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의 야생화1465 노란꽃이 자잘하게 모여 피는~ 긴잎꿩의다리 긴잎꿩의다리 <Thalictrum simlex var. brevipes Hara > -미나리아재비과- 오늘은 어제의 금꿩의다리에 이어 이름도 조금 긴 긴잎꿩의다리로 일요일 아침을 열어 드립니다. 우리나라 꿩의다리 종류들은 15종 정도가 자라고 있다고 하는데 잎의 모양과 화색(꽃의 색깔)에 따라 이름을 구분하고 있.. 2017. 9. 17. 송나라 '유기노'의 전설이 깃든~ 절국대 절국대 <Siphonostegia chinensis Benth> -현삼과- 오늘은 절국대라는 식물로 하루를 열어 보겠는데요.이 절국대의 다른 이름이 '유기노'라고 합니다. 유기노는 중국 남조 송나라 고조(高祖) 유유(劉裕)의 젊을 때 이름이라고 하는데요. 절국대에 어린 이야기 속으로 안내해 드립니다. 유기노는.. 2017. 9. 15. '나물타령'에 등장하는 활나물~ 활나물 <Crotalaria sessiliflora L> -콩과- 오늘은 양지바른 풀숲이나 우리나라 산과 들에서 자라는 활나물이라는 식물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예로부터 전해지는 민요 ‘나물타령’에 ‘어영 꾸부렁 활나물’이라는 구절이 전해지는 것을 보면 활나물은 활처럼 휘어진다고 해서 붙여.. 2017. 9. 14. 숲속의 외계인 수정난풀~ 수정난풀 < Monotropa uniflora L. > -노루발과- 식물은 광합성을 통해 양분을 만들어내는 것이 일반적인 모습인데, 어떤 식물들은 스스로 양분을 만들어내지 못하여 다른 식물에 기생하기도 하고 썩은 낙엽이나 동물의 사체에서 양분을 흡수하기도 합니다. 이런 식물들을 부생식물이라고 .. 2017. 9. 13. 나팔소리가 들리는 듯~ 덩굴용담 덩굴용담 <Tripterospermum japonicum (S. et Z) Maxim.> -용담과- 오늘은 가을을 알리는 야생화인 덩굴용담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용담과의 아이들도 그 종류가 상당히 많습니다. 용담을 비롯하여 흰그늘용담,구슬붕이 종류와 학자의 일부는 어리연꽃도 용담과로 분류하고 있으며,쓴풀종류.. 2017. 9. 12. 구황식물이었다는 야생화~ 무릇 무릇 <Scilla scilloides (Lind.) Druce> -백합과- 오늘은 가을을 노래하는 백합과의 무릇으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무릇"이란 말은 "물웃""물옷""물구지" --> 웃과 옷,구지는 가장자리 또는 구석이란 뜻으로 물가,산지의 습한 곳에서 자라는 야생화입니다. 오래전 먹고 살기가 힘들었던 .. 2017. 9. 9. 이전 1 ··· 154 155 156 157 158 159 160 ··· 2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