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난초과 식물137

고목에 피어난 아름다운 풍란~ 풍란 <Neofinetia faicta(Thunb.) Hu> -난초과- 오늘은 고목에 붙어 뿌리를 바람에 내어주고 살아가고 있는 풍란으로 하루를 열어 봅니다. 풍란은 대기중 습도가 높고 햇볕을 직접 받지 않는 나무나 바위에 착생하여 살아가는 난초과의 식물입니다. 우리나라 남부의 도서지방과 제주도에 분포.. 2017. 7. 15.
여름 초지의 산제비란~ 산제비란 < Platanthera mandarinorum var. > -난초과- 우리나라 양지바른 풀밭이나 산지의 평평한곳이서 자라는 산제비란으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꽃은 연한녹색으로 5~7월에 피며 줄기는 곧추서며 난초목,난초과에 속하는 식물입니다. 보통 여름이 익어가는 7월에 피어나며 장마철에 피.. 2017. 7. 10.
고목에 착생한 나도풍란~ 나도풍란 <Aerides japonicum Rchb.f.> -난초과- 오늘은 난초과의 다년생 초본식물인 나도풍란을 소개해 드리면서 하루를 열어 봅니다. 이 나도풍란은 멸종위기동식물 1급으로 지정된 아이인데,주로 상록수림의 나무나 바위에 착생해 살아갑니다. 잎이 넓어서 일명 '대엽풍란'이라고 하며 여.. 2017. 7. 4.
꽃말이 '숲속의 요정'~닭의난초 닭의난초 <Epipactis thunbergii A. Gray> -난초과- 오늘은 한여름에 피어나는 닭의난초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종소명 'thunbergii'는 'Thunberg의'의 뜻으로 스웨덴의 식물학자 'C. Thunberg'를 기념하여 명명한 것이라고 합니다. 야생란 중에서도 아름답다고 소문난 아이지요.그래서 이 닭의난초.. 2017. 7. 2.
깊은 숲속의 한라감자난초~ 한라감자난초 <Diplolabellum coreanum Maekawa> -난초과- 오늘은 한라감자난초를 만나 보시겠는데요. 감자난초라 불리는 이유는 뿌리와 줄기 사이의 헛비늘줄기가 감자처럼 생긴데서 유래하고, 제주에서 자생한다는 의미로 '한라감자난초'라는 이름이 지어진 아이랍니다. 둥근 알뿌리가 마.. 2017. 6. 30.
'갈매기'이름이 들어간 갈매기난초~ 갈매기난초 <Platanthera japonica (thunb).Lindl> -난초과- 여름이 오는 길목에 백색 꽃이 다수꽃이 피어 갈매기가 떼지어 날아가듯 빽빽이 핀다고 하여 갈매기난,또는 갈매기난초라 붙여졌다고 합니다. 순판(脣瓣)이 길게 밑으로 뻗고 밑으로 처진 거(距)는 특히 길다고 설명하고 있는데요. 오.. 2017. 6.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