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제주의 나무963

노란 열매가 달린~ 탱자나무 탱자나무 Poncirus trifoliata (L.) Raf.>-운향과-  귤나무가 바다를 건너면 탱자나무가 된다? 탱자나무의 묘목을 연필 굵기만큼 잘라 그 곳에 품종이 좋은 귤나무의 가지를 붙여개량한 품종의 귤나무를 얻기 위해 이 탱자나무를 이용합니다.우리가 흔히 말하는 접목(접붙이기)이라고 합니다.10월이 다 가는 최근에 이 탱자나무의 열매를 담아 보았습니다.   이렇게 만든 묘목을 키우면 뿌리는 탱자나무이고 위에서 자라는 나무는 귤나무가 되는데탱자나무를 접목으로 이용하는 이유는 탱자나무에는 씨가 많아 씨가 없는 귤나무를 얻기 위함이고추위에 강한 품종을 얻기 위해 사용한다고 합니다.    그런데 이 탱자나무가 추운 날씨를 만나면 추위에 약한 윗부분의 귤나무가 얼어죽고그나마 추위에 강한 탱자나무가 살아.. 2024. 10. 30.
제주 바닷가의 터줏대감~ 갯대추 갯대추 Paliurus ramosissimus (Lour.) Poir.>-갈매나무과-   오늘은 대추나무와 비슷한 꽃을 피운다고 알려져 있는 이 갯대추를 만나 보겠습니다.바닷가에 인접해 자라는 낙엽 관목인데 시월이 되면서특이한 열매를 달고 있는데 그 모습을 먼저 보시겠습니다.   국가식물표준목록에서는 갯대추나무로 국립생물자원관에서는 나무를 뺀 갯대추로사용하고 있고 일부 도감에서는 이 갯대추를 양성화로 소개하고 있는데 이 갯대추는 사진에서 보시는 바와 같이 암수한그루입니다.     양성화와 암수한그루가 무슨 뜻일까?식물의 꽃은 자손을 퍼뜨리기 위해서 존재하는 생식기관입니다.그 중에서도 실제로 생식을 수행하는 부분은 바로 암술과 수술입니다.식물의 꽃 중에 암술과 수술이 한 꽃 안에 있는 것을 양성화라고 하는.. 2024. 10. 28.
<72-3> 빨간 열매의 유혹~ 마가목 마가목 Sorbus commixta Hedl.>-장미과-    한라산에는 벌써 색동옷으로 갈아 입을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가을철 잎이 떨어지기 전에 초록색 엽록소가 파괴되어 엽록소에 의해 가려져 있던 색소들이 나타나거나,잎이 시들면서 잎 속에 있던 물질들이 그때까지 잎 속에 없던 색소로 바뀌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단풍이 드는 나무들은 단풍나무를 비롯하여 산벚나무,화살나무,붉나무,옻나무,산딸나무 등 여러 나무들이 있습니다.그 중 단풍이 빨리 든다고 하는 마가목나무 이야기를 들려 드립니다.    이 마가목은 제주방명으로 '마께낭'이라 불리는데 '낭'은 나무를 의미하고 '마께'는 빨래방망이를 의미합니다.이 마가목의 이름은 봄에 돋아나는 새순이 마치 말의 이빨처럼 튼실하게 나온다고 하여"馬牙木"(마아목.. 2024. 10. 26.
한라산의 작은 관목~ 섬매발톱나무 섬매발톱나무 Berberis amurensis var. quelpaertensis Nak.>-매자나무과-  오늘은 한라산의 작은 관목인 섬매발톱나무를 만나 보겠습니다.가을이 익어가는 요즘 빨간 열매가 가득 피어 있습니다.매자나무과에는 이 섬매발톱나무를 비록하여 남천, 매발톱나무,매자나무,당매자가 있습니다. 한라산의 고지대에 분포하는 수종으로 구상나무림과 털진달래밭 사이사이에 피어 나는 작은 관목입니다.    매발톱나무와의 구별은 잎이 작고 털 모양의 톱니가 많은 것이 특징이라고 하는데,6개의 꽃받침 조각안에는 수술 6개, 암술 하나가 들어있습니다.그러나 이 섬매발톱나무의 특징은 잎에 거치가 많이 나 있고 줄기와 잎에나 있는 날카로운 무시무시한 가시에 있습니다.실제로 여러 번 찔린 기억이 있는 나무인데 상.. 2024. 10. 24.
청람색 열매를 가진~ 노린재나무 노린재나무  Symplocos chinensis for. pilosa>-노린재나무과-   오늘은 한라산의 노린재나무과의 노린재나무를 소개해 드립니다.한라산 성판악 또는 어리목 코스나 영실 코스를 통해 산행을 하다 보면 9월 말부터 파란 열매를 가진 나무를 만날 수 있는데 바로 노린재나무입니다.지금 노린재나무에 열매가 맺혀 있는 시기이기도 합니다.   한라산을 산행하다 보면 이렇게 청람색을 가진 열매를 달고 있는노린재나무를 많이 만날 수 있습니다.보통 빨갛게 익거나 검게 익는 나무들과는 확연히 다른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노린재나무는 전통 염색의 매염제로 널리 쓰인 황회를 만들던 나무로 알려져 있습니다.잿물이 약간 누런빛을 띠어서 노린재나무란 이름이 붙여진 것으로 보이는데,다른 이름으로 황회목(黃灰木)이라.. 2024. 10. 21.
상록성의 나무에 기생하는~ 참나무겨우살이 참나무겨우살이 Taxillus yadoriki (Siebold ex Maxim.) Danser >-겨우살이과-   오늘은 참나무겨우살이를 소개해 드입니다.겨우살이의 유래에 대해서는 '겨우겨우'살아간다는 데서 온 설과,'겨울살이'가 겨우살이로 되었다는 설이 있습니다.겨우살이는 세계적으로 1400여 종류로 알려져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참나무겨우살이, 꼬리겨우살이, 겨우살이, 붉은겨우살이, 동백나무겨우살이 등 5종류 정도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이 참나무겨우살이는 참나무과의 나무에만 기생하는 것은 아니고제주에서는 구실잣밤나무,동백나무,후박나무,육박나무,생달나무 등에도 번식을 합니다.    제주에서는 주로 서귀포 지역에서 많이 관찰되는데 일부 보도에 따르면,지구 온난화로 인하여 제주에서는 해발 100여미터에서.. 2024. 10.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