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의 야생화1476

여름 숲속의 좀비비추~ 좀비비추 <Hosta minor (Bak.) Nakai> -백합과- 백합과의 비비추의 어원을 보니, 어린잎을 먹을 때 잎에서 거품이 나올 때까지 손으로 비벼서 먹는다 하여 “비비추”라고 불렀다고 하며 일부 지방에서는 “지부” 혹은 “자부”라고도 한다고 합니다. 오늘은 좀비비추로 하루를 열어 봅니.. 2017. 7. 26.
모래밭의 요정 참골무꽃(흰색)~ 참골무꽃 <Scutellaria strigillosa Hemsl.> -꿀풀과- 골무꽃속은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남부와 중부지방,그리고 제주도에서 많이 자라는 아이랍니다. 속명인 Scutellaria는 '작은접시'라는 의미의 라틴어라고 합니다. 골무꽃의 어원은 열매,꽃받침의 모양이 바느질할때 쓰.. 2017. 7. 25.
아주아주 작은 식물 영주풀~ 영주풀 <Sciaphila nana Blume > 오늘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도 올라와 있지 않은 식물로 미기록종이나 그 이름을 한라의 옛이름인 "영주"를 따 이름이 붙으면서 알려진 영주풀을 소개해 드리면서 하루를 열어 봅니다. 2007년에 발견된 식물로 엽록소가 없는 부생식물이나 엄연히 암,수꽃을 .. 2017. 7. 24.
제주의 대표적 여름꽃~ 문주란 문주란 <Crinum asiaticum var. japonicum Baker> -수선화과- 제주에는 연일 무더위가 이어지고 있는 7월의 아침입니다. 오늘은 여름에 피어나는 제주의 꽃중에 하얀 백색의 커다란 꽃을 피우는 문주란꽃으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성산 광치기 해안에는 이 문주란꽃으로 만발하여 관광객들.. 2017. 7. 20.
유럽이 원산지인 귀화식물 우단담배풀~ 우단담배풀 <Verbascum nigrum Linne > -현삼과- 오늘은 사람키보다 더 크게 자라는 우단담배풀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잎이 담배잎과 닮아 있고 우단같이 고운 털이 있다고 하여 붙여진 '우단담배풀'이란 이름을 얻게 되었는데요. 여기서 우단이란 우단(羽緞):표면이 짧고 뒷면이 매끄.. 2017. 7. 16.
고목에 피어난 아름다운 풍란~ 풍란 <Neofinetia faicta(Thunb.) Hu> -난초과- 오늘은 고목에 붙어 뿌리를 바람에 내어주고 살아가고 있는 풍란으로 하루를 열어 봅니다. 풍란은 대기중 습도가 높고 햇볕을 직접 받지 않는 나무나 바위에 착생하여 살아가는 난초과의 식물입니다. 우리나라 남부의 도서지방과 제주도에 분포.. 2017. 7.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