZh/btsKfH2Rtax/uODqtn9Dpr2dc4Wtu90wo1/img.jpg)
이명으로 '당소별'이라고도 불리는 당매자나무는 봄이 무르익어가는
4월경에 노란 꽃을 피우는데 꽃이 정말 곱습니다.
짧은 가지에 여러개의 꽃이 자잘하게 달려 피어 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8O4Dq/btsKeB3QvOk/OwZlGu6ifTegWtUtCLF0t0/img.jpg)
또한 울릉도에서 자라는 왕매발톱나무도 있습니다.
왕매발톱나무의 가시는 섬매발톱나무의 가시보다 아주 짧아
잘 보지 않으면 가시가 있는 줄 모르겠더랍니다.
섬매발톱나무는 지금 한창 꽃을 피우는데 반하여 왕매발톱나무의 꽃은 5월 초에 피어 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eyFuAX/btsKfKyoDP7/RKqbzymn0tmXU9P8LZQXr0/img.jpg)
한라산 영실을 통하여 산행을 하다 보면,전망대를 지나 해발 1,400고지를 넘어 서면
노란 꽃망울을 가진 작은 나무를 만날 수 있는데 바로 이 섬매발톱나무입니다.
5월 말부터 피기 시작하여 6월 초까지 꽃을 볼 수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Jeybi/btsKgDL626K/63SkF89ZEIDCpSQdgd9oAK/img.jpg)
이 섬매발톱나무의 꽃말이 '순결','변하지 않는 아름다움'이라고 합니다.
오늘도 변하지 않는 아름다움으로 하루를 열어 봅니다.
오늘도 고운 하루 되세요.~
![](https://blog.kakaocdn.net/dn/pftHR/btsKeOVWBUV/MM0tqZNe8NkuaNRCmJoCtK/img.jpg)
'여행,식물,풍경 > 한라산의 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계곡에 피어난~ 한라노루오줌 (23) | 2024.08.08 |
---|---|
<70-1> 한라산의 작은 식물~ 애기더덕 (23) | 2024.08.02 |
<70-1>한라산의 산매자나무 (22) | 2024.07.26 |
실처럼 가느다란~ 실꽃풀 (18) | 2024.06.28 |
실처럼 가느다란~ 실꽃풀 (3) | 2023.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