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야생화1473 여름날의 우중 ~ 노랑참나리 노랑참나리 Lilium lancifolium var. flaviflorum Makino >-백합과- 여름날의 대표적인 야생화로 참나리를 들 수 있습니다.나리 종류들도 참 많은데 참나리를 비롯하여 땅나리, 중나리, 말나리 등많은 종류의 나리가 있는데 오늘은 노란색을 가진 노랑참나리를 올려 드립니다. 참나리라는 이름의 유래가 재미있습니다.물론 정설은 아닙니다. 조선시대 고관대작을 이르는 '나으리'의 줄임말인 '나리'에서 왔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또한 참나리를 영어명으로 tiger lily(호랑나리)라 합니다.꽃잎에 흩어져 있는 까만 점들이 호랑이의 털무늬를 닮아서 그렇게 불렸다고 합니다. 국가식물표준목록에서는 참나리를 자생종으로 적어 놓고이 노랑참나리를 재배종으로 구별하여 기술하고 있습니다... 2024. 7. 16. 참나리의 변이~ 민참나리 참나리 Lilium lancifolium Thunb.>-백합과- 어제의 참나리에 이어 참나리의 변이라고 하는 민참나리를 살펴 보겠습니다.몇 년 전부터 이 민참나리를 찾아가곤 하였는데 갈때마다 개체수가 하나 둘 줄더니 지금은 두 개체만이 남아 있었습니다. 국가식물표준목록에서는 참나리를 자생종으로, 노랑참나리를 재배종으로구분하고 이 민참나리는 따로 구별하고 있지 않습니다. 아직까지는 참나리의 변이종으로 보고 있는 것 같습니다. 보통 참나리들은 꽃잎에 흑자색 반점이 무수히 박혀 있습니다.주아도 짙은 검정색으로 달려 있습니다. 그러나 이 민참나리는 흑자색 반점이 없고 줄기는 녹색이고 주아도 녹색인 점이 특징입니다. 제주에서만 발견되는 것은 아니고 육지의 일부 섬에서도 관찰된다고 합니다. .. 2024. 7. 10. 여름날의 대표 야생화~ 참나리 참나리 Lilium lancifolium Thunb.>-백합과- "나리"를 검색해 보면,1)저보다 신분이나 지위가 높은 사람을 불러 이르는 말2)백합과에 속한 여러해살이풀 로 나와 있습니다. 참나리라는 이름의 유래가 재미있습니다.물론 정설은 아닙니다.조선시대 고관대작을 이르는 '나으리'의 줄임말인 '나리'에서 왔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또한 참나리를 영어명으로 tiger lily(호랑나리)라 합니다.꽃잎에 흩어져 있는 까만 점들이 호랑이의 털무늬를 닮아서 그렇게 불렸다고 합니다. 나리를 백합(百合)이라고도 하는데 성경에서는 순결의 상징으로 자주 언급됨으로백합은 당연히 하얀 꽃인 것으로 오해하는 경우가 많은데,백합의 백은 흰색을 의미하는 ‘白’(백)이 아니라 일백의 뜻인 ‘百’(백)으로 알려.. 2024. 7. 9. 해녀의 애환이 깃든~ 해녀콩 해녀콩 Canavalia lineata (Thunb.) DC.>-콩과- 바다의 모래사장이나 돌틈에서 척박하게 살아가는 해녀콩은 제주의 해녀의 삶과 닮아 있는 듯 합니다.해녀콩은 독성을 가지고 있어서 원하지 않는 아이를 가졌을 때에 해녀들이 이 콩을 먹어서 아이를 떼었다고 합니다.그런데 얼만큼을 먹어야 할지 몰라 너무 많이 먹어서 목숨을 잃어버리는 경우도 종종 있었다고 합니다. 해녀들의 전설을 간직한 해녀콩 이야기로 하루를 열겠습니다. 식물을 담는 야생화 작가들은 이 해녀콩의 독성에 대해 잘 알고 있을 것입니다.그러면 해녀콩은 얼마나 많은 독성을 가졌을까요? 구글로 검색해 본 결과 해녀콩의 덜익은 콩꼬투리를 어릴 때는 나물로 먹는다는 북한 자료와 잎과 줄기는 가축들의먹이로 활용되었고 뿌리도 약용.. 2024. 7. 3. 실처럼 가느다란~ 실꽃풀 실꽃풀 Chionographis japonica Maxim.>-백합과- 실처럼 가느다란 실꽃풀이 깊은 숲 속에서 피어나고 있습니다.속명에서 희랍어의 "Chion(눈)"과 "graphe(붓)"의 합성어로서눈처럼 흰 꽃이 핀다는 뜻이라고 합니다.실처럼 화피갈래 조각이 있어 실꽃풀이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는데,다른 이름으로 '실마리꽃'이라고 부른다고 합니다. 빛이 많이 들어 오지 않은 계곡의 습지에서 잘 자라며,부엽질이 많은 곳에서 자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도감 설명에 따르면 제주에서만 자생한다는 것으로 나와 있어 육지의 야생화를 담는사진가들에게 사랑 받는 야생화이기도 합니다.나무의 둥지나 그루터기에도 어김없이 이 실꽃풀이 피어 있습니다. 이 실꽃풀을 접사해 보면 초록색의 주아 같은 것이 붙어.. 2024. 6. 28. 아주 작은 도라지~ 애기도라지 애기도라지 Wahlenbergia marginata (Thunb.) A. DC. >-초롱꽃과- 우리나라의 남부지방인 섬과 제주도에서 자생하는 것으로 알려진 애기도라지입니다.조금이라도 바람이 불라치면 흔들려서 담기가 여려운 식물이기도 합니다.가는 줄기를 따라가다 보면 하늘색 작은 꽃이 달린 아이를 만날 수 있습니다. 바닥에 바짝 엎드려야 전초를 담을 수 있는데,바람이 불어 한참을 애기도라지와 씨름을 하였습니다. 우리 야생화에 유난히도 '애기'가 들어간 야생화가 많습니다.애기풀도 있고,애기수영,애기송이풀,애기앉은부채 등 상당히 많은데,그 크기가 작거나 모양이 앙증맞은 식물에이 '애기'가 붙은 것으로 해석을 하고 있습니다. 파란 하늘색꽃이 앙증맞게 피어 있는데 바람이 가만두질 .. 2024. 6. 20. 이전 1 ··· 14 15 16 17 18 19 20 ··· 2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