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라산의 식물42

한라산에 자생하는 한라구절초~ 한라구절초 <Chrysanthemum zawadskii Herb.ssp.Coreanum(Nakai)Y.Lee > -국화과- 오늘은 들국화의 대명사, 제주의 대표적인 가을 국화인 한라구절초를 소개해 드리며 하루를 열어 봅니다. 한라산 해발 1,000미터가 넘는 곳에서 자라는 이 한라구절초는 한라산의 특산식물로 알려져 있습니다. 올해는 .. 2016. 10. 19.
꽃과 열매가 붉은 호장근~ 호장근 <Reynoutria japonica Houtt. for.elata Hiyama > -마디풀과- 오늘은 어제의 호장근에 이어 꽃과 열매가 붉다는 붉은색의 호장근을 만나 보겠습니다. 어린 가지에 자주색 반점이 있어 마치 그 모습이 호랑이 가죽을 닮았다는데서 이름 붙여진 식물인데,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는 이 붉은호.. 2016. 8. 28.
어린 줄기가 호랑이 가죽을 닮았다는 호장근(虎杖根)~ 호장근 <Reynoutria japonica Houtt> -마디풀과- 오늘은 한라산의 식물중 마디풀과의 호장근을 만나 보겠습니다. 어릴적 식물의 줄기가 호랑이 가죽<호피>처럼 생겼다고 하여 호장근이란 이름을 얻었다고 합니다. 호장근의 한자를 빌어 해석하면 호랑이 무늬의 지팡이 줄기를 가진 식물 .. 2016. 8. 27.
다케신부와 섬잔대 이야기~ 섬잔대 < Adenophora taquetii H.Lev> -초롱꽃과- 이번주는 주로 한라산의 식물들을 살펴보고 있는데,오늘은 섬잔대를 만나 보겠습니다. 이 섬잔대의 종소명인 taquetii는 제주의 식물을 널리 알렸던 다케신부를 기리기 위해 붙여진 것이라고 합니다. 다케신부는 제주의 왕벚나무 자생지가 일.. 2016. 8. 26.
한라산에만 살고 있다는 깔끔좁쌀풀~ 깔끔좁쌀풀 <Euphrasia coreana W.Becker > -현삼과- 오늘은 세계에서 오로지 한라산에서만 자생한다는 깔끔좁쌀풀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풀숲에 물빠짐이 좋은 곳에서 자라는 야생화로 몇 년동안 개체수를 만나기 어려웠으나,작년 복원구역에서 군락이 발견되었고 올해는 개체수가 상.. 2016. 8. 25.
금나와라 뚝딱~ 금방망이 금방망이 <Senecio nemorensis Linne > -국화과- 오늘부터는 한라산의 식물들을 살펴 보겠습니다. 오늘은 금방망이라 불리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 하루를 열어 보겠는데요. 국화과의 식물로 노란꽃이 뭉쳐 달리는 특성 때문에 금방망이라고 이름이 붙은 식물이랍니다. 우리나라 섬지방.. 2016. 8.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