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의 야생화1465 아주아주 작은 꽃을 가진~ 진흙풀 진흙풀 <Microcarpaea minima (K.D.Koenig) Merr.> -현삼과- 오늘은 현삼과의 한해살이풀로 진흙풀이라는 식물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아주 작은 식물로 이쑤시개보다 더 작은 영아리난초나 영주풀을 담아보았으나 꽃의 크기만으로는 이 진흙풀도 만만치 않을 것 같습니다. 손가락으로 꽃이.. 2017. 9. 29. 억새에 기생하여 살아가는~ 야고 야고 <Aeginetia indica L.> -열당과- 오늘은 억새에 기생하여 살아가는 야고로 하루를 열겠습니다. 제주의 억새밭에는 야고라는 기생식물이 있는데, 야고는 스스로는 전혀 양분을 만들지 못하는 전기생식물입니다. 억새의 도움이 없이는 꽃도 피우지 못하고 결실도 하지 못하는 셈이지요... 2017. 9. 28. 바닷가의 무릇~ 갯무릇 갯무릇 < Scilla scilloides Druce var. litoralis Konta > -백합과- 오늘은 바닷가의 갯무릇으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우리가 많이 볼 수 있는 가을의 대표적인 식물이 바로 무릇이라는 식물인데 바닷가에서 만나는 무릇은 산이나 초지에서 만나는 무릇과는 사뭇 다른데 가장 큰 차이로 잎을 .. 2017. 9. 27. 덩이줄기가 방울을 닮았다는~ 방울난초 방울난초 <Habenaria flagellifera (Maxim.) Makino > -난초과- 오늘은 방울난초를 소개해 드리며 하루를 열겠습니다. 우리나라 방울난초속에는 이 방울난초와 제주방울란,애기방울란이 있는데,분포지가 제주에서만 자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보통 난초과의 식물들 이름이 꽃의 형태를 .. 2017. 9. 26. 사철란의 마지막 주자인~ 섬사철란 섬사철난 <Goodyera maximowicziana Makino> -난초과- 얼요일 제주의 아침입니다.오늘은 난초과의 섬사철란을 만나보면서 하루를 열어 볼까 합니다. 사철란 종류 중에서 가장 마지막에 피는 난초라 제목을 '사철란의 마지막 주자'로 붙여 보았습니다. 제주에서는 환경에 따라 8월에서부터 9월.. 2017. 9. 25. 입술 모양의 꽃잎을 가진~ 물잎풀 물잎풀 <Hygrophila salicifolia (Vahl) Nees> -쥐꼬리망초과- 이번주에는 습지식물,수생식물들을 살펴 보고 있는데 오늘은 그 마지막으로 물잎풀로 하루를 열겠습니다. 물잎풀은 이름이 말해주듯 물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쥐꼬리망초과의 식물입니다. 물잎풀의 물잎은 이 물잎풀의 속.. 2017. 9. 24. 이전 1 ··· 152 153 154 155 156 157 158 ··· 2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