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합과120 울릉도의 큰두루미꽃 큰두루미꽃 <Maianthemum dilatatum (Wood) A.Nelson > -백합과- 오늘은 울릉도의 큰두루미꽃이라는 식물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전국의 높은 산에 생육하는 두루미꽃에 비해 개체가 아주 커서 큰두루미꽃이라는 이름을 얻었는데, 울릉도에서는 대단한 군락을 이룬 큰두루미꽃 꽃밭이 많이 .. 2019. 7. 20. 여름의 대표 야생화~ 참나리 참나리 <Lilium lancifolium Thunb.> -백합과- **"나리"를 검색해 보면,1)저보다 신분이나 지위가 높은 사람을 불러 이르는 말 2)백합과에 속한 여러해살이풀 로 나와 있습니다. 참나리라는 이름의 유래가 재미있습니다.물론 정설은 아닙니다. 조선시대 고관대작을 이르는 '나으리'의 줄임말인 .. 2019. 7. 17. 여름날 만나는~ 원추리<홑왕원추리> 원추리 <Hemerocallis fulva Linne var. > -백합과- 원추리는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로 한국과 중국 등 동아시아가 원산이라고 합니다. 예전에는 원추리보다 크기가 더 크고,겹꽃이 아니라는데서 "홑"자가 붙어 홑왕원추리라 불리던 식물인데, 국가식물표준목록에 따르면 학명을 검색하여 보.. 2019. 7. 6. 울릉도의 식물~ 큰연영초 큰연영초 <Trillium tschonoskii Maxim.> -백합과- 오늘은 울릉도의 식물인 큰연영초로 하루를 열어 드리겠습니다. 연영초라는 이름은 수명을 연장해 준다고 해서 연영초라고 하며, 학명 트릴리움(trillium:3)은 꽃잎과 잎이 모두 세 장인 데에서 유래합니다. 특히 울릉도에서 자라는 연영초는 .. 2019. 5. 21. 아주 작은 꽃을 가지고 있는~ 달래 달래 <Allium monanthum Maxim. > -백합과- 오늘은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달래 이야기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우리가 봄이 되면 많이 캐어 밥상 위에 반찬으로 먹는 달래는 산달래를 의미합니다. 달래는 산달래와 마찬가지로 구근식물인데 잎의 단면이 초승달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꽃은 .. 2019. 4. 5. 봄소식을 전해주는~ 중의무릇 중의무릇 <Gagea lutea (L.) KerGawl.> -백합과- 오늘은 봄소식을 전해 온 중의무릇을 만나 보겠습니다. 서양에서는 중의무릇을 ‘베들레헴의 노란별’이라 부른다고 하는데요.<마태오의 복음서>에서 '동방에서 온 박사들'을 예수 그리스도가 태어난 곳으로 인도했다는 천체의 현상을 .. 2019. 2. 27. 이전 1 ··· 5 6 7 8 9 10 11 ··· 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