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제주의 야생화1464

여름 초지의 잠자리난초~ 잠자리난초 <Habenaria linearifolia Maxim.> -난초과- 오늘은 꽃이 잠자리를 닮았다 해서 ‘잠자리난초’라고 부르는 아이를 만나 보겠습니다. 야생란중에서 특히 곤충이나 동식물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난초들이 많이 있습니다. 해오라비를 닮아서 해오라비난초,갈매기를 닮아서 갈매기난.. 2017. 8. 2.
엽록소가 없다는 부생식물 구상난풀~ 구상난풀 <Monotropa hypopithys L. > -노루발과- 오늘은 엽록소가 없는 부생식물인 구상난풀을 만나 보겠습니다. 제주도의 구상나무 군락 등지에서 발견되어 명명되었다고 하지요.그렇다고 제주에만 있는 식물은 아니지요. 꽃은 종 모양으로 아래를 향해 달리며 수술은 8개, 암술은 적갈색.. 2017. 7. 31.
한라산 계곡의 한라개승마~ 한라개승마 <Aruncus dioicus var. aethusifolius (Lév.) Hara> -장미과- 오늘은 우리나라 고유종이며 제주의 특산식물인 한라개승마로 하루를 열어 봅니다. 한라산 계곡의 습지에서 자라는 이 한라개승마는 여름이 익어가는 무렵 하얀 실꽃을 펼치며 피어납니다. 승마라는 이름은 잎이 麻(마) .. 2017. 7. 29.
'두레기'라 불리던 하늘타리와 노랑하늘타리 하늘타리 <Trichosanthes kirilowii Maxim>, 노랑하늘타리 < Trichosanthes kirilowii var. japonica Kitamura > -박과- 오늘은 여름이 내린 선물 하늘타리와 노랑하늘타리를 같이 소개해 드립니다. 박과의 하늘타리꽃을 보면 마치 여인네가 하얀 머리를 풀어헤친 모습을 하고 있는데,낮에는 꽃을 오므렸.. 2017. 7. 27.
여름 숲속의 좀비비추~ 좀비비추 <Hosta minor (Bak.) Nakai> -백합과- 백합과의 비비추의 어원을 보니, 어린잎을 먹을 때 잎에서 거품이 나올 때까지 손으로 비벼서 먹는다 하여 “비비추”라고 불렀다고 하며 일부 지방에서는 “지부” 혹은 “자부”라고도 한다고 합니다. 오늘은 좀비비추로 하루를 열어 봅니.. 2017. 7. 26.
모래밭의 요정 참골무꽃(흰색)~ 참골무꽃 <Scutellaria strigillosa Hemsl.> -꿀풀과- 골무꽃속은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남부와 중부지방,그리고 제주도에서 많이 자라는 아이랍니다. 속명인 Scutellaria는 '작은접시'라는 의미의 라틴어라고 합니다. 골무꽃의 어원은 열매,꽃받침의 모양이 바느질할때 쓰.. 2017. 7.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