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의 나무966 자귀나무의 흰색 변이~ 자귀나무 자귀나무 Albizzia julibrissin Durazz.>-콩과- 자귀나무는 밤이 되면 증산작용을 줄이기 위하여 소엽이 서로 마주보기로 붙어 버리는데이 모양이 부부의 금실을 상징하는 뜻으로 합환수(合歡樹)라고 불립니다.이 자귀나무꽃은 너무 아름다워 마치 화려한 부채살 같아 보이는데분홍색을 가진 자귀나무가 일반적이지만 흰색의 자귀나무도 있습니다. 자귀나무의 겨울눈은 엽흔 속에 숨어 있다가 봄이 되어야그 모습을 드러냅니다. 자귀나무 수피는 예덕나무의 수피와 비슷하지만 예덕나무는피목이 안으로 들어가 있지만이 자귀나무는 반대로 피목이 밖으로 나와 있습니다. 반면, 오래된 자귀나무의 수피는 조금 다르게 보입니다.수피만 가지고 판단하기에는 쉽지 않아 겨울눈까지 봐야 하는 이유입니다. 이 자귀.. 2024. 7. 13. 한라산에서 자라는 치자나무~ 영주치자 영주치자 Gardenia insularis Nakai >-마전과- 오늘은 마전과로 분류된 영주치자를 만나 보겠습니다.한라산에서 자라는 치자나무라는 이름을 가진 영주치자라는 덩굴성 식물입니다.우리나라의 마전과에는 2속 3종의 식물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식물명에 '영주'가 붙어 있지만 제주에서만 자생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나라의 완도,보길도에도 분포하는 것으로 나와 있습니다. 용담목 마전과에는 부들레야속의 부들레야,영주치자속의 영주치자,벼룩아재비속의 큰벼룩아재비,벼룩아재비로 구별하고 있는데,이 영주치자는 상록성 덩굴나무입니다. 특이하게도 주말에 만난 영주치자는 흰색이 아니라모두 꽃잎이 노란색을 띠고 있습니다. 그동안 만나왔던 영주치자는 흰색으로 피었다가 점차 노란색으로바뀌어 피고 지.. 2024. 7. 11. 망개낭이라고 따로 있다. 망개나무 망개나무 Berchemiella berchemiifolia (Makino) Nakai >-갈매나무과-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제주어인 망개낭이라고 하면 으레 청미래덩굴을 떠올릴 것입니다.전라도와 경상도에서 청미래덩굴을 망개나무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그러나 망개나무라고 이름 붙여진 나무는 따로 있습니다.망개나무에 열매가 가득 달려 있습니다. 망개나무의 열매가 팥알만큼 크기로 자잘하게 많이 달려 있습니다. 육지에서는 보통 가을에 익는데 반하여 제주에서는 여름에 황갈색으로 익어가고 있습니다. 5월 중순이면 새끼손톱 반만 한 크기의 작은 연노랑 꽃이 짧은 꽃대를 뻗어 원뿔모양의 꽃차례에 달립니다. 비교적 많은 꽃이 오래 피어 나는데 꽃이 필 무렵 담아 온 사진이 흔들려 다 버렸던 기억이 있습니다. .. 2024. 7. 6. 꽃의 구조가 단순한~ 죽절초 죽절초 Chloranthus glaber (Thunb.) Makino >-홀아비꽃대과- 오늘은 사랑의 열매를 가진 죽절초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죽절초는 줄기에 대나무와 같은 마디가 생기며, 풀과 같이 부드러운 성질을 가진 연유로죽절초라고 이름 지어진 떨기나무로 제주의 숲 속에서 드물게 자라는 나무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드물게 자라는 나무이지만 세계적으로는 아열대지방을 비롯하여 동남아시아 및 일본 지방과 중국 남부 지방에서는 흔히 자라는 수종으로 알려져 있습니다.여름이 오는 7월 초순부터 꽃이 피어나는데 꽃은 볼품이 없습니다. 죽절초의 줄기를 보면 마치 대나무의 마디를 닮아 있습니다.늘푸른 상록성 나무로 키가 보통 1미터 내외로 자랍니다. 꽃잎과 꽃받침이 없고 꽃이 너무 작아서 꽃이 .. 2024. 7. 4. 선구식물인~ 예덕나무 예덕나무 Mallotus japonicus Muell. Arg.>-대극과- 오늘은 제주에서는 흔히 볼 수 있는 예덕나무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예덕나무는 위궤양과 위염의 치료에 쓰였다는 자료가 있을 정도로 효능이 좋은 나무로 알려져 있습니다. 나무모양이 오동나무를 닮았다고 하여 "야오동"이라고 하며,새순이 붉은빛을 띤다고 하여 "적아백"으로도 불리는 나무입니다. 보통 예덕나무는 관목이나 아교목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제주의 깊은 곶자왈에서는 교목으로 아주 큰 예덕나무를 가끔 만날 수 있습니다. 예덕나무의 이름 유래와 관련하여 '禮德' 즉,예와 덕을 갖춘 나무라는 이야기가 있지만설득력이 없어 보이고,중국식 이름인 '예통나무'에서 온 것이라는 설이 있습니다.남부 지방의 방언인 예닥나무라고 불리는 .. 2024. 6. 26. 올림머리가 생각나는~ 산매자나무 산매자나무 Vaccinium japonicum Miq.>-진달래과- 오늘은 꽃과 열매가 아름다운 산매자나무를 소개해 드립니다.나무라 아주 큰 것으로 생각되지만 작은 낙엽소관목으로 높이는 1미터가 채 되질 않습니다.우리나라의 제주도와 일본에 분포하는 나무로 알려져 있습니다. 매자나무는 매자나무과에 속하지만 이 산매자나무는 진달래과인 점도 기억을 해야겠네요.제주방명으로는 '산메자','산메자낭','몰간두'로 불렸다고 하며,꽃받침이 4개로 갈라져 말려 올라가다 보니 꽃의 형태가 아름다운 옛 처녀의 올림머리처럼 보입니다. 매자나무과의 나무로는 매자나무, 매발톱나무,왕매발톱나무, 섬매발톱나무가 있는데,이 산매자나무는 족보가 전혀 다른 진달래과의 작은 관목입니다.가지를 많이 치고 작은 잎 사이에서 피어나.. 2024. 6. 19.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 16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