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의 야생화1462 화려한 금색의 금난초~ 금난초 <Cephalanthera falcata (Thunb.)Blume> -난초과- 오늘은 금난초를 만나 보겠습니다. 5월이 되면 난초과의 식물들도 하나 둘 올라와 여름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이 금난초는 산 속 깊은 응달에서 자라며,선명한 노란색꽃이 아름답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으로 비슷한 시기에 은대난초,은난.. 2016. 5. 11. 이뻐서 슬픈 선홍색의 피뿌리풀~ 피뿌리풀 <Stellera chamaejasme L.> -팥꽃나무과- 오늘은 도금양목 팥꽃나무과의 피뿌리풀로 하루를 열어 봅니다. 몽골의 침략과 예속화에 반발하여 삼별초군이 난을 일으키고 진도와 제주도를 근거지로 대항하자 고려조정과 몽골에서는 많은 군사를 동원하여 삼별초군을 토벌하였습니다.. 2016. 5. 10. 숲속의 외계인 나도수정초~ 나도수정초 < Monotropastrum humile (D.Don) Hara > -노루발과- 오늘은 특이하게 생긴 나도수정초에 대해 알아 봅니다. 아직 이른 시기이기는 하나 5월초부터 피어나기 시작하는 나도수정초는 마치 외계인 모양을 한 듯이 서 있는 노루발과의 식물로 부엽토 위에서 살아가는 부생식물이랍니다... 2016. 5. 9. 바위틈에서 피어난 암대극~ 암대극 <Euphorbia jolkini Boiss> -대극과- 대극과의 식물들을 포스팅하고 있는데요. 오늘은 대극과의 암대극을 만나 보겠는데요.바위틈에서 자란다고 하여 '갯바위대극','갯대극'이라 불린답니다. 요즘 한창 제주의 바닷가를 수놓고 있는 암대극 이야기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꽃이 필.. 2016. 5. 2. 바닷가에서 잘 자라는 흰대극~ 흰대극 <Euphorbia esula L.> -대극과- 대극과의 식물들을 살펴보고 있습니다.오늘은 흰대극을 만나 보겠습니다. 대극과의 식물은 독성이 있다고 하는데요.대극이란 이름도 뿌리가 맵고 쓰기 때문에 먹으면 목구멍을 몹시 자극한다는 뜻의 '大戟'(대극)에서 왔다고 합니다.그러면 흰대극의.. 2016. 5. 1. 이름에 관한 오해를 담은 등대풀~ 등대풀<Euphorbia helioscopia L.> -대극과- 오늘부터는 대극과의 식물 몇가지를 소개해 보겠습니다. 이 등대풀의 줄기를 자르면 유액 성분이 나오는데 독성이 있다고 하네요. 대극이란 이름도 뿌리가 맵고 쓰기 때문에 먹으면 목구멍을 몹시 자극한다는 뜻의 '大戟'(대극)에서 왔다고 합니.. 2016. 4. 30. 이전 1 ··· 193 194 195 196 197 198 199 ··· 2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