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의 야생화1466 야생화의 마지막 주자라는~ 좀딱취 좀딱취 <Ainsliaea apiculata Sch.-Bip.> -국화과- 오늘은 좀딱취라는 식물을 소개해 봅니다. 가을야생화의 마지막을 알린다는 좀딱취는 야생화를 담는 분들이라면 아시겠지만, 올 한 해 담을 수 있는 야생화가 얼마 남지 않은 시기로 이 좀딱취꽃을 보며 가늠을 한답니다. 좀딱취의 학명 Ainsli.. 2017. 10. 27. 제주의 대표 가을 야생화~한라돌쩌귀 한라돌쩌귀 <Aconitum napiforme Lév. et Vnt.> -미나리아재비과- 오늘은 제주에서 자란다는 한라돌쩌귀를 만나 보겠습니다. 지금 한창 꽃을 피우는 제주가을꽃의 대표격인 아이지요. 한라돌쩌귀는 산림청지정 희귀식물(약관심종)로 한라산의 습윤하고 비옥한 토양에서만 자라는 다년생 .. 2017. 10. 26. 여러개의 꽃송이가 달리는~ 산방백운풀 산방백운풀 <Hedyotis corymbosa (L.) Lam> -꼭두서니과- 오늘은 백운풀 중 산방백운풀이라는 식물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산방화서를 가진 백운풀이라는 의미로 산방백운풀이라는 이름이 붙어진 식물로 2009년 식물학회지<제 39권 4호>에 '한국 미기록 귀화식물'로 등재된 작은 식물.. 2017. 10. 25. 습지식물인 작은 아이~ 구와말 구와말 <Limnophila sessiliflora (Vahl) Blume> -현삼과- 이름의 유래를 알아보니,국화에서 온 말이라고 하는데 정설은 아닌듯 합니다만, 구와말의 잎의 결각이 국화를 닮았다고 하여 국화말-구화말-구와말로 변한 것이라는 설명인데요. 뿌리는 물 아래 땅에 내리고 줄기와 잎,꽃은 물 위에 올.. 2017. 10. 24. 덩굴용담의 화려한 외출~ 빨간 열매 덩굴용담 열매 <Tripterospermum japonicum (S. et Z) Maxim.> -용담과- 오늘은 가을을 알리는 야생화인 덩굴용담 열매로 하루를 열어 보겠습니다. 용담과의 아이들도 그 종류가 상당히 많습니다. 용담을 비롯하여 흰그늘용담,구슬붕이 종류와 학자의 일부는 어리연꽃도 용담과로 분류하고 있으.. 2017. 10. 23. 바닷가의 작은 식물~ 낚시돌풀 낚시돌풀 < Hedyotis biflora var. parvifolia Hooker et Arnott > -꼭두서니과- 오늘은 바닷가에서 많이 피어나는 낚시돌풀을 만나 보며 하루를 열어 봅니다. 우리나라 남부 해안가와 제주도의 바닷가에서 자라는 염생식물로 꽃의 크기는 아주 작답니다. 낚시를 하는 바위틈이나 낚시의 장소가 되.. 2017. 10. 21. 이전 1 ··· 149 150 151 152 153 154 155 ··· 2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