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화과184

가을의 꽃~ 쑥부쟁이 쑥부쟁이 <Aster yomena Makino> -국화과- 잘 알려진 쑥부쟁이지만 종류가 하도 많아서 머리가 복잡해지는 아이랍니다. 보통 잎으로 구별을 많이 하지요. 전설에 의하면 쑥을 캐러 다니던 불쟁이(대장장이)의 딸이 죽어서 피어난 꽃이 쑥부쟁이라고 합니다. 가을들꽃의 전령사라고 하는 쑥.. 2013. 10. 8.
오름을 지키고 서 있는 산비장이 산비장이 <Serratula coronata,insularis> -국화과- 산비장이의 유래를 보면 재미가 있습니다. 조선시대의 무관이던 "비장"의 하급관리의 이름을 붙였다는 것인데요. 아마 추측컨데, 비장의 모자의 장식깃털에 유래 했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조선시대 관원들이 관복을 입을때 쓰던 사모나,.. 2013. 10. 2.
특이하게 생긴 꽃~ 삽주 삽주 <Atractylodes japonica Koidz.> -국화과- 꽃잎을 둘러싸고 있는 꽃받침 모습이 마치 방추를 닮았다고 하여 이 이름이 붙었다고 합니다. 방추란 '옷감을 짤때 베틀에 다는 추'라고 합니다. 방추처럼 달린 꽃을 담아 와야 하는데 그렇지 못하였네요. 다른 이름의 이명이 많은 아이랍니다. ".. 2013. 10. 2.
큰 키를 뽐내는 옹굿나물 옹굿나물 <Aster fastigiatus Fisch.> -국화과- 국화과에 속한 여러해살이풀로 높이는 30~100센티미터이고, 땅속줄기를 뻗어 번식한다고 합니다. 잎이 좁고 긴 버들잎 모양이며, 8~10월에 흰 꽃이 피는데요. 육지에서는 많이 보이는 아이라고 하지만 제주에서는 쉽게 만날 수 없는 아이지요. 정.. 2013. 10. 1.
스님이 들으면 어쩌나~ 중대가리풀 중대가리풀 <Centipeda minima (L.) A. Br. et Aschers.> -국화과- 정명이라 중대가리풀이라 쓸 수 밖에 없는 저를 용서해 주세요. 옛날 일이 생각납니다. 어렸을 적 제가 스님에게 물었지요. "스님? 스님은 왜 머리를 다 밀어 버리세요?" 스님이 제게 하시는 말씀이, "아침에 세수할때 머리카락이 .. 2013. 9. 27.
이름도 특이한 멸가치 멸가치 <Adenocaulon himalaicum Edgew.> -국화과- 이름도 특이한 멸가치입니다. 담아 온 시간이 많이 흘렀네요. 이름의 유래에 관하여는 많은 이야기가 있지만,타 지방에서 불리는 이명으로 말굽취,명가지,소발바닥나물 등으로 불린다고 하는데, 말굽취에서 변형되었다는 이야기기 있네요. .. 2013. 9.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