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제주의 야생화1462

꽃의 깨순이라 불리는 금강애기나리~ 금강애기나리 <Streptopus ovalis (Ohwi) F.T.Wang &Y.C.Tang var. ovalis > -백합과- 오늘은 금강애기나리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이름에도 알수 있듯 금강산에서 처음 발견되었다고 하여 금강애기나리로 명명되었지만.그 이후 우리나라 고지대에서 서식하는 식물로 알려져 있습니다.한라산 깊.. 2016. 6. 2.
꼭두서니과의 개선갈퀴~ 개선갈퀴 < Galium trifloriforme Kom.> -꼭두서니과- 6월의 첫날입니다.오늘은 꼭두서니과의 개선갈퀴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꼭두서니과의 식물들은 우리나라에 10속 40여종의 식물들이 서식하는 것으로 나와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꼭두서니속를 비롯하여 갈퀴덩굴속,솔나물속,개갈퀴.. 2016. 6. 1.
옥잠화를 닮았다는 나도옥잠화~ 나도옥잠화 <Clintonia udensis Trautv. et Meyer> -백합과- 오늘은 나도옥잠화를 만나 보겠습니다. 꽃이 마치 옥비녀를 닮았다는 나도옥잠화가 하얀꽃을 피우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고지대인 높은 산이나 계곡의 습지가 있는 곳에서 잘 자란다는 나도옥잠화입니다. 이명으로 제비옥잠화,두.. 2016. 5. 31.
꽃이 수레바퀴를 닮은 설앵초~ 설앵초 <Primula modesta var. fauriae Takeda> -앵초과- 월요일 아침입니다.이번주는 한라산에 자생하는 식물들로 포스팅해 보려고 합니다. 오늘 만나게 될 아이는 설앵초란 아이인데,큰앵초보다는 작고 앙증맞습니다. 앵초목 앵초과의 이 설앵초는 고산지대에서 자라는 아이로 꽃이 마치 수.. 2016. 5. 30.
숲속의 은대난초~ 은대난초 <Cephalanthera longibracteata Bl.> -난초과- 오늘은 은대난초를 만나 보겠습니다. 종소명 'longibracteata'는 라틴어 '길다(longus)'와 '포엽이 있는(bracteatus)'의 합성어로 화서 가운데 맨 아래의 꽃을 포함한 2-3개가 꽃보다 높이 나오는 녹색의 포엽이 있는 데서 유래하며, 국명은 잎의 단단.. 2016. 5. 26.
콩의 반쪽에서 유래한 콩짜개란~ 콩짜개란 <Bulbophyllum drymoglossum Maxim> -난초과- 오늘부터는 요즘 피어나고 있는 난초과의 아이들로 포스팅해 볼까 합니다. 오늘은 콩의 반쪽 모양을 갖고 있다고 하는 콩짜개란을 만나 보겠습니다. 국명인 콩짜개란은 육질의 잎을 반쪽콩에 비유한 데서 유래한 것이라고 하는데요. 종소.. 2016. 5.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