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야생화1473 앙증맞은 모습의~ 별나팔꽃 별나팔꽃 -메꽃과- 여름이 지나가면서 길가나 버려진 밭 둑이나 임도에는 나팔꽃 종류들이 많이 보입니다. 국가식물표준목록에서는 외래식물로 나팔꽃을 비롯하여 둥근잎나팔꽃, 미국나팔꽃, 별나팔꽃, 선나팔꽃, 애기나팔꽃 으로 구분하고 재배식물로 비올라케아미국나팔꽃을 기재해 놓고 있습니다. 나팔꽃이라는 이름은 꽃의 모양이 악기인 '나팔' 을 닮은데서 유래했는데 여러가지의 나팔꽃 종류들은 잎의 모양과 털의 유무, 통꽃인 꽃부리의 지름의 크기 등으로 동정을 하고 있습니다. 열대 아메리카 원산의 귀화식물로 우리나라 남부지방과 제주도의 길가나 빈터에서 자라고 줄기는 덩굴성이고 전체에 털이 없으며, 잎은 어긋나며, 난형 또는 원형으로 밑부분은 심장 모양이고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간혹 3갈래로 갈라지기도 하며, 끝이 급하게.. 2023. 10. 1. 가을을 맞이하는~ 나도송이풀(흰색) 나도송이풀 -현삼과- 송이풀의 한 종류로 잎,꽃 등이 송이풀을 닮아 나도송이풀이란 이름을 얻은 야생화를 소개하려 하는데 흰색을 만났던 기억을 내려 놓습니다. 나도송이풀속에 1종이 유일하게 있는 나도송이풀입니다. 송이풀속에는 송이풀,만주송이풀,구름송이풀,한라송이풀 등 11종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습니다. 보통의 나도송이풀은 붉은색 내지 자주색의 꽃을 피우거나 연한 홍자색으로서 줄기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서 피어 총상꽃차례로 피어납니다. 송이풀에 비해 선모가 많이 나 있으며 잎의 폭이 다소 큰 편입니다. 송이풀에 대한 이름은 이 풀이 피어나기 시작하면 버섯인 송이를 따기 시작한데서 유래한다고 합니다. 반기생식물로 생약명으로는 잎이 쑥을 닮았다고 하여 송호,나호,토인진이라는 다른 이름도 갖고 있습니다. 식물표기법.. 2023. 9. 30. 다시 담아 본~ 여우구슬 여우구슬 -대극과- 여우구슬은 남부지방의 풀밭에서 자라는 식물로 밤이면 합환목 같이 잎을 오무려 마치 여우처럼 신출귀몰한다고 하고 구슬을 달고 있어 여우구슬이라 한다고 합니다. 다른 이명으로는 역광에 비친 모습이 진주 같다고 하여 진주초(眞珠草)라 하는 식물입니다. 꽃을 제대로 접사하지 못하여 삼각대로 다시 담아 보았습니다. 보통 밭둑이나 들에 피어나는 한해살이풀로 줄기는 곧게 서며 잎은 보시는 바와 같이 깃꼴겹잎처럼 보이며 열매는 납작한 공 모양으로 돌기가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제주의 동쪽 마을 밭둑에는 이 여우구슬이 너무 번져 있는 모습을 보았습니다. 여우구슬의 꽃을 접사해 본 사진입니다. 삼각대를 펼치고 땀을 흘리며 여우구슬의 꽃을 접사해 보았습니다. 진주초 외에 다른 이름으로 여감자,엽하주,가유.. 2023. 9. 28. '유기노'의전설이 깃든 야생화~ 절국대 절국대 -현삼과- 오늘은 절국대라는 식물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이 절국대의 다른 이름이 '유기노'라고 합니다. 유기노는 중국 남조 송나라 고조(高祖) 유유(劉裕)의 젊을 때 이름이라고 하는데요. 절국대에 서린 이야기 속으로 안내해 드립니다. 유기노는 어려서부터 무술이 뛰어났지만 가난해서 나무를 해서 겨우겨우 살아갔다고 합니다. 어느 날 나무를 하러 갔다가 커다란 꽃뱀을 만났는데, 뱀의 목을 내리치니 뱀은 멀리 달아났습니다. 유기노는 땔감이 많은 높은 산으로 들어갔는데 동자 2명이 절구로 무엇인가를 빻고 있기에 무엇을 하느냐고 물었더니, 스승인 용고(龍姑)님 상처에 바를 약을 만든다고 하였고 바로 만났던 뱀이 용고였고, 동자들은 그 용고의 제자였다고 합니다. 유기노는 동자들도 다 물리치고 동자들이 약.. 2023. 9. 27. 양하와 야고 이야기 양하 -생강과- 야고 -열당과- 어제 곶자왈에 가서 보니 양하와 야고가 같이 사이좋게 살고 있었습니다. 제주의 억새밭에는 야고라는 기생식물이 있는데, 야고는 스스로는 전혀 양분을 만들지 못하는 전기생식물입니다. 억새의 도움이 없이는 꽃도 피우지 못하고 결실도 하지 못하는 셈이지요. 그런데 억새가 아닌 양하에 기생하여 살아가는 야고를 만났습니다. 야고는 열당과 식물로 한해살이풀입니다. 꽃이 담뱃대를 닮아 '담배더부살이' 라고도 하고 '사탕수수겨우살이' 라는 이름으로도 불려진다고 하는데 제주에서는 벌초 시즌에 많이 자라며 추석 전후에 많이 볼 수 있는 식물입니다. 도감과 백과사전에는 억새에만 기생하는 것이 아니라 양하나 사탕무에도 기생하는 것으로 나와 있습니다. 다음 백과에서는 엽록소가 없어 억새나 생강에 .. 2023. 9. 26. 바위에 떡 하니 살아가는~ 바위떡풀 바위떡풀 -범의귀과- 습한 지역의 바위틈에 뿌리를 내리고 살아가는 바위떡풀이라는 식물을 소개해 드립니다. 이름에서 알 수 있 듯 바위에 떡처럼 붙어 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합니다. 범의귀과에 속하는 이 바위떡풀은 우리나라 전역에 걸쳐 자라는데 습한 지역의 고산지역에서 자라는 식물입니다. 바위떡풀은 범의귀과에 속하는 쌍떡잎식물의 다년생 초본입니다. 잎은 둥근 심장형으로 다육질(多肉質)에 속하는데 제주의 바위떡풀은 9월에서 10월 초까지 해발이 높은 지역에서 볼 수 있는 가을 야생화입니다. 잎에서 길고 가는 줄기가 올라오고 그 끝에 흰색, 혹은 살짝 흰 색을 띈 붉은 색의 꽃이 9~10월에 걸쳐서 핍니다. 가는 꽃잎이 다섯 장인데, 위의 세 개는 작고, 밑의 두 개는 크기 때문에 큰 대(大) 자로 보.. 2023. 9. 25. 이전 1 ··· 33 34 35 36 37 38 39 ··· 2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