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의 나무967 멍석을 깔아 놓은 듯~ 멍석딸기 멍석딸기 Rubus parvifolius L. >-장미과- 어제의 검은딸기에 이어 요즘 한창 꽃이 피어있는 멍석딸기를 만나고 왔습니다.딸기 종류들 중 가장 일찍 피는 장딸기, 수리딸기, 검은딸기에 이어멍석딸기도 꽃을 피우고 있습니다. 멍석딸기의 이름에 관하여 에서는,멍석을 깔아놓은 것처럼 줄기가 땅바닥을 기면서 자라는 산딸기라는뜻으로 줄기가 자라는 모습을 짚으로 네모지게 만든 큰 깔개인 멍석에비유한 것에서 유래한다고 적고 있습니다. 다른 딸기 종류들과는 달리 꽃잎이 젖혀지지 않아 홍자색 꽃잎과수술의 길이가 비슷하여 꽃처럼 보이지 않는 것도 멍석딸기의 특징입니다. 멍석딸기의 꽃을 접사해 본 사진입니다.꽃잎이 꽃받침보다 짧고 달걀 모양의 잎이 3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한여름이.. 2024. 5. 10. 숲 속의 검은딸기 검은딸기 Rubus croceacanthus H.Lev. >-장미과- 오늘은 딸기 종류인 제주도에서 자생한다는 검은딸기라는 장미과의 식물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산에서 자라는 딸기를 우리는 흔히 산딸기라고 부르지만 산딸기라는 식물은 따로 있습니다.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딸기 종류가 상당히 많이 있습니다.우리가 흔히 보이는 식물로 장딸기,멍석딸기,줄딸기,거지딸기,뱀딸기 등 그 종류만도 상당히 많은데 5월 초부터 피기 시작하는 검은딸기는 제주도에서만 자라는 장미과의 소관목입니다. 장미과의 딸기 종류들은 대부분 가시를 가지고 있습니다.울릉도의 섬딸기는 가시가 없고 가시딸기는 '가시' 이름을 가졌지만 가시가 그렇게많지는 않아서 왜 가시딸기로 불렸는지 궁금했던 기억이 있습니다.이 검은딸기도 줄기에 거.. 2024. 5. 9. 종이의 원료가 되는~ 닥나무 닥나무 Broussonetia kazinoki Siebold >-뽕나무과- 오늘은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종이의 원료가 되는 나무인 닥나무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닥나무의 껍질에는 ‘인피섬유(靭皮纖維)’라고 하는 질기고 튼튼한실 모양의 세포가 가득 들어 있다고 합니다.이런 탓에 예부터 닥나무를 이용해 한지를 만들었다는 사실은 너무나 잘 알려져 있습니다. 서양에서는 이집트의 나일강변에 야생하는 ‘파피루스(papyrus)’라는 갈대와 비슷한식물을 저며서 서로 이어 사용했다고 하는데, 종이라고 하기에는 영 엉성했지만,오늘날 ‘페이퍼(paper)’의 어원이 되었다고 알려지고 있습니다. 종이가 처음 만들어진 것은 중국 후난때 '채윤'이 발명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삼 · 뽕나무 · 퉁나무 등을 원료로 하.. 2024. 5. 6. 산에 자라는~ 산뽕나무 산뽕나무 bombycis Koidz. >-뽕나무과- <p style="tex.. 2024. 5. 1. '아카시아' 말고 아까시나무로 불러 주세요. 아까시나무 Robinia pseudoacacia L. >-콩과- 요즘 길을 가다보면 꽃이 많이 피어 있는 나무를 만날 수 있는데 바로 아까시나무입니다.향기가 좋아 밀원식물의 대표적인 수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꿀을 따는 사람들은 아까시나무가 꽃 피는 시기를 쫓아 제주도에서부터강원도의 휴전선까지 벌통과 함께 올라간다고 합니다. '아까시나무는 ‘아카시아’로 더 널리 알려져 있는데 아까시나무 종류는 열대지방에서주로 자라는 진짜 아카시아와 우리 주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미국 원산의 아까시나무가 있지만 전혀 별개의 나무입니다.우리나라에 처음 들어올 때 이 둘을 구별하지 않고 불러온 탓에 혼란이 생긴 것으로 설명하고 있는데 진짜 ‘아카시아’는 한반도에서는 자랄 수 없으므로 아까시나무라고 불러야 맞는 이름입.. 2024. 4. 30. 하얀 쌀밥이 가득~ 이팝나무 이팝나무 Chionanthus retusa Lindley et Paxton>-물푸레나무과- 어제 친구를 만나러 가는데 가로수에 하얗게 피어있는 나무를 만났습니다.무슨 나무일까? 궁금하여 살펴 보았더니 바로 이팝나무였습니다.오늘은 농민들이 오랫동안 풍년을 점치는 나무로 삼았다고 하는 이팝나무로 하루를 열어 봅니다. 이팝나무의 이름에 관한 유래를 보면,몇 가지 설이 있는데요. 1) 입하(立夏) 무렵에 꽃이 피므로 입하가 이팝으로 변음하였다는 것이고,2) 이 꽃이 만발하면 벼농사가 잘 되어 쌀밥을 먹게 되는 데서이팝(이밥, 즉 쌀밥)이라 불리게 되었다는 것이며 3) 꽃이 필 때는 나무가 흰 꽃으로 덮여서 쌀밥을 연상시키므로이팝나무가 되었다는 등의 설이 있습니다. 조선식물향명집 주해서인 한국 식물 이름의 유.. 2024. 4. 29. 이전 1 ··· 11 12 13 14 15 16 17 ··· 16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