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난초과 식물137

봄을 알리는 난초~ 보춘화 보춘화 <Cymbidium goeringii (Rchb.F)> -난초과- 오늘은 보춘화로 하루를 열어 봅니다.난초는 영어로 `Orchid'인데 그리스의 `Orchis', 즉 `고환(睾丸)'이란 뜻이라고 합니다. 유럽 자생란의 구근 형태가 고환과 비슷해 붙여진 이름이라고 하는데, 봄을 알리는 야생화가 많지만,난초중에서도 가장 .. 2018. 3. 23.
한라천마의 씨방을 보셨나요? 한라천마 < Gastrodia verrucosa Blume> -난초과- 오늘은 잎이 없는 부생란으로 엽록소가 없는 한라천마의 씨방를 소개해 드리며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제주의 숲에서 자라는 희귀란으로 8월말부터 피어나기 시작하여 9월초까지 볼 수 있는 아이랍니다.녹갈색으로 1~5개 정도의 꽃이 핀답.. 2017. 10. 9.
덩이줄기가 방울을 닮았다는~ 방울난초 방울난초 <Habenaria flagellifera (Maxim.) Makino > -난초과- 오늘은 방울난초를 소개해 드리며 하루를 열겠습니다. 우리나라 방울난초속에는 이 방울난초와 제주방울란,애기방울란이 있는데,분포지가 제주에서만 자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보통 난초과의 식물들 이름이 꽃의 형태를 .. 2017. 9. 26.
사철란의 마지막 주자인~ 섬사철란 섬사철난 <Goodyera maximowicziana Makino> -난초과- 얼요일 제주의 아침입니다.오늘은 난초과의 섬사철란을 만나보면서 하루를 열어 볼까 합니다. 사철란 종류 중에서 가장 마지막에 피는 난초라 제목을 '사철란의 마지막 주자'로 붙여 보았습니다. 제주에서는 환경에 따라 8월에서부터 9월.. 2017. 9. 25.
숲속의 작은 보석~ 백운란 백운란 < Kuhlhasseltia nakaianum (F. Maekawa) > -난초과- 오늘은 난초과인 백운란을 소개해 드립니다. 1930년대 전남 광양의 백운산에서 처음 발견되어 백운란이란 이름을 얻었는데 그 이후 내장산과 제주도,울릉도에서도 발견이 되면서 널리 알려진 난초로 크기는 아주 작은 식물로 멸종위기.. 2017. 7. 21.
여름에 꽃피는 난초 죽백란~ 죽백란 < Cymbidium lancifolium Hook> -난초과- 오늘은 여름에 꽃피는 상록성 난초인 죽백란으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이 죽백란은 1980년대초에 우리나라 자생식물 가운데 늦게 발견된 여러해살이풀로 관상가치가 높다는 이유로 무분별하게 도채되는 바람에 1998년에는 환경부 지정 법정.. 2017. 7.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