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의 야생화1474

봄을 가장 먼저 알리는 난초~ 보춘화 보춘화 <Cymbidium goeringii (Rchb.F)> -난초과- 오늘은 보춘화로 하루를 열어 봅니다.난초는 영어로 `Orchid'인데 그리스의 `Orchis', 즉 `고환(睾丸)'이란 뜻이라고 합니다. 유럽 자생란의 구근 형태가 고환과 비슷해 붙여진 이름이라고 하는데, 봄을 알리는 야생화가 많지만,난초중에서도 가장 .. 2017. 3. 14.
광대나물 이야기~ 광대나물 <Lamium amplexicaule> -꿀풀과- 오늘은 봄소식을 안고 요즘 많이 피어 있는 광대나물을 만나 보겠습니다. 학명 Lamium amplexicaule의 속명 Lamium은 '목구멍'이라는 뜻으로 꿀풀과 식물의 긴 통꽃잎에서 유래했고 종소명 amplexicaule는 '줄기를 감싸는'이라는 뜻이 있다고 합니다. 광대나물.. 2017. 3. 13.
깊은 숲속의 산괭이눈~ 산괭이눈 <Chrysosplenium japonicum (Maxim.) Makino > -범의귀과- 오늘은 산속 음지에서 만난 산괭이눈을 소개해 드리며 하루를 열어 봅니다. 괭이눈속 아이들은 꽃이지고 열매가 익어갈때는 씨앗을 감싸던 씨방이 벌어지는데 그모습이 고양이 눈을 너무나 닮아 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2017. 3. 12.
산에 자라는 쪽풀~ 산쪽풀 산쪽풀 <Mercurialis leiocarpa Siebold &Zucc> -대극과- 靑出於藍(청출어람)이라는 말 들어 보셨지요? <쪽에서 뽑아낸 푸른 물감이 쪽보다 더 푸르다는 의미로 제자가 스승보다 나음을 비유함> 그 쪽풀과 관련이 있는 산쪽풀을 만나 보겠습니다. 쪽풀은 마디풀과에 속하지만 이 산쪽풀은 대.. 2017. 3. 11.
숲속의 작은 요정<2> 새끼노루귀<분홍> 새끼노루귀 &lt;Hepatica insularis&gt; -미나리아재비과- 오늘은 어제의 새끼노루귀에 이어 분홍색을 가진 새끼노루귀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노루귀속의 속명인 Hepatica는 Hepaticus(간장,肝腸)의 라틴어라고 하는데, 잎이 갈라진 모습이 장기의 간장과 비슷하다는데 유래되었다고 하지요. 제.. 2017. 3. 10.
숲속의 작은 요정<1>~ 새끼노루귀 새끼노루귀 &lt;Hepatica insularis&gt; -미나리아재비과- 오늘은 눈과 얼음을 뚫고 나온다고 하여 일명 '파설초'라 불리는 새끼노루귀를 만나 보겠습니다. 길었던 겨울잠에서 깨어나 솜털을 입고 올라오는 새끼노루귀를 담아 보았습니다. 노루귀속의 속명인 Hepatica는 Hepaticus(간장,肝腸)의 라틴.. 2017. 3.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