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초과 식물137 특이한 모습을 가진 희귀란~ 한라새둥지란 한라새둥지란 <Nettia hypocastanoptica T.Hashim & Hatus> -난초과- 오늘 소개할 한라새둥지란은 1999년에 한라산에서 처음 발견되었다고 보고된 식물입니다. 한라산에서 발견되고,뿌리가 새둥지를 닮았다고 하여 명명되어진 아이인데,그 이후에 우리나라의 남부지역 일부에서도 발견되었다는 .. 2018. 5. 23. 콩짜개덩굴을 닮은~ 콩짜개란 콩짜개란 <Bulbophyllum drymoglossum Maxim> -난초과- 오늘은 아주 작은 꽃을 피워내고 있는 콩짜개란으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콩의 반쪽 모양을 갖고 있다고 하는 콩짜개란을 만나 보겠는데요. 국명인 콩짜개란은 육질의 잎을 반쪽콩에 비유한 데서 유래한 것이라고 합니다. 제주에서 .. 2018. 5. 21. 고목에 피어난 석곡 석곡 < Dendrobium moniliforme (L.) Sw.> -난초과- 난을 분류하는 기준은 잎의 모양이나,꽃의 화색,피는 모양에 따라 달라지지만, 이 석곡은 화색이 하얀바탕에 살짝 분홍색이 있어서 더더욱 아름다운 것 같습니다. 속명인 덴드로비움 Dendrobium(덴드로비움)은 그리스어의 "나무"라는 뜻과 '산다'.. 2018. 5. 14. 희귀 착생난초인 금자란 금자란 <Saccolabium matsuran Makino> -난초과- 오늘은 어제의 비자란에 이어 희귀 착생난초인 금자란으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한반도 남부지역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흔히 소나무 껍질에 붙어 자라는 상록성 기생란입니다. 우리나라 경남 남해도 금산 일대에서 발견되어 기록된 .. 2018. 4. 25. 희귀 착생난초인 비자란 비자란 <Sarcochilus japonicus (Reichb.f.) Miq> -난초과- 오늘은 멸종위기 희귀식물로 지정되어 있는 비자란으로 하루를 열어 봅니다. 난초목 난초과의 이 비자란은 비자나무에 착생하여 살아간다는데서 붙여진 이름이지만, 보통 소나무나 상록수림에 붙어 자란답니다. 제주의 일부 지역에서.. 2018. 4. 24. 4월 제주는 새우란의 계절~ 새우난초 새우난초 <Calanthe discolor Lindi.> -난초과- 봄이 무르익을 무렵 난초과 아이들중에 보춘화가 피고 난 후 이 새우란이 봄향기를 가득 담고 피어납니다. 오늘은 새우란을 만나 보며 하루를 열어 보는데요. 뿌리줄기가 마치 새우의 등을 닮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지요. 봄향기를 가득 .. 2018. 4. 14.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 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