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8950 때죽나무 꽃을 연상케 하는~ 매화말발도리 매화말발도리 - 범의귀과- 육지에 출사를 갔다가 강원도 골짜기에서 만난 매화말발도리를 소개해 드립니다. 작은 관목으로 지난해 생긴 묵은 가지 잎겨드랑이에서 흰색의 꽃이 피어나는데 이 매화말발도리 꽃을 보곤 저는 때죽나무의 꽃과 닮아 있다는 생각을 하였습니다. 유사종 으로는 강원도와 경기도 이북의 산지나 바위틈에 자라는 "바위말발도리" 가 있는데 새로 나오는 햇가지 끝에서 꽃이 피어나고 이 매화말발도리는 묵은 가지 끝에서 꽃이 피어 나는 것으로 구별한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가지가 꺽일때 나는 소리를 따서 댕강목이라고도 합니다. 특히 이 매화말발도리는 바위 틈에서 자라는 암생식물입니다. 말발도리속 식물로 기본종인 말발도리를 비롯하여 이 매화말발도리, 바위말발도리, 꼬리말발도리 정도로 국가식물표준목록에서는 .. 2023. 4. 14. 금가루를 뿌려 놓은 듯~ 천마괭이눈 천마괭이눈 -범의귀과- 꽃받침 조각까지 금색으로 화려하게 차려 입은 천마괭이눈이 지나가는 사람들의 발길을 붙잡습니다. 에전에는 흰괭이눈, 금괭이눈, 천마괭이눈으로 따로 분류하여 불리던 것이 최근에 국가식물표준목록에서 금괭이눈이 비추천명으로 되어 있고 천마괭이눈으로 통합되어 불리고 있습니다. 육지에 올라가 만난 천마괭이눈을 보니 제주에서 만나는 흰털괭이눈이나 산괭이눈, 선괭이눈보다 더 화려한 모습입니다. 북한에서는 황금빛괭이눈풀이라고 불리고 있다고 국가식물표준목록에서는 기술하고 있습니다. 잎은 마주나기하며 엽병은 길고 수술은 8개로 구성이 되어 있습니다. 오래된 고목에 앉아 있는 천마괭이눈을 담아 보았습니.. 2023. 4. 13. 봄을 머금은~ 깽깽이풀 깽깽이풀 -매자나무과- 몇 년만에 만난 깽깽이풀 이야기를 들려 드립니다. 잎보다 먼저 나온 꽃줄기에서 연보라빛꽃이 진 다음에 꽃밥이 마치 해금의 다른말인 일명 '깽깽이'를 닮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합니다. 깽깽이풀의 유래에 관해 또 다른 설은 환각성분이 있는 이 깽깽이풀을 먹은 강아지가 '깽깽'거린다는 의미로 이름 붙여졌다고 하는 설도 있답니다.그리고 개미들에 의해 번식되다 보니,꽃이 핀 모습이 마치 깽깽이걸음하듯 일렬로 줄지어 피어 난다고 하여 이름 붙여졌다는 설도 있습니다. 또다른 이야기도 전해지고 있는데,깽깽이풀이 필 즈음 농사를 짓는 바쁜 철에 피어난 이 깽깽이풀을 보고 일은 하지 않고 깽깽이나 켜는 것 같다고 하여 이름 지어졌다고 하는 설 등 이름과 관련하여 재미있는 이야기들이 회자되고 .. 2023. 4. 12. 잎이 치마를 닮은~ 처녀치마 처녀치마 -백합과- 이번주에는 주로 제주에서는 볼 수 없는 식물을 소개해 드리고 있습니다. 오늘은 잎이 꽃방석을 만들만큼 나와 있는 처녀치마를 소개해 드립니다. 습기와 물가를 좋아하는 습성 때문에 전국의 산계곡에 자라는 식물로 아무리 혹한 추위가 몰아치고 잎에 눈이 쌓이고, 또 녹으면서 얼음이 얼어도 잎의 푸르름을 잃지 않는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 처녀치마의 이름과 관련하여, 인디카의 아이디카님은 이렇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1) 꽃이 필때의 모습이 처녀들이 즐겨입는 치마의 색깔과 모습이 닮았다고 하여 붙여졌다고 하는 설과 2) 로제트처럼 땅에 펼쳐진 잎의 모습이 마치 일본 전통치마의 모습인 쇼오죠오바카마라고 한 것을 잘못 번역하여 처녀치마로 불리게 되었다는 설이 있는데 일본 이름인 쇼오죠오바카마를 그대.. 2023. 4. 11. 우리나라 특산식물인~ 모데미풀 모데미풀 -미나리아재비과- 1935년 지리산 운봉 쪽 모데미라는 곳에서 일본인 학자 오이 지사부로[大井次三郞]가 발견한 식물로 모데미풀속 가운데 유일한 종이며 세계에서는 우리나라에서만 자라는 한국 특산식물입니다. 줄기 끝에 다섯장의 별모양의 백색꽃잎과 노란수술을 가지고 있습니다. 한라산,지리산, 태백산, 설악산, 소백산, 오대산, 광덕산, 청태산 등 분포범위는 꽤 넓은 편이지만 일부 지역에서만 자라는 식물로 환경조건도 오염이 되지 않은 산 속 깊은 계곡의 물가나 비교적 습한 곳으로 비교적 까다로운 편입니다. 학명 Megaleranthis saniculifolia 가운데 속명 Megaleranthis는 '크다'를 뜻하는 희랍어 Mega와 '나도바람꽃속' 식물을 뜻하는 eranthis의 합성어로 '나도바람꽃.. 2023. 4. 10. < 제주의 비경> 산방산 반영 사계 바닷가를 거닐다 산방산과 용머리 해안의 모습이 살짝 비추어 그 모습을 기억하고자 산방산 반영을 담아 보았습니다. 오늘도 고운 하루 되세요. 2023. 4.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