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야생화1474 잎이 우산을 편 듯~ 우산나물 우산나물 <Syneilesis palmata (Thunb.) Max.> -국화과- 오늘은 잎이 마치 우산을 편 듯한 우산나물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잎이 손바닥 모양으로 7~9개가 원의 형태로 갈라지며 잎이 많이 벌어지기 전의 모습이 마치 우산을 닮았다는데서 붙여진 이름으로 6~7월에 작은 꽃들이 뭉쳐 피어납.. 2017. 6. 27. 솔잎 하나를 꽂아 놓은 듯한 영아리난초~ 영아리난초 <Nervilia punctata (Blume) Schlechter var. niponica (Makino) F. Maekawa > -난초과- 오늘은 상록수림의 부식토에 자라는 영아리난초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그 크기가 아주 작아서 비교해 본다면 솔잎 크기 정도인데 그 끝에 꽃이 피어 있다고 하면 될까요? 정말 이쑤시개 하나를 꽃아 .. 2017. 6. 26. 두루미가 날개를 편 듯~ 두루미천남성 두루미천남성 <Arisaema amurense for. serratum (Nakai) > -천남성과- 어제의 대반하에 이어 오늘은 천남성과의 두루미천남성으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두루미천남성은 독특한 이름만큼이나 꽃도 특이하고 두루미를 닮은 천남성이라서 그런 이름이 붙여졌는데, 식물체를 보면 마치 두루미.. 2017. 6. 24. '끼무릇'이라 불리는 대반하~ 대반하 <Pinellia tripartita (blume ) Schott.> -천남성과- 오늘은 대반하를 소개해 보겠습니다. 천남성과의 반하중에서도 크기가 큰 대반하는, 반하라는 뜻은 여름의 중간 시기에 꽃을 피운다는 의미가 있습니다. 한자로는 大半夏라고 쓰는데,다른 이름으로는 '끼무릇'이라고 불리며 땅속에 .. 2017. 6. 23. 으름열매를 닮았다는 으름난초~ 으름난초 <Galeola septentrionalis sp. (Rchb.f.) Garay> -난초과- 오늘은 으름같은 열매가 달리기 때문에 '으름난초'라고 하는 으름난초를 만나 보겠습니다. 종소명 'septentrionalis'는 라틴어 '북방의'의 뜻으로 '으름난초속' 가운데 가장 북쪽 지방에 자생하는 데서 유래하며, 국명은 성숙한 열매의.. 2017. 6. 22. 잎이 없는 난초<2> 제주무엽란~ 제주무엽란 <Lecanorchis kiusiana Tuyama> -난초과- 어제의 무엽란에 이어 오늘은 제주무엽란을 만나 보겠습니다. 가만히 들여다 보면 줄기에 특징적으로 색깔이 드러나 있습니다. 1993년에 제주에서 발견되어 제주무엽란이란 이름을 얻은 아이라고 하지요. 제주의 상록수림의 그늘에 자라며.. 2017. 6. 21. 이전 1 ··· 171 172 173 174 175 176 177 ··· 2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