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화과184

남쪽 섬에서 자란다는 남구절초~ 남구절초 <Chrysanthemum zawadskii var. yezoense (Maek.) Y.N.Lee > -국화과- 오늘은 남구절초를 만나 보시겠습니다. 구절초를 말할때 절자는 마디 절이 아니라 절기 절자라고 합니다. 양의 기운이 겹치는 9,9절, 즉 음력 9월 9일 날 채취해야 음의 기운이 많은 여성분들에게 이로운 약이 된다하여 구.. 2014. 10. 31.
바다를 품에 안은 해국~ 해국 <Aster spathulifolius Maxim.> -국화과- 오늘은 바다의 가을야생화인 해국을 소개해 드립니다. 지금 한창인 아이들인데요. 제주에서는 바닷가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아이들이랍니다. 이 해국이 져 갈 무렵 산국과 감국이 또 많이 피어난답니다. 올해는 해국 작황이 좋질 않네요. 아마 추.. 2014. 10. 28.
일출봉을 그리는 갯쑥부쟁이~ 갯쑥부쟁이 <Aster hispidus Thunb.> -국화과- 쑥부쟁이 종류에는 쑥부쟁이를 비롯해서 개쑥부쟁이, 갯쑥부쟁이,미국쑥부쟁이,가새쑥부쟁이,까실쑥부쟁이, 가는쑥부쟁이,섬쑥부쟁이 등 국내에 15종 정도 자라고 있다고 합니다. 갯쑥부쟁이는 이름에서부터 알 수 있 듯 바닷가에서 자라지요.. 2014. 10. 26.
야생화의 끝물이라고 하는 좀딱취~ 좀딱취 <Ainsliaea apiculata Sch.-Bip.> -국화과- 오늘은 좀딱취라는 식물을 소개해 봅니다. 가을야생화의 마지막을 알리는 좀딱취는 야생화를 담는 분들이라면 아시겠지만, 올 한 해 담을 수 있는 야생화가 얼마 남지 않은 시기로 이 좀딱취꽃을 보며 가늠을 한답니다. 이 좀딱취의 꽃을 보.. 2014. 10. 24.
노란 꽃망울의 곰취~ 곰취 <Ligularia fischeri (Ledeb.) Turcz.> -국화과- 오늘은 곰취꽃을 만나 보겠습니다. 곰취라는 이름의 유래에 대해서 몇 가지 이야기가 전해집니다. 1) 잎의 모양이 곰 발바닥처럼 생겼기 때문이라 말하기도 하고, 2) 곰이 나타나는 깊은 산속에 자라기 때문에 붙여졌다고 하기도 합니다. 3) .. 2014. 10. 18.
떡을 만들어 먹었다는 수리취~ 수리취 <Synurus deltoides (Aiton) Nakai > -국화과- 오늘은 수리취를 소개해 드립니다. 옛날 단오가 되면 풍년을 기원하여 수레바퀴 모양의 절편을 이 나물로 만들어 먹어, 이름을 얻게 되었다고 하는 수리취입니다.그래서 이 절편이름도 '차륜병'이라고 불렀다고 하지요. 이 수리취꽃이 특이.. 2014. 10.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