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야생화1474 입춘날 우리나라의 복수초~ 입춘 -24절기의 시작으로 봄을 알리는 절기- 입춘날 아침입니다. 오늘은 봄을 알리는 절기인 입춘과 더불어 봄을 알리는 야생화인 복수초에 대해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우리나라의 복수초에는 보통 복수초,가지복수초(개복수초),세복수초의 세종류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속명인 adonis는 .. 2017. 2. 4. 부귀를 상징하는 세복수초~ 세복수초 <Adonis amurensis Regel et Radde> -미나리아재비과- 노란색꽃이 부와 영광,복을 상징하는 황금색이어서 福壽草라고 하지요. 일본에서는 이 복수초를 フクジュソウ(후쿠쥬소)라고 부르고,중국에서는 측금잔화(側金盞花)라고 합니다. 설날 즈음에 핀다고 하여 원일초(元日草),눈속에.. 2017. 2. 3. 봄꽃향유 단상~ 봄꽃향유 -꿀풀과- 몇년만에 봄꽃향유를 만나러 다녀왔습니다. 오늘은 봄꽃향유를 소개해 드리며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겨울에 따뜻한 풍혈이 올라오는 곳에서 피어나는 이 봄꽃향유는 겨울의 기운이 남아 있는 곳에서도 피어나는 아이랍니다. 몇년만에 찾았는데 개체수가 없더군요... 2017. 2. 2. 고양이눈을 닮았다는 흰괭이눈 흰괭이눈 < Chrysosplenium pilosum var. fulvum (N.Terracc.) H.Hara> -범의귀과- 오늘은 흰괭이눈을 만나 보겠습니다. 옛날에는 고양이를 '괭이'라고 불렀다고 하는데요.괭이눈속 아이들은 꽃이 지고 열매가 익어갈때 씨앗을 감싸던 씨방이 벌어지는데 그모습이 고양이 눈을 너무나 닮아 있다고 하.. 2017. 1. 25. 오아시스의 나무를 닮은 흰대극~ 흰대극 <Euphorbia esula L.> -대극과- 오늘은 흰대극을 만나 보겠습니다. 대극과의 식물은 독성이 있다고 하는데요.대극이란 이름도 뿌리가 맵고 쓰기 때문에 먹으면 목구멍을 몹시 자극한다는 뜻의 '大戟'(대극)에서 왔다고 합니다.그러면 흰대극의 하얀뜻은 어디서 왔을까 검색을 해 보.. 2017. 1. 10. 다시 찾은 박주가리 씨방~ 박주가리 <Metaplexis japonica (Thunb.) Makino> -박주가리과- 오늘은 박주가리 씨방으로 하루를 열어 봅니다.박주가리의 이름은 표주박 같은 열매의 모습에서 유래했다고 하는데, 열매가 익으면 갈라지는데 박이 쪼개졌다 하여 '박쪼가리'가 되었다가 '박주가리'로 변했다는 것입니다. 일전에.. 2017. 1. 8. 이전 1 ···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2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