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식물,풍경/식물나라1364 한겨울 속의 참마 참마 -마과- 오늘은 눈속의 참마를 담아 보았는데 덩굴성이라 눈 속에 파묻힌 참마의 모습으로 하루를 열겠습니다. 우리나라 전국에 분포하는 참마는 덩굴성 여러해살이풀입니다. 한겨울 속의 참마를 담아 보았습니다. 육지부에서는 이 참마를 재배하는 농가도 많이 있다고 하는데요. 덩이줄기를 한방에서는 '산약'이라고 하며 과실은 '풍차아'라고 합니다. 6~7월에 꽃이 피는데 수꽃차례는 곧추 자라고 암꽃차례는 밑으로 처지며 백색의 꽃이 달린다. ‘마’와 다르게 전체가 녹색이고 잎이 긴 삼각형이며 열매는 지름 25~28mm 정도라고 도감에서는 설명하고 있습니다. 참마의 살눈이 달리기전의 씨방이 맺힌 모습인데요. 여름이 한창인 8월말에서 9월이 되면 이렇게 씨방이 맺혀 갑니다. 주로 괴근,주아,종자로 번식하는데 여름에 .. 2021. 1. 15. 눈 폭탄을 맞은~ 애기석잠풀 애기석잠풀 -꿀풀과- 오늘은 한반도 미기록 귀화식물인 애기석잠풀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2015년 서귀포에서 발견되어 2016년에 한국식물분류학회지에 소개된 귀화식물입니다. 꿀풀과는 세계적으로 205속 6,700여종이나 있다고 하는데 우리나라에는 26속 65종이 있다고 합니다. 이번 한파로 인해 제주에도 눈이 많이 왔는데 눈 폭탄을 맞은 애기석잠풀은 일찍 꽃을 피우고 귀화식물답게 개체수도 많이 번져 있습니다. 한국식물분류학회에 들어가 확인한 논문을 인용해 보면, '본 연구에서 확인한 미기록 귀화식물인 애기석잠풀은 화관의 크기가 길이 2.4~5.2밀리로 한반도에 분포하는 석잠풀속 다른 분류군에 비해 비교적 작다.또한 애기석잠풀은 소화가 6~12개로 마디에 돌려나며,소화의 수가 그 이하로 달리는 석잠풀과.. 2021. 1. 14. <제주에 없는 야생화> 금떡쑥 금떡쑥 <Gnaphalium hypoleucum DC.> -국화과- 오늘은 제주에 없는 야생화 이야기 금떡쑥으로 하루를 열어 드립니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떡쑥은 흰 솜털로 덮여 있고 흰색이나 연한 노란색을 가진 야생화지만 금떡쑥은 보시는 바와 같이 머리 모양꽃이 진한 노란색을 띠고 있습니다. 들판 .. 2018. 10. 25. <제주에 없는 야생화> 긴꽃며느리밥풀 긴꽃며느리밥풀 <Melampyrum koreanum K.J. Kim & S. M. Yun > -현삼과- 오늘은 제주에 없는 야생화인 긴꽃며느리밥풀 야생화 이야기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꽃부리(화경)가 기다란 긴꽃며느리밥풀은 소매물도에서 자생하는 식물로 2015년에 국생종에 등록되었다고 합니다. 종(鐘) 같은 모양.. 2018. 10. 24. 대나무숲이 아닌 깊은 숲속의 망태말뚝버섯 망태말뚝버섯 <Dictyophora indersiata (Vent.) Desv> -말뚝버섯과- 오늘은 백두산 야생화 이야기를 접고 또다시 제주의 식물 이야기를 전해 드립니다. 백두산의 식물 이야기는 중간에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오늘은 대나무숲이 아닌 한라산 깊은 숲속에서 만난 망태말뚝버섯으로 하루를 열.. 2018. 8. 6. '당신을 영원히 사랑합니다'~ 브라질아부틸론 브라질아부틸론 <Abutilon megapotamicum St.> -아욱과- 오늘은 브라질아부틸론이라는 식물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아마 많이 보시거나 아시는 분이 있으실거라 사료되는데 우리나라 이름으로는 청사초롱꽃으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아하~ 그 꽃이 이 꽃이었구나 하구요. 위에서 보시.. 2018. 1. 20. 이전 1 ··· 3 4 5 6 7 8 9 ··· 2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