덧나무 <Sambucus sieboldiana (Miq.) Blume ex Graebn>
-인동과-
오늘은 인동과 딱총나무속의 덧나무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우리나라 남해안과 제주도에 분포하는 수종으로 덧나무도 봄에 꽃을 피우는 나무입니다.
지금은 덧나무에 새순이 돋아나고 있습니다.
잎은 마주나고 2~4쌍의 작은 잎이 달리는데,
잎 앙면에는 털이 없고 가장자리의 잎 한쪽이 안으로 굽어 자랍니다.
이 덧나무를 검색하면 '접골목'이 연관검색어로 검색이 되는데 예전부터
이 덧나무로 뼈를 치로하는데 사용하였다고 합니다.
덧나무라는 이름은 제주방언인 '덧낭'에서 왔다고 하는데 '덧'의 의미는 무엇인지 알 수가 없네요.
<덧나무의 새순>
덧나무의 겨울눈은 작은 장난형으로 가지 끝에서 나와
잎이 막 나오려고 준비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나온 잎은 5~7개의 복엽으로 자라게 됩니다.
예부터 이 덧나무의 뿌리와 껍질,줄기와 잎을 이용하여
심장질환이나 통증 치료에 사용하였다고 하며 특히 부러진 뼈 치료에 많이 사용하였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명으로도 제주에서 많이 자라서 '탐라접골목'이라고도 불리는 나무입니다.
<꽃이 피기 전의 덧나무>
3~4월에 가지 끝에 원추꽃차례로 엷은 노란색을 띤 흰색의 꽃이 자잘하게 뭉쳐 피어 납니다.
예전에는 이 덧나무의 가지를 집안에 걸어 두어
사악한 기운이 오지 못하도록 막는데 사용하였다고 합니다.
암술대 끝이 붉은색을 띠는 것도 특징입니다.
우리나라 딱총나무속에는 이 덧나무를 비롯하여,
말오줌나무,지렁쿠나무,딱총나무 등이 숲속에서 자라는데
이 덧나무는 주로 제주도에서 자라는 수종입니다.
덧나무의 수피는 세로로 불규칙하게 갈라지며 사마귀같은 피목이 발달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아주 오래된 나무는 골이 아주 깊게 패어 있습니다.
<덧나무의 수피>
덧나무의 꽃말이 '열심'이라고 합니다.
나무공부,야생화 공부를 열심히 하라고 덧나무가 내게 주는 교훈인 것 같습니다.
오늘도 고운 하루 되세요.~
<덧나무의 열매>
'여행,식물,풍경 > 목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린내덩굴' 이라 불리는 계요등 (2) | 2025.02.07 |
---|---|
겨울에도 강한 나무~ 회양목 (3) | 2025.02.05 |
꿈 속의 사랑~ 제주백서향 (5) | 2025.01.25 |
우연히 만난 돌담의~ 푼지나무 (6) | 2025.01.22 |
한겨울의 겨울딸기 (6) | 2025.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