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난초과 식물137

희귀 착생난초인 비자란~ 비자란 <Sarcochilus japonicus (Reichb.f.) Miq> -난초과- 오늘은 멸종위기 희귀식물로 지정되어 있는 비자란으로 하루를 열어 봅니다. 난초목 난초과의 이 비자란은 비자나무에 착생하여 살아간다는데서 붙여진 이름이지만, 보통 소나무나 상록수림에 붙어 자란답니다. 비자난초가 자라는 상.. 2017. 5. 1.
새우란의 계절~ 새우난초 새우난초 <Common Calanthe> -난초과- 봄이 무르익을 무렵 난초과 아이들중에 보춘화가 피고 난 후 이 새우란이 봄향기를 가득 담고 피어납니다. 오늘은 새우란을 만나 보며 하루를 열어 보는데요. 뿌리줄기가 마치 새우의 등을 닮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지요. 봄향기를 가득 담은 새.. 2017. 4. 24.
너무나 늦둥이로 태어난 대흥란~ 대흥란 <Cymbidium macrorrhizum Lindl> -난초과- 오늘은 멸종위기동,식물2급으로 지정되어 있는 대흥란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난초과의 부생식물인 대흥란은 전남 해남의 대흥사 일원에서 처음 확인되었다고 하여 “대흥란, 두륜난”이라고 부르며 현재 제주도와 남부지방 해안에 주로 자.. 2016. 10. 6.
방울이 보이지 않은 방울난초~ 방울난초 <Habenaria flagellifera (Maxim.) Makino > -난초과- 오늘은 방울난초를 소개해 드리며 하루를 열겠습니다. 우리나라 방울난초속에는 이 방울난초와 제주방울란,애기방울란이 있는데,분포지가 제주에서만 자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보통 난초과의 식물들 이름이 꽃의 형태를 .. 2016. 9. 20.
사철란의 마지막 주자인 섬사철란~ 섬사철난 <Goodyera maximowicziana Makino> -난초과- 비가 오는 월요일 제주의 아침입니다.오늘은 난초과의 섬사철란을 만나보면서 하루를 열어 볼까 합니다. 사철란 종류 중에서 가장 마지막에 피는 난초라 제목을 '사철란의 마지막 주자'로 붙여 보았습니다. 제주에서는 환경에 따라 8월에.. 2016. 9. 19.
숲속의 고운 자태 털사철란~ 털사철란 <Goodyera velutina M.> -난초과- 오늘은 털사철란을 만나 보겠는데,사철란의 종류로 붉은사철란이 가장 먼저 피고 그 뒤를 이어 사철란,그리고 이 털사철란이 뒤를 이어 피면서 제일 늦게 피는 섬사철란이 있습니다. 사철란은 흰색을 띠지만 이 털사철란은 보시는 바와 같이 갈색.. 2016. 8.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