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행,식물,풍경/초본1105

산에 자라는 미나리~ 묏미나리 묏미나리 -산형과- 오늘은 우리나라 전역에 걸쳐 분포하는 묏미나리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산에서 나는 미나리란 의미로 묏미나리라는 이름을 얻었습니다. 산지나 골짜기에 잘 자라는 식물로 하얀꽃을 자잘하게 피우는 식물입니다. 도감에서는 여름이 지난 8~9월에 꽃이 핀다고 나와 있으나 제주에서는 보통 10월에 꽃을 피우는 식물로 알려져 있습니다. 산형과 식물들 종류도 다양하여 구분하기도 어려운데 우리가 잘 아는 미나리를 비롯하여, 사상자,개사상자,강활,구릿대,기름나물,방풍,고본,궁궁이,천궁 등 많은 종류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묏미나리의 잎은 하나의 잎이 갈라져 두 세개의 작은 깃 모양 겹잎을 이루고 있습니다. 이 잎 모양의 모습을 2~3회, 3출 우상복엽이라는 어려운 용어로 도감에서는 설명하고 있습니다. .. 2022. 10. 21.
정식 발표된~ 멕시코백령풀 멕시코백령풀 -꼭두서니과- 그동안 다음 블러그에 글쓰기가 되지 않아 포스팅을 며칠 쉬었습니다. 오늘은 그동안 여러 이름으로 불리던 귀화식물이 정식 이름을 가지게 되었는데 하얀 꽃을 피우는 멕시코백령풀을 만나 보겠습니다. 예전에는 '거친멕시코돌나물' 또는 '브라질쇠비름' 으로 불리던 식물입니다. 한국식물분류학회에 정식으로 보고가 되면서 이제는 이름을 갖게 되었습니다. 남아메리카가 원산인 이 식물은 전남과 제주도에서 관찰되었으나 최근에 올라 온 사진을 보면 강원도에서도 일부 관찰되는 것 같습니다. 접사를 해 보면 참 고운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털이 참 많은 아이라는 생각을 가지게 됩니다. 거친멕시코돌나물이라는 예전 이름도 아마 털이 유별나게 많아서 붙여진 이름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제는 씨방.. 2022. 10. 19.
가을의 전설~ 물매화 물매화 -범의귀과- 제주를 떠나 육지의 물매화를 만나러 가 보았는데요. 가을야생화의 대표격이라 할 수 있는 고운 물매화가 빨간 립스틱 분장을 하고 피어 있습니다. 매화의 모습을 닮고 있고 물가에서 자라는 습성 때문에 물매화란 이름을 가졌으니 이름만큼이나 고운 식물입니다. 예로부터 꽃이 아름답고 향기가 있는 꽃에는 매화라는 이름을 많이 사용하는데, 나무 종류의 황매,금매화,한라산의 아주 작은 나무인 암매 등 주로 꽃이 작고 고운 모습을 한 식물에 '매화'를 차용하는데 풀에 매화이름이 들어가 있습니다. 꽃이 벌어지기 전의 물매화의 모습은 또 다른 느낌을 받습니다. 빨간 립스틱을 바른 물매화가 어찌나 고운지 한참을 눈맞춤하였습니다. 물매화는 우리나라 각처의 산에서 자라는 숙근성 여러해살이풀로, 햇볕이 잘 드는.. 2022. 10. 11.
가을 야생화~ 가는잎향유 가는잎향유 -꿀풀과- 오랫만에 육지 출사를 하고 돌아왔습니다. 보고 싶었던 가는잎향유도 만나고 물매화도 만나고 왔습니다. 가는잎향유로 하루를 열어 드립니다. 잎이 향유보다 가늘고 길어 가는잎향유라고 명명되었습니다. 가는잎향유는 흔하게 자라는 향유와는 달리 아주 한정적인 곳에서만 자라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제주의 한라꽃향유도 조금 있으면 많이 피어 나겠지요. 꽃은 마치 이삭과 같은 모양으로 10월에 피고, 꽃 색깔은 연한 홍색이며 원줄기 끝과 가지 끝에 한쪽으로 치우쳐서 빽빽하게 달리는데 이끼와 바위틈에서 곱게 피어 있습니다. 고운 모습을 담아 볼려고 이리저리 앵글을 맞추었지만 마음을 둔 사진을 얻기에는 부족함이 있네요. 다 .. 2022. 10. 10.
들판의 가을 야생화~ 산박하 산박하 -꿀풀과- 가을꽃을 대표하는 많은 들꽃들이 있지만 흔하게 보이는 산박하도 가을의 야생화입니다. 보라색, 자주색, 혹은 가끔가다 흰색꽃도 피우는 산박하는 꿀풀과의 들꽃입니다. 꽃이름처럼 박하향은 나지 않는 것 같습니다. 줄기는 특이하게 네모지고 털이 조금 있는데, 다른 이름으로는 잎이 깻잎 같다고 하여 '깻잎나물', '깨잎나물', '깻잎오리방풀', '애잎나물'이란 이름으로도 불린다고 합니다. 보통은 보라색, 자주색을 띠고 있으나 흰색의 산박하도 가끔 만날 수 있습니다. 마치 무슨 말을 할 것처럼 꽃이 피어 있는데 바람이 불어 접사하기가 어려웠던 기억이 있습니다. 보라색 꽃을 피운 산박하는 오름 자락이나 햇볕이 드는 곶자왈, 도심에서 벗어나 산길에는 어김없이 산박하를 만날 수 있습니다. 햇살을 받은 .. 2022. 10. 8.
가을 숲속의 참나물~ 한라참나물 한라참나물 -산형과- 10월이 되면서 숲속에서는 여름을 보내고 가을을 맞이하는 분주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가을을 준비하는 야생화들이 많은데 제주에서는 덩굴용담, 한라구절초, 한라돌쩌귀 등 다양한 야생화들이 피어나는 시기입니다. 오늘은 참나물에 '한라'가 들어간 한라참나물을 소개해 드립니다. 대한식물도감에서는 참나물 종류를 참나물과 노루참나물, 가는참나물로 구분하고 있는데 한라산 중턱에서 채집한 이 한라참나물은 한국식물분류학회지에 1995년 발표가 되면서 알려진 식물입니다. 산형과 식물들은 우리가 보통 미나리과라고 부르는 식물로 우리나라에는 34속 90여종이 자란다고 나와 있는데 향기가 나며 잎은 깃털처럼 갈라지고 산형꽃차례를 이루며 피어납니다. ** 산형꽃차례 : 꽃대 끝에서 작은 꽃차례들이 우산.. 2022. 10.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