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8949 금색으로 물들인~ 금새우난초 금새우난초 -난초과- 오늘은 금새우난초으로 하루를 열어 봅니다. 땅속줄기인 알뿌리가 새우등를 닮았고 금색으로 피어나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하지요. 새우난초가 피어날 즈음 같이 피는 금새우난초는 금색으로 치장을 하여 고운 모습을 보여 주고 있습니다. 새우난초(Calanthe)는 1821년 영국의 로버트 브라운에 의하여 명명된 것으로 그 어원은 그리스어의 “아름다운 꽃”에서 유래되었다고 합니다. 금색으로 치장하여 노란꽃을 피운다고 하여 금새우난초라는 이름이 되었습니다. 우리나라에는 새우난초, 금새우난초,섬새우난초, 여름새우난초 등 4종이 분포하며 비교적 따뜻한 지역, 남부지역과 도서지역에서 자생한다고 합니다. 학명인 Calanthe는 그리스어 kalos (아름답다) + anthos(꽃) 의 합성어라고 합니다... 2023. 4. 25. 멸종위기 난초인~ 비자란 비자란 -난초과- 오늘은 멸종위기 희귀식물로 지정되어 있는 비자란으로 하루를 열어 봅니다. 난초목 난초과의 이 비자란은 비자나무에 착생하여 살아간다는데서 붙여진 이름이지만, 보통 소나무나 상록수림에 붙어 자라납니다. 제주의 일부 지역에서만 자란다고 하여 일명 '제주난초'라고도 하는데, 아주 오래된 노거수에만 착생하여 살아간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콩짜개덩굴과 함께 살아가고 있는데 콩짜개덩굴의 모습과 비교하면 그 크기를 짐작할 수 있겠네요. 현재 멸종위기동식물은 2017년 기존 246종에서 267종으로 확대가 되었습니다.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 60종,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 207종인데 그 중 식물만 볼때 1급 식물은 11종, 2급 식물은 77종입니다. 1급 식물은 광릉요강꽃, 나도풍란, 만년콩, 한라솜다.. 2023. 4. 24. 얼레지가 있는 풍경 올해는 야생화들의 개화 시기가 무척이나 빠르다는 느낌을 받습니다. 벚꽃 개화가 그렇고 새우난초의 개화 시기도 작년보다 1주일 정도 빠른 것 같습니다. 오늘은 육지에서 만난 얼레지 사진 한 장을 내려 놓습니다. 오늘도 고운 하루 되세요. 2023. 4. 23. 살갈퀴와 새완두의 중간크기~ 얼치기완두 얼치기완두 -콩과- 어제 밭에서 예초하고 일을 하는데 한 구석에 덩굴성으로 자라는 콩과 식물이 있었는데 바로 얼치기완두였습니다. 밭에는 살갈퀴, 새완두, 얼치기완두가 잡초처럼 자라고 있습니다. '얼치기' 라는 단어를 검색해 보면 '똑똑하지 못하여 탐탁치 않은 사람' 이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얼치기완두라는 이름은 이것도 저것도 아닌 중간치기의 의미로 사용된 듯 합니다. 밭에서 잡초처럼 자라는 살갈퀴, 얼치기완두, 새완두의 비교표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크기로는 살갈퀴가 가장 크고 그 다음으로 얼치기완두, 새완두 순입니다. 꽃의 크기는 작아서 바람이 불어 오면 한참을 인내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새완두는 꽃이 여러개 달리는데 반하여 얼치기완두는 1~3개 정도가 달립니다. 얼치기완두를 접사해 보면 이렇게 곱습.. 2023. 4. 22. 아주 작은 도라지~ 홍노도라지 홍노도라지 -초롱꽃과- 오늘 보실 야생화는 도라지는 도라지인데, 크기도 아주 작고 습한 지역과 나무 그늘을 좋아하는 홍노도라지입니다. '도라지' 이름을 차용한 식물이 많지만 애기도라지와 함께 아주 작은 꽃을 피우는 식물입니다. 홍노도라지라는 이름은 어떻게 얻게 되었을까? 서귀포시 홍노리에서 발견되었다는 지역명을 사용하고 있는데 홍노는 지금의 서귀포시 서홍동을 말합니다. 서홍동의 당초이름은 홍로(烘爐)로서 동홍리(東烘里)까지를 포함하고 있었는데 이 홍로(烘爐)는 이곳의 지형이 움푹 패어 화로와 같다는데서 연유한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홍노도라지를 검색해 보면 한라산 해발 1,200고지 이상에서 서식한다거나 높은 지역에서 관찰된다는 설명이 있지만 실제 이 홍노도라지는 해발이 낮은 곳에서도 관찰되는 식물.. 2023. 4. 21. 각시붓꽃의 전설~ 각시붓꽃 각시붓꽃 -붓꽃과- 오늘은 난초의 잎을 닮은 각시붓꽃을 만나며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각시붓꽃의 학명 'Iris rossii' 가운데 속명 'Iris'는 무지개라는 뜻입니다. 4월이 되면서 여기저기 많은 야생화가 피어 나는데 요즘 한창 꽃대를 밀어 올린 각시붓꽃 이야기입니다. 우리나라에서 자라는 붓꽃 종류로는 각시붓꽃 말고도 기본종인 붓꽃을 비롯해서 금붓꽃, 노랑붓꽃, 솔붓꽃 난장이붓꽃, 꽃창포, 타래붓꽃 등이 있고 붓꽃종류에서는 이 각시붓꽃이 제일 먼저 꽃을 피우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각시붓꽃에 대한 전설이 내려오는데요. 신라와 백제가 격렬하게 싸웠던 황산벌 전투에서 화랑 관창은 죽게 됩니다. 그런데 관창에게는 결혼을 약속한 무용이라는 처녀가 있었습니다. 관창이 죽은 후에도 변치 않았던 무용은 .. 2023. 4. 20. 이전 1 ··· 116 117 118 119 120 121 122 ··· 149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