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의 야생화1474

대청부채가 있는 풍경 무더운 여름날 ~화사하게 꽃을 피우는 식물이 있습니다.대청부채라는 식물이 꽃을 피우고 있습니다.일반적인 꽃들은 아침에 꽃이 피고 저녁에 꽃을 오무리는 것이 보통입니다.햇볓을 좋아하지 않는 식물도 있고 꽃이 피는 시간이 정해져 있는 식물도 있습니다. 오후 4시가 넘어서야 꽃을 피우는 대청부채로 일요일을 맞이해 봅니다.오늘도 고운 하루 되세요. 2024. 7. 28.
숲속의 또 하나의 외계인~ 구상난풀 구상난풀 Monotropa hypopithys L. >-노루발과-   오늘은 엽록소가 없는 부생식물인 구상난풀을 만나 보겠습니다.제주도의 구상나무 군락 등지에서 발견되어 명명되었다고 하지만그렇다고 제주에만 있는 식물은 아닙니다.꽃은 종 모양으로 아래를 향해 달리며 수술은 8개, 암술은 적갈색을 띠고 있습니다.     식물이 가장 기본적인 기능인 광합성을 하지 못하고 다른 동,식물의 죽은 사체나 배설물,또는 이들이 분해되어 생긴 유기물을 양분으로 하여 살아가는 식물을 우리는 부생식물이라고 합니다.     특징적으로, 이 노루발과의 식물은 꽃과 열매가 달리는 방향이 다르다고 알려져 있습니다.처음에는 꽃이 땅을 향해 피어나지만 꽃이 지면서 서서히 고개를들어 올려 열매는 하늘을 향해 달립니다.     노루발과의.. 2024. 7. 27.
여름의 대표 과일 수박을 닮은~ 수박풀 수박풀 Hibiscus trionum L. >-아욱과-    오늘 소개해 드릴 야생화 '수박풀'은 아욱과의 한해살이풀로 유럽 또는 중앙아프리카가 원산지라고 알려져 있는데 언제 우리나라에 들어왔는지는 아직까지 알려져지지 않았습니다.   개항 전에 들어온 것으로 추측을 하는데잎이 수박을 닮아서 수박풀이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우리가 흔히 먹는 여름의 과일, 수박은 박과의 식물입니다.수박은 남아프리카 열대, 아열대의 건조한 초원지대가 원산이라고 합니다.    수박을 한자어로는 서과(西瓜)·수과(水瓜)라 하는데서역에서 들여 온 오이라는 의미입니다.원줄기가 지상으로 벋으면서 자라는데 전체에백색 털이 있고 마디에 덩굴손이 있습니다.며칠전 중산간을 지나다가  돌담 사이에 수박꽃이피어 있는 모습을 카메라 앵글에 담.. 2024. 7. 22.
배드민턴 공이 생각나는~ 배풍등 배풍등  Solanum lyratum Thunb.>-가지과-   오늘은 배드민턴의 공인 셔틀콕을 닮아 있는 꽃을 가진 배풍등 이야기로 하루를 열어 드리겠습니다.겨울에는 열매가 아름답다고 하여 눈내린 덤불에 열매가 달린 모습을 보고 '설하옹'이란 별명도 얻었다는 식물입니다.排風藤(배풍등)의 이름 유래는 풍을 물리치는 덩굴성 식물이라는데서 왔다고 합니다.    이 배풍등은 가지과에 속하고,속명인 Solanum은 이 속에 속하는 식물의 잎과 열매에 독성이 있고진정작용을 하는 성분이 있어 안정이라는 의미의 라틴어라고 합니다.     요즘 제주의 산길이나 오름, 둘레길 및 바닷가의 풀밭에 하얀 작은 꽃들이 피어있는모습을 볼 수 있는데 꽃을 보면 배드민턴의 셔틀콕을 닮아 있습니다.     배풍등의 이름을 사용하는 .. 2024. 7. 20.
여름날 바닷가의 작은 식물~ 낚시돌풀 낚시돌풀  Hedyotis biflora var. parvifolia Hooker et Arnott >-꼭두서니과-  오늘은 바닷가에서 많이 피어나는 낚시돌풀을 만나 보겠습니다.우리나라 남부 해안가와 제주도의 바닷가에서 자라는 염생식물로 꽃의 크기는 아주 작습니다.낚시를 하는 바위틈이나 낚시의 장소가 되는 너른 갯바위에서 자란다고 하여 낚시돌풀이란 이름이 명명되었다고 합니다.   바닷가의 식물들이 살아가는 방법도 특이한데,보통 소금기가 많은 바닷가에서 자라는 식물들이 다수의 물을 저장하는 세포를 발달시킨다고 합니다.이 낚시돌풀도 잎을 보면 다육식물처럼 두텁고 윤기가 흐르고 있습니다.     참 특이한 것은 꽃이 다 핀 녀석들보다 꽃이 피기 전의 낚시돌풀꽃이 더 이쁜 것 같습니다.분홍색의 립스틱을 바른 것.. 2024. 7. 19.
깊은 숲 속의~ 말나리 말나리 Lilium lancifolium Thunb >-백합과-   오늘은 숲속의 말나리라는 식물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우리가 많이 알고 있는 참나리에 비해 크기가 작은 말나리는 나리의 한 종류로 산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입니다.    말나리는 반그늘이 지고 토양이 비옥한 낙엽수 아래에서 잘 자라며,잎은 줄기 중간 부분에 4~9장의 원을 그리며 돌려나는 윤생 형태를 하고 있습니다.      나리꽃 종류들도 상당히 많습니다.나리꽃을 구분하는 쉬운 방법은 꽃이 피는 방향에 따라잎의 모양에 따라,꽃의 색에 따라 구분을 하는데,꽃이 하늘을 향해 핀다고 하여 하늘말나리, 하늘나리, 꽃이 옆으로 중간을 향해 핀다는 중나리,땅을  향해 핀다고 하여 땅나리 등 우리나라의 나리꽃 종류가 10여종이 넘는 것으로 알려.. 2024. 7.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