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야생화1474 바닷가의 갯상추인 번행초~ 번행초 <Tetragonia tetragonoides O. Kuntze > -번행초과- -초복<7월 12일>- 오늘은 바닷가에 자라는 식물인 번행초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우리나라 남부지방의 해안가에서 자라는 이 번행초는 식용이 가능하여 일명 '갯상추'로도 불리는 식물입니다. 줄기가 땅을 기듯이 자라며 가지가.. 2017. 7. 12. 나물로 약으로 쓰는 우리곁의 도라지~ 도라지 <Platycodon grandiflorum Nakai > -초롱꽃과- 오늘은 우리의 식단과 함께 오랫동안 나물로,그리고 약으로 쓰여온 도라지 이야기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도라지는 예로부터 우리 민족이 즐겨 먹는 산나물로 널리 알려진 식물이지요. 오래된 도라지는 산삼과 같다고 하는데 여름인 7.. 2017. 7. 11. 여름 초지의 산제비란~ 산제비란 < Platanthera mandarinorum var. > -난초과- 우리나라 양지바른 풀밭이나 산지의 평평한곳이서 자라는 산제비란으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꽃은 연한녹색으로 5~7월에 피며 줄기는 곧추서며 난초목,난초과에 속하는 식물입니다. 보통 여름이 익어가는 7월에 피어나며 장마철에 피.. 2017. 7. 10. '할미질빵'이라고 불리는 할미밀망~ 할미밀망 <Clematis trichotoma Nakai > -미나리아재비과- 오늘은 '할미밀망'이라는 야생화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낙엽성의 반관목 식물인 이 할미밀망은 우리나라 중북부 지방에 분포하며 산기슭의 숲속에서 자라는데, 우리가 많이 보던 식물인 '사위질빵'과는 달리 잎겨드랑이에서 꽃.. 2017. 7. 7. 가느다란 실같은 실꽃풀~ 실꽃풀 <Chionographis japonica Maxim.> -백합과- 오늘은 실꽃풀을 만나 보겠습니다. 속명에서 희랍어의 "Chion(눈)"과 "graphe(붓)"의 합성어로서 눈처럼 흰 꽃이 핀다는 뜻이라고 합니다. 실처럼 화피갈래 조각이 있어 실꽃풀이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는데,다른 이름으로 '실마리꽃'이라고 부른다.. 2017. 7. 6. 사찰이름이 들어간 난초~ 대흥란 대흥란 <Cymbidium macrorrhizum Lindl> -난초과- 오늘은 멸종위기동,식물2급으로 지정되어 있는 대흥란으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난초과의 부생식물인 대흥란은 전남 해남의 대흥사 일원에서 처음 확인되었다고 하여 “대흥란, 두륜난”이라고 부르며 현재는 전남,강원도 등 우리나라 .. 2017. 7. 5. 이전 1 ··· 169 170 171 172 173 174 175 ··· 2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