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화과184

절구공이를 닮은 절굿대 절굿대 <Echinops setifer Iljin> -국화과- 가을이 되면 여러가지 꽃들이 피어 납니다.이 시기에는 특이한 모습의 꽃을 피우는 절굿대라는 식물이 있습니다. 절굿대는 옛날 생활도구인 절구통에 곡식을 넣고 찧을 때 사용하는 둥그런 절구공이를 닮았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합니다. 오름.. 2013. 10. 13.
오름에서 만난 산비장이 산비장이 <Serratula coronata,insularis> -국화과- 산비장이의 유래를 보면 재미가 있습니다. 조선시대의 무관이던 "비장"의 하급관리의 이름을 붙였다는 것인데요. 아마 추측컨데, 비장의 모자의 장식깃털에 유래 했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멀리 일출봉이 보이네요. 오름에서 보는 풍경이 .. 2013. 10. 12.
산나물의 여왕이라 불리는 곰취 곰취 <Ligularia fischeri (Ledeb.) Turcz.> -국화과- 어린잎을 봄철에 날것으로 또는 데쳐서 나물로 먹으며 말려서 묵나물로 만들기도 하는데 향기와 맛이 좋다고 하는 곰취입니다. 중국에서는 뿌리를 상처난 곳에 바르며, 허리가 아프거나 기침을 다스리는 데 쓰고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 2013. 10. 11.
미역과 연관있다는 미역취 미역취 <Solidago virga-aurea var. asiatica Nakai> -국화과- 미역취의 이름과 관련하여 이런 설들이 있네요. 1. 나물맛이 미역맛을 닮았다는 설. 2. 꽃대가 나오기 전의 잎자루가 축 늘어져 마치 미역을 연상시킨다는 설이 있네요. 일단 "취"자가 붙었으니 식용되는 것으로 보아 옛날에 구황식물.. 2013. 10. 11.
가시가 많은 가시엉겅퀴 가시엉겅퀴 <Cirsium japonicum var. spinosissimum Kitamura> -국화과- 엉겅퀴와 닮았으나 잎이 다닥다닥 달리고, 엉겅퀴보다 가시가 많으며 가시의 길이는 약 6-10mm정도인 가시엉겅퀴입니다. 마르면 식물체가 검게 된다고 나와 있고,줄기의 높이가 50cm 이하인 작은 아이랍니다. 지구상에 사는 엉.. 2013. 10. 11.
들판의 가새쑥부쟁이 가새쑥부쟁이 <Aster incisus Fisch.> -국화과- 잎이 많이 갈라져 있는 가새쑥부쟁이입니다. 근생엽은 꽃이 필무렵 말라죽는다고 하는데, 아이마다 틀리겠지요. 그리고 가새쑥부쟁이와 쑥부쟁이가 혼재하고 있었습니다. 쑥부쟁이 종류에는 가는잎·가새·개·갯·까실·눈개·단양·미.. 2013. 10. 8.