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의 나무961 섣달에 피는 매화~ 臘梅(납매) 설날 아침입니다.오늘은 섣달에 피는 매화라는 뜻의 납매 사진 한장을 올려 드리면서 방문해 주신 모든 분들께 인사 올립니다. 고운 날 되세요. 2025. 1. 29. 새순이 돋아나는~ 덧나무 덧나무 Sambucus sieboldiana (Miq.) Blume ex Graebn>-인동과- 오늘은 인동과 딱총나무속의 덧나무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우리나라 남해안과 제주도에 분포하는 수종으로 덧나무도 봄에 꽃을 피우는 나무입니다.지금은 덧나무에 새순이 돋아나고 있습니다. 잎은 마주나고 2~4쌍의 작은 잎이 달리는데,잎 앙면에는 털이 없고 가장자리의 잎 한쪽이 안으로 굽어 자랍니다.이 덧나무를 검색하면 '접골목'이 연관검색어로 검색이 되는데 예전부터이 덧나무로 뼈를 치로하는데 사용하였다고 합니다.덧나무라는 이름은 제주방언인 '덧낭'에서 왔다고 하는데 '덧'의 의미는 무엇인지 알 수가 없네요. 덧나무의 겨울눈은 작은 장난형으로 가지 끝에서 나와잎이 막 나오려고 준비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 2025. 1. 27. 꿈 속의 사랑~ 제주백서향 제주백서향 Daphne jejudoensis M.Kim.>-팥꽃나무과- 봄은 멀지 않은지 제주의 허파 곶자왈에서는 백서향 꽃이 피어나고 있습니다.제주의 봄은 이 백서향의 향기에서 출발한다고 하는데제주백서향이 하나 둘 잠에서 깨어 꽃망울을 터뜨리고 있습니다. 2013에 실린 식물분류학회지의 논문에 따르면 제주에서 자라는 백서향을'제주백서향'Daphne jejudoensis M.Kim>이라는 별도의 종으로 구분하고 있습니다.이 논문에 따르면 제주백서향은 꽃받침통과 열편(꽃잎이 펼쳐진 부분)에 털이 없고긴 타원형 잎을 가진 것으로 백서향과 구별하고 있습니다. 백서향 학명 : Daphne kiusiana Miq제주백서향 학명 : Daphne jejudoensis M.Kim 백서향의 속명 `Daphn.. 2025. 1. 25. 우연히 만난 돌담의~ 푼지나무 푼지나무 Celastrus flagellaris Rupr. >-노박덩굴과- 지난 주말에 점심을 먹으러 갔다가 근처 돌담에서 만난 푼지나무 이야기입니다.푼지나무는 노박덩굴과의 나무인데 노박덩굴과 아주 닮아 있지만 턱잎이변한 가시가 나 있는 것이 특징인 나무입니다. 5월이 되면 녹황색의 작은 꽃을 피우는데 암수딴그루이며이 푼지나무는 턱잎이 변한 가시가 나 있는 것이 노박덩굴과 다르며 노박덩굴에 비해전초가 작고 잎도 작은 것이 특징입니다. 조선식물햑명집 주해서인 에서 이 푼지나무에 대한설명이 나오는데 '푼지나무라는 이름은 직접적으로 '조선삼림수목감요' 에서전라남도 방언을 채록한 것으로 유래했다. 전라남도에서 분지나무로 불리던발음이 변형된 것으로 보인다.' 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노박덩굴과의 .. 2025. 1. 22. 한겨울의 겨울딸기 겨울딸기 Rubus shimadai Hayata>-장미과- 지난 주 제주의 중산간에 에 눈이 많이 와서 설중의 겨울딸기를 담을 수 있었습니다.그 고운 모습의 겨울딸기를 만난 행운을 보여 드립니다. 열매가 가을에서 겨울로 가는 시기에 익는다고 하여 겨울딸기라는 이름을 얻었습니다.8월~9월경에 하얀꽃이 피어나는데 지역에 따라 10월까지도 꽃을 볼 수가 있는데11월부터 열매가 익기 시작하여 이듬해까지도 열매를 볼 수 있는 장미과의 딸기나무입니다.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딸기 종류들은 대부분 빨간 열매를 가지고 있습니다.복분자딸기나 검은딸기처럼 검은색의 열매도 있으나 대부분의 딸기는 빨간색으로 익어갑니다.그리고 줄기에 보통 가시가 있으나 이 겨울딸기는 가끔 가시가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이 겨울딸기의 꽃.. 2025. 1. 20. 하나 둘 꽃망울~ 제주백서향 제주백서향 Daphne jejudoensis M.Kim.>-팥꽃나무과- 봄은 멀지 않은지 제주의 허파 곶자왈에서는 백서향 꽃이 피어나고 있습니다.제주의 봄은 이 백서향의 향기에서 출발한다고 하는데제주백서향이 하나 둘 잠에서 깨어 꽃망울을 터뜨리고 있습니다. 2013에 실린 식물분류학회지의 논문에 따르면 제주에서 자라는 백서향을'제주백서향'Daphne jejudoensis M.Kim>이라는 별도의 종으로 구분하고 있습니다.이 논문에 따르면 제주백서향은 꽃받침통과 열편(꽃잎이 펼쳐진 부분)에 털이 없고긴 타원형 잎을 가진 것으로 백서향과 구별하고 있습니다. 백서향 학명 : Daphne kiusiana Miq제주백서향 학명 : Daphne jejudoensis M.Kim 백서향의 속명 `Daphn.. 2025. 1. 13. 이전 1 2 3 4 ··· 16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