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야생화1474 배풍등 이야기~ 배풍등 < Solanum lyratum Thunb.> -가지과- 오늘은 빨간 열매를 달고 유혹하고 있는 배풍등을 만나 보겠습니다. 겨울에 이렇게 열매가 아름답다고 하여 눈내린 덤불에 열매가 달린 모습을 보고 '설하옹'이란 별명도 얻었다는 아이지요. 排風藤(배풍등)의 이름 유래는 풍을 물리치는 덩굴성 .. 2016. 12. 10. 제주에서만 자생한다는 제주고사리삼~ 제주고사리삼 <Mankyua chejuense B.Y.Sun et al.> -고사리삼과- 오늘은 우리나라 제주도 지역에서만 자생한다는 제주고사리삼을 만나 보겠습니다. 여러해살이 상록성 양치식물로 2001년에 학계에 보고된 아이랍니다. 세계적으로 1속 1종인 희귀식물로 학명도 식물학자인 박만규 교수와 제주의.. 2016. 12. 9. 신기하게 생긴 양하열매~ 양하 <Zingiber mioga (Thunb.) Roscoe> -생강과- 오늘은 정말 신기한 열매를 보시겠는데요. 바로 양하열매랍니다. 양하는 생강과의 식물로 외형으로는 생강과 비슷하나 잎이 넓고 키가 크며 알뿌리를 주로 식용하는 식물이지요. 이 양하꽃을 꽃이삭이라고 하여 꽃이 다 피지 않을때 따서 식용.. 2016. 12. 8. 들국화의 대명사인 감국~ 감국 <Chrysanthemum indicum L.> -국화과- 산국(山菊)은 산에 피는 국화라는 뜻이고, 감국은 꽃잎에 단맛이 있어서 감국(甘菊)이라 불리는데요. 들국화란 국화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을 말하는데 보통 가을에 피어나는 산국,감국도 대표적인 들국화에 속하지요. 본초명으로 이 감국을 야.. 2016. 12. 6. 고란사가 생각나는 고란초~ 고란초 <Crypsinus hastatus (Thunb.) Copel > -고란초과- 오늘은 노래에도 나와 있는 고란초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 충남 부여의 고란사에서 처음 발견되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입니다. 고사리목 상록성 식물로 그늘진 바위틈이나 낭떠러지에 잘 자라는 식물입니다. 이 .. 2016. 12. 5. 반기생식물인 붉은겨울살이~ 붉은겨울살이 < Viscum album for. rubroaurantiacum > -겨우살이과- 오늘은 겨우살이중에서도 붉은겨울살이를 만나 보겠습니다. 겨우살이는 경기도지방의 방언으로 나무에 기생해 살아간다는 특성 때문에 붙여진 이름입니다. 오늘은 붉은겨울살이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겨우살이로 알고.. 2016. 11. 19. 이전 1 ··· 191 192 193 194 195 196 197 ··· 2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